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라크르텔 Jean-Charles-Dominique de Lacretelle, the Yo..
    프랑스 혁명을 역사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1787년 법률가이며 정치활동가였던 형 피에르가 불러서 파리로 간 그는 입헌군주제를 옹호하는 '푀양 클럽' 회원이 되었다. 그는 〈주르날 데 데바 Journal des Débats〉·〈주르날 드 파리 Journal de Paris〉에 루이 16세의 재판과 죽음(1792~93)을 보도하면서 군주제에...
    출생 :
    1766. 9. 3, 프랑스 메스
    사망 :
    1855. 3. 26, 마콩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알폰소 12세 Alfonso XII
    짧은 재위기간(1874~85)에 입헌군주제의 실현에 대한 희망을 불러일으켰다. 스페인 여왕 이사벨 2세의 살아남은 맏아들로, 아버지는 여왕의 부군 카디스 공작인 것 같다. 1868년 9월 혁명이 일어나자 퇴위한 어머니를 따라 망명해 빈에 있는 테레지아눔과 영국 샌드허스트에 있는 왕립 육군대학에서 교육을 받았다...
    출생 :
    1857. 11.28, 마드리드
    사망 :
    1885. 11. 25, 마드리드
    국적 :
    스페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계몽주의와 과학혁명의 시대 연대기
    통치하면서 서유럽 문명을 도입함으로써 러시아를 강력한 유럽 국가의 반열에 올려놓음. · 영국 의회가 윌리엄 3세와 메리 2세를 왕과 왕비로 추대하면서 권리장전(the Bill of Rights, 1689)승인 요구. 내용의 골자는 왕의 절대 권력을 제한하기 위해 의회를 통해서 통치한다는 것으로서, 영국 입헌군주제의 바탕이 됨...
    도서 누구나 세계사 | 태그 세계사
  • 기조 François(-Pierre-Guillaume) Guizot
    파리로 돌아와 법률을 공부했고 반나폴레옹 문학 모임에 자주 나갔다. 1812년 파리대학교의 역사교수가 되었다. 제1차 부르봉 왕정복고(1814)에 가담해 입헌군주제의 유력한 지지자가 되었으며, 독트리네르라는 단체에 들어가 〈대표정부와 현재 프랑스의 여건 Du gouvernement représentatif et de l'état actuel de...
    출생 :
    프랑스 님, 1787. 10. 4
    사망 :
    1874. 10. 12, 발리셰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아라비아의 정치와 사회
    나라들의 정치 형태는 아직은 느슨한 예멘의 공화제에서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부분적이었던 바레인과 쿠웨이트의 입헌군주제, 나머지 나라들의 보다 순수한 군주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입헌군주제는 아라비아의 전통적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잘 발달되어 있지 않다. 지금까지 공개적인 토의형태로서의 정당제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중동
  • 구치코프 알렉산드로 구치코프, Aleksandr Ivanovich Guchkov
    보어 전쟁(1899~1902)에서 영국에 맞서 싸웠고 러일전쟁(1904~05) 때는 러시아 적십자회를 이끌었다. 1905년 혁명으로 니콜라이 2세가 어쩔 수 없이 입헌군주제(立憲君主制) 수립을 내용으로 하는 10월선언을 발표한 뒤 구치코프는 10월당 창당을 도왔다. 10월당은 황제의 선언을 지지하고 더 많은 개혁을 실시하기 위해...
    출생 :
    모스크바, 1862. 10. 26(구력 10. 14)
    사망 :
    1936. 2. 14, 파리
    국적 :
    러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라메트 Alexandre (-Theodore-Victor), comte de Lameth
    생각하고 비밀리에 그들의 〈로고그라프〉지를 후원하던 왕실의 자문 역할을 했다. 그러나 1791년 6월에 루이 16세가 프랑스를 빠져나가려다 들키자 입헌군주제라는 새로운 정치제도는 불신받기 시작했다. 이렇게 되자 그들은 세력을 모으기 위해 자코뱅 클럽을 탈퇴하고 푀양 클럽을 만들었다. 이 3명은 1791년 10...
    출생 :
    1760. 10. 28, 프랑스 파리
    사망 :
    1829. 3. 18, 파리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유럽 근대 시민 사회의 형성, 프랑스 대혁명
    국왕이 새로운 헌법을 제정할 때까지 해산하지 않고 싸울 것을 선언했다. 이를 ‘테니스 코트의 서약’이라 한다. 이들이 염두에 두고 있었던 것은 입헌 군주제를 기반으로 한 영국식 의회민주주의였다. 격분한 왕이 군대를 소집해 국민의회를 해산시킬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다. 분개한 파리 시민들은 민병대를 조직하기...
    시대 :
    1789년
  • 스페인 역사 읽기
    몰락하자 다시 왕권을 장악하게 된다. 그러나 그의 강압적인 통치는 분열을 야기하는데, 크게 보면 철저한 왕정을 주장하는 보수파와 공화정이나 입헌군주제를 지지하는 자유파의 대립이었다. 우여곡절 끝에 그의 뒤는 딸 이사벨 2세(Isabel II, 1830~1904)가 물려받았다. 자유주의자들은 이사벨 2세를 이용해 스페인의...
  • 루아예 콜라르 Pierre Paul Royer-Collard
    부르봉 왕조에 의한 입헌군주제를 주장했으며, 전형적인 실재적 지각론자(知覺論者)였다. 1787년 이후 법률가로 활동했던 루아예 콜라르는 처음부터 프랑스 혁명을 지지하여 파리 코뮌에서 장관(1790~92)을 지내기도 했으나, 1793년 온건파인 지롱드당이 타도되자 송퓌로 은퇴했다. 1797년 마른 주 대표로 500인회에...
    출생 :
    1763. 6. 21, 프랑스 송퓌
    사망 :
    1845. 9. 4, 샤토비외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관념론의 정치철학 합리론 중심의 경험론 수용과 변증법
    이익과 공동의 이익 중에 어느 한 가지만이 강조되거나 실현되는 일이라곤 없다. 헤겔은 인륜적 국가를 실현하는 가장 적절한 정체로 입헌 군주제를 제시한다. “국가의 입헌군주제로의 완성은 실체적 이념이 무한의 형식을 획득하게 된 근대세계의 업적이다.” 그는 국가에 필요한 권리를 세 가지로 구분한다. 원칙을...
  • 바르나브 Antoine(-Pierre-Joseph-Marie) Barnave
    급진적인 자코뱅 모임에서 호응받게 됨에 따라 그의 영향력은 상당히 줄어들었다. 미라보의 죽음과 1791년 봄 파리 민중들의 폭동이 일어나자 그는 강력한 입헌군주제를 지지하면서 부유한 자산계급을 동원해야 할 위기상황이 왔다고 확신했다. 그해 6월 루이 16세가 프랑스를 탈출하려다 실패하자 그는 당시의 헌법을...
    출생 :
    1761. 10. 22, 프랑스 그르노블
    사망 :
    1793. 11. 29, 파리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입헌 군주제(constitutional monarchy)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