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야생조류의 측정 Measurement사이의 상대적인 거리(길고 짧음)를 비교하는 것을 말한다. 대부분 가장 긴 첫째날개깃의 끝과 비교해 측정한다. 맹금류, 휘파람새과, 할미새과 등 참새목 조류를 비롯한 많은 종에서 익식의 비교는 닮은 종을 분류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분류 키(Key)가 된다. 또한 첫째날개깃 끝이 가장 긴 셋째날개깃 뒤로 돌출...
-
공룡의 후손, 공룡에서 조류까지알을 낳아 번식을 하고 깃털과 부리를 가지고 있다. 조류는 사지를 가지고 있는데 그중 앞다리 두 개는 날개로 변했다. 새는 어떻게 분류될까? 새는 조류라고 불리는 고유한 강으로 분류된다. 이 방대한 강 속에는 신조아강(Neornithes)이 있으며 1만여 종의 현생 새들이 속한다. 새를 분류하는 또 다른 구분으로 네오...
-
-
-
새대가리는 없다아주 작고, 다른 가축이나 반려동물처럼 사람과 살갑게 지내는 종류도 매우 적기 때문에 이런 말이 나왔는지 모른다. 그러나 진화론에서 볼 때 조류는 매우 성공적인 분류군이다. 모두 6만 3,000여 종이 있는 척추동물 가운데 어류가 3만 4,000여 종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조류가 1만 종을 차지해 포유류 5,400여 종보...
-
경희대학교 한국조류연구소 慶熙大學校韓國鳥類硏究所내용 1967년 8월에 설립되었으며 초대소장은 원병오(元炳旿)였다. 주요사업으로는 야생조류의 분류와 생태 및 보호와 이용에 관한 기초연구, 표본수집과 진열·전시, 외국표본의 교환, 일반인의 계몽과 교육, 연구사업의 수행과 간행물 발행, 정부 및 유관기관과의 자문, 국내외 학술정보교환, 국제교류이다. 『한국조류...
- 시대 :
- 현대
- 위치 :
-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동 2
- 설립 :
- 1967년 8월
- 성격 :
- 부설연구소
- 유형 :
- 단체
- 분야 :
- 교육/교육
-
-
종다리 종달새, Eurasian Skylark앉아 있을 때 날개에 적갈색 톤이 뚜렷하다. 날 때 보이는 둘째날개깃 가장자리가 엷은 갈색이며, 바깥쪽 꼬리깃이 담황색이다(흰색인 경우도 있다). 분류 11아종으로 분류한다. 아종 구별은 매우 힘들다. 국내에는 4아종(pekinensis, lonnbergi, intermedia, japonica)이 알려져 있지만 월동하거나 이동하는 무리의...
- 분류 :
- 종다리과(Alaudidae)
- 서식지 :
- 영국, 유럽에서 캄차카에 이르는 유라시아, 아프리카 북부에 이르기까지 폭 넓은 지역에 분포한다.
- 크기 :
- 수컷 16.5~18cm, 암컷 15.5~17cm
- 학명 :
- Alauda arvensis Eurasian Skylark
-
시블리 알퀴스트 조류 분류시블리 알퀴스트 조류분류(Sibley-Ahlquist taxonomy of birds)는 찰스 시블리와 존 알퀴스트가 제안한 기본 조류 이다. 이는 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까지 수행하였던 DNA-DNA 분자 교잡법 연구에 기초하고 있다. 평흉류 (Ratitae) 타조목 (Struthioniformes) 타조과 (Struthionidae) 레아과 (Rheidae) 화식조과...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