항목
-
괭이갈매기 black-tailed gull번식지 주변 해역에서 월동한다.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독도, 경남 통영 홍도, 전남 영광 칠산도, 충남 태안 난도, 인천 신도, 석도 등 무인도에서 집단번식하는 흔한 텃새다. 행동 해안, 항구, 하구 등지에서 서식하며, 대부분 큰 무리를 이룬다. 어선 뒤를 따라다니며 생선 찌꺼기를 먹거나 수면 위로 떠오르는 어류를...
- 분류 :
- 갈매기과(Laridae)
- 서식지 :
- 사할린, 쿠릴열도, 우수리 연안, 중국 남부, 한국, 일본 등지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번식지 주변 해역에서 월동한다.
- 크기 :
- L47~52.5cm
- 학명 :
- Larus crassirostris Black-tailed Gull
-
침해섬 윤슬도곤충 - 전체조류는 4종 63개체가 관찰됨. - 관찰된 조류는 왜가리, 중대백로, 쇠백로, 천연기념물 제 326호 검은머리물떼새임. - 백로과 조류의 집단번식이 확인된 집단번식지. - 관찰된 곤충은 파리류 등 총 1종 출현 ㆍ주요 식생 · 식물 - 관속식물은 6과 5종 2변종으로 총 7분류군이 조사. - 식생군락은 곰솔군락과...
- 면적 :
- 1,330m 2
- 좌표 :
- 34° 55′ 22.4″ N, 126° 12′ 36.5″ E
- 지번 :
- 증도면 병풍리 산405
- 소유현황 :
- 국유지(산림청)
- 육지와의 거리 :
- 송도항으로부터 13.28km
-
괭이갈매기 Larus crassirostris먹는다. 행동습성: 가까운 바다의 무인도에서 집단을 이루며 번식하고 번식이 끝나면 내륙의 갯벌에서 갯벌 생물과 항구 등에서 생기는 부산물 등을 먹는다...정도 낳는다. 참고 집필진 : 최성훈, 백인환, 유재평, 백운기 참고문헌 원병오. 1981. 한국동식물도감 제25권 동물편(조류생태). 문교부 박종길. 2014. 야생...
- 분류 :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도요목(Charadriiformes) > 갈매기과(Laridae)
- 학명 :
- Larus crassirostris Vieillot, 1818
- 국내분포 :
- 우리나라 전역의 해안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으며, 독도, 경남 통영 홍도, 전라남도 영광 칠산도, 충남 태안 난도, 인천 신도, 석도 등의 무인도에서 집단번식하는 흔한 텃새이다.
- 해외분포 :
- 사할린, 쿠릴열도, 우수리연안, 중국 남부,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특징 :
- 텃새
-
바다쇠오리 ancient murrelet철새이며, 흔한 겨울철새다. 행동 해상에서 보통 큰 무리를 이루어 먹이를 찾는다. 잠수해 작은 어류를 잡아먹는다. 구굴도, 칠발도 등지에서 많은 수가 집단번식하며 그 밖에 거제도, 백령도 주변의 무인도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풀뿌리 밑과 돌 틈 사이에 알을 낳는다. 산란기는 3월 중순에서 4월 중순까지...
- 분류 :
- 바다오리과(Alcidae)
- 서식지 :
- 쿠릴열도, 사할린, 연해주, 알류산열도, 알래스카 남부, 한국, 일본에서 번식하고, 주변해상 또는 동해안, 서해안, 남해안에서 월동한다.
- 크기 :
- L24~27.5cm
- 학명 :
- Synthliboramphus antiquus Ancient Murrelet
-
논병아리 Podiceps ruficollis생태 원산지는 태평양과 한국, 아프리카이다. 한국에서는 북한의 고산지대 호숫가에서 번식하며, 서울 근교 팔당 저수지에서도 여러 쌍이 해마다 번식한다. 겨울에는 남하집단이 합류한 뒤 중남부 전역으로 이동하여 얼지 않은 물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식성은 잡식성으로, 주로 게와 새우, 곤충류, 핵과 등을 먹는다...
- 분류 :
- 척추동물 > 조강 > 논병아리목 > 논병아리과 > 논병아리속
- 원산지 :
- 태평양, 아시아 (대한민국,북한), 아프리카
- 먹이 :
- 게, 새우
- 크기 :
- 약 23cm ~ 32cm
- 학명 :
- Tachybaputus ruficollis
- 식성 :
- 잡식
- 천적 :
- 왜가리
- 임신기간 :
- 약 21~24일
- 멸종위기등급 :
- 낮은위기
-
한국재갈매기 Mongolian Gull도서에서 번식한다. 9월 초순부터 도래해 월동하며, 4월 하순까지 머문다. 행동 주로 한강 하구, 천수만 등 담수지역에서 많은 수가 관찰되며, 그 외에 해변, 하구에서 재갈매기 사이에 섞여 활동한다. 물고기를 먹으며, 오리류를 공격해 먹이를 빼앗아 먹기도 한다. 보통 무인도 바위절벽에 둥지를 틀고, 알을 2∼3개...
- 분류 :
- 갈매기과(Laridae)
- 서식지 :
- 알타이 동남부에서 몽골 북부, 중국 동북부, 러시아 극동 등 주로 내륙 호수에서 번식하고, 주로 황해에서 월동한다.
- 먹이 :
- 물고기
- 크기 :
- 약 55~67cm
- 학명 :
- Larus mongolicus Mongolian Gull
- 임신기간 :
- 약 27∼31일
- 분포지역 :
- 중앙아시아, 한국, 일본
-
소쩍새학명은 Otus scops stictonotus (SHARPE)이다. 올빼미과 조류 중 가장 작은 새로서 몸은 회갈색 바탕에 갈색·흑색·회색 등의 복잡한 무늬가 있고, 눈은 황색...알을 낳는다. 해질녘부터 새벽까지 활동한다. 가을부터 남하 이동해오는 북녘의 번식집단이 합류해서 겨울에는 여름보다 훨씬 흔해지며 과수원이나 도시...
- 유형 :
- 생물
- 분야 :
- 과학/동물
-
흰등밭종다리 Pechora Pipit시베리아 북부에서 캄차카까지 폭 좁은 띠를 이루며 긴 지역에 걸쳐 분포한다. 몸아랫면의 줄무늬가 보다 강하다. menzbieri는 북쪽 번식집단과 격리된 아무르강 하류 유역에서 번식한다. gustavi보다 약간 작다. 정수리와 몸윗면의 줄무늬가 보다 넓다(이 때문에 몸윗면이 보다 어둡게 보인다). 몸아랫면은 담황색이...
- 분류 :
- 할미새과(Motacillidae)
- 서식지 :
- 우랄산맥 동쪽의 시베리아 북부, 러시아 극동북부, 캄차카에서 번식하고, 필리핀, 보르네오, 소순다열도, 몰루카제도에서 월동한다.
- 크기 :
- L15~16cm
- 학명 :
- Anthus gustavi Pechora Pipit
-
고대갈매기 적호갈매기, relict gull요목 갈매기과 갈매기속에 속하는 조류. 한국에서는 겨울철새이다. 몸길이는 40~45cm이며, 전체적으로 단아한 인상이다. 모래주머니가 다른 갈매기와 달리...흰색이고, 눈 뒤쪽에 검은색 반점이 있다. 내륙의 염분이 많은 호수, 호수 속의 늪지와 섬, 주변에 산지가 없는 넓은 평지에서 집단으로 번식한다. 번식기에는...
- 분류 :
- 척삭동물문 > 조강 > 도요목 > 갈매기과 > 갈매기속
- 서식지 :
- 모래밭이 있는 호수, 호수 속의 늪지와 섬, 주변에 산지가 없는 넓은 평지 등 하구나 해안 등지
- 먹이 :
- 조개, 갑각류, 물고기
- 크기 :
- 몸 길이 40~45cm
- 학명 :
- Larus relictus
- 멸종위기등급 :
-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 국내분포 :
- 천수만, 낙동강 하구, 순천만, 인천 송도갯벌, 포항 해안 등 제주도를 제외한 한반도 전역의 해안
- 분포지역 :
- 한국, 카자흐스탄, 러시아, 몽골
-
바다직박구리 blue rocktrush동공 등에 둥지를 틀고, 5~6월에 한배에 약 5~6개(대개 6개)의 알을 낳는다. 식성은 잡식으로, 곤충류와 갑각류, 복족류 등을 주식으로 한다. 우수리 남부와 중국 동북지방, 타이완 등지에서 번식하며, 북부의 번식집단은 동남아로 남하하여 겨울을 난다. 한국에는 아종인 몬티콜라 솔리타리우스 필리펜시스가 분포한다...
- 분류 :
- 척추동물 > 조강 > 참새목 > 딱새과
- 원산지 :
- 유럽 (스페인), 아시아 (대한민국,일본)
- 서식지 :
- 해안의 바위, 섬
- 먹이 :
- 꿀벌, 도마뱀, 딱정벌레, 나비, 파리
- 크기 :
- 약 23cm ~ 26cm
- 무게 :
- 약 30g ~ 60g
- 학명 :
- Monticola solitarius
- 식성 :
- 잡식
- 임신기간 :
- 약 12~15일
- 멸종위기등급 :
- 낮은위기
-
황오리 Ruddy Shelduck서식 유라시아대륙 중부에서 번식하고, 북아프리카, 남아시아, 중국, 한국, 일본에서 월동한다. 남부지방에서는 드물고 한강 하류, 김포평야, 서산 간월호, 금강...등 제한된 곳에서 적은 수가 월동한다. 드물게 제주도에 도래한다. 월동집단은 2,000~4,000개체다. 10월 초순에 도래해 4월 하순까지 관찰된다. 행동 수확...
- 분류 :
- 오리과(Anatidae)
- 서식지 :
- 유라시아대륙 중부에서 번식하고, 북아프리카, 남아시아, 중국, 한국, 일본에서 월동한다.
- 크기 :
- L57~63.5cm
- 학명 :
- Tadorna ferruginea Ruddy Shelduc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