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중베짱이 great green bush-cricket개요 몸길이는 수컷이 29-35mm, 암컷이 26-35mm이고 머리-날개 끝 길이는 암수 모두 35-43mm이다. 체색은 녹색이나 두정, 앞가슴등 정중부, 날개 접합부, 경절은 옅은 갈색이고 배쪽으로 갈수록 노란색이 강하며 등쪽은 연한 갈색을 띤다. 앞날개는 후퇴절 무릎 부근에 머물고 폭이 넓어서 긴날개중베짱이와 구별된다...
- 분류 :
- 절지동물문 > 곤충강 > 메뚜기목 > 여치과 > 중베짱이속
- 학명 :
- Tettigonia ussuriana Uvarov, 1939
- 국내분포 :
- 한국 고유종
- 해외분포 :
- 일본(쓰시마), 중국 동북부, 극동 러시아
-
고려 19대 왕, 명종 고려 제 19대 왕, 明宗이다. 인종의 셋째 아들이며, 의종의 친동생이다. 비는 김온(金溫)의 딸 의정왕후(義靜王后)이다. 1148년(의종 2) 익양후(翼陽侯)에 책봉되었다. 1170년 정중부(鄭仲夫) 등이 무인난을 일으켜 의종을 몰아내고 추대하여 즉위했다. 정중부 등 무인이 정권을 장악한 이후 과거에 문신들이 했던 것보다 더욱 횡포가 심하자...
- 출생 :
- 1131(인종 9)
- 사망 :
- 1202(신종 5)
- 국적 :
- 고려, 한국
- 종교 :
- 불교
- 재위 :
- 1170년∼1197년
- 시호 :
- 황명광효대왕(皇明光孝大王)
- 능묘 :
- 지릉(智陵:知陵)
-
북방실베짱이 극동실베짱이개요 몸길이는 수컷이 18-23mm, 암컷이 22-27mm로 중형에 속한다. 몸색은 녹색이다. 더듬이는 연하고 희미한 마디 무늬가 있다. 앞가슴등판 정중부는 황록색 또는 담갈색이다. 앞날개 접합부가 수컷은 갈색, 암컷은 황백색이다. 앞가슴은 전연은 다소 오목하고 후연은 폭이 넓어지며 중간이 오목하다. 수컷의 앞날개는...
- 분류 :
- 절지동물문 > 곤충강 > 메뚜기목 > 여치과 > 북방실베짱이속
- 학명 :
- Kuwayamaea sapporensis Matsumura & Shiraki, 1908
- 국내분포 :
- 한국 고유종
- 해외분포 :
- 극동 러시아
-
허승 許升생애 및 활동사항 용력이 있어 모든 사람들이 탄복하였다고 한다. 당시 정중부(鄭仲夫)와 아들 정균(鄭筠)의 횡포가 심하자 기회를 노리고 있던 경대승(慶大升)과 만나, 1179년(명종 9) 견룡장(牽龍將)으로서 경대승과 함께 정중부·송유인(宋有仁)을 제거하였다. 그 공으로 태자부지유별장(太子府指諭別將)이 되자...
- 시대 :
- 고려
- 출생 :
- 미상
- 사망 :
- 1180년(명종 10)
- 경력 :
- 태자부지유별장(太子府指諭別將)
- 유형 :
- 인물
- 직업 :
- 관리, 무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민어리쌕쌔기여치과의 곤충으로 몸길이 수컷은 12-14mm, 암컷은 8-12mm 정도로 소형이다. 몸 색깔은 전반적으로 연한 황록색이다. 부분적으로 앞가슴등판과 복부등면 정중부는 갈색 띠무늬가 있다. 수컷 앞가슴등판은 머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길다. 측엽 하연은 둥글고 후연은 심하게 경사진다. 앞날개는 미시형으로 앞가슴등판...
- 분류 :
- 절지동물문 > 곤충강 > 메뚜기목 > 여치과 > 민어리쌕쌔기속
- 학명 :
- Cosmetura fenestrata Yamasaki, 1983
- 국내분포 :
- 한국 고유종(서남부, 제주도, 울릉도)
- 해외분포 :
- 일본
-
조동희 趙冬曦불법한 틈을 타서 수령을 죽이고 수탈한 것을 평정한 공으로 병부시랑(兵部侍郞)이 되었다. 1170년 왕업을 연장시킬 땅을 살펴보러 서해도에 출장갔다가 정중부(鄭仲夫)의 반란 소식을 듣고 토벌군사를 모으려고 동계(東界)로 넘어갔으나, 철령에서 호랑이가 길을 막는 바람에 반란군의 추적으로 군사에게 체포되었다...
- 시대 :
- 고려
- 출생 :
- 미상
- 사망 :
- 1170년(의종 24)
- 경력 :
- 탐라안무사(耽羅按撫使), 병부시랑(兵部侍郞)
- 유형 :
- 인물
- 직업 :
- 관리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노영순 경숙(敬肅), 盧永淳부낭중 김장(金莊) 등과 함께 나가 도둑의 괴수 이쌍(異雙) 등을 잡아 죽이고 그 일당을 토평하였다. 이 공으로 뒤에 승선(承宣)에 올랐다. 1170년(의종 24) 정중부(鄭仲夫)의 난 때 호종하였던 신료들을 비롯하여 많은 문신들이 화를 당하였으나, 본래 무인가(武人家)의 자손이며 평소 무신들과 친하게 지냈던 관계로...
- 시대 :
- 고려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합문지후, 참지정사, 문하시랑평장사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정중부의 난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본관 :
- 교하(交河)
-
폐왕성지 廢王城址터와 연못이 있으며, 북단에는 기우제와 산신제를 행하던 제단이 있다. 《거제군지 巨濟郡誌》에 따르면, 이 성은 고려 의종 24년(1170) 상장군(上將軍) 정중부(鄭仲夫) 등의 무신들이 경인(庚寅)의 난을 일으킨 결과 왕이 거제도로 추방되어 3년간 지내던 곳이다. 그 후 정중부의 난에 반대하여 1173년(명종 3) 동북면...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