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문소설 新聞小說
    1906년 〈만세보〉에 연재된 이인직의 〈혈의 누〉(상편)이며, 이 작품이 발표된 후부터 소설은 대부분 신문에 연재되었다. 초기의 신문소설은 이인직·이해조·최찬식 등의 작품이 대부분이며, 개화운동의 수단으로 삼아 미신타파·자유연애·남녀평등을 내세워 대중계몽의 역할을 했다. 신문소설은 1920년대에 〈동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소설
  • 김학공전 金鶴公傳
    또한 이전의 고전소설에서 주인공의 적대자는 곧 나라의 역적이기도 했는데, 이 작품에서 주인공의 적대자는 학공 일가에게만 해를 끼치는 특징을 보여준다. 영창서관본(1923)과 경성서적조합본(1926)이 있다. 현재 쓰이고 있는 세창서관본은 영창서관본과 같다. 이해조의 신소설 〈탄금대〉는 이 작품을 개작한 것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소설
  • 잠상태 岑上苔
    영영전(英英傳)」을 바탕으로 「운영전(雲英傳)」·「춘향전」 등 우리의 전통 재자서(才子書)의 영향도 함께 아우른 아류작이다. 그럼에도 이 작품은 이해조의 문학이 이인직(李人稙)과 달리 전통적 교양과 깊이 연결되어 있으며, 재자서의 밑바탕에 흐르고 있는 인간해방의 염원이 그의 계몽사상에 기초가 되고 있다는...
    시대 :
    근대
    저작자 :
    이해조
    창작/발표시기 :
    1906년(연재 시작), 1907년(연재 종료)
    성격 :
    한문소설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한문학
  • 주체문학론
    문학사에서도 1927년 방향 전환 이후의 카프문학은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비판적 사실주의 문학이나 20세기 초엽의 이해조·이인직·이광수·최남선 등도 응당한 수준에서 취급해야 하고, 일제시대에 진보적인 작품을 창작한 신채호·한용운·김억·김소월·정지용·심훈·이효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기호흥학회월보 畿湖興學會月報
    기호흥학회의 기관지. 1908년 8월 25일 창간, 1909년 7월 25일 통권 12호를 끝으로 강제 폐간당했다. 발행인은 김규동, 편집인은 이해조. 국판 70쪽 안팎. 국권회복과 학문의 발전, 대중의 일깨움을 목적으로 했으며, '대한제국의 독립기초와 이천만인의 자유정신과 기호 삼성의 흥학주의'를 창간 취지로 삼았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출판
  • 기호흥학회 畿湖興學會
    조희철(趙熙轍)·유치훈(兪致勳)·김인식(金仁湜)·남기석(南基奭) 등이었다. 회보로 『기호흥학회월보』를 발간하였다. 발행인은 김규동(金奎東), 편집인은 이해조(李海朝)이다. 1909년 7월까지 월간·국판으로 통권 12호를 발간했으나, 내용이 국권 회복에 관계된다 하여 제6·9·10·11호 등이 여러 번 압수되기도...
    시대 :
    근대
    설립 :
    1908년 1월
    성격 :
    사회운동단체, 애국계몽단체
    유형 :
    단체
    해체 :
    1910년 9월
    설립자 :
    정영택 외 기호인사 105명
    분야 :
    역사/근대사
  • 구연학 具然學
    1908년 일본의 스에히로 뎃초[末廣鐵腸]의 소설 〈설중매 雪中梅〉를 번안했다. 그의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고, 다만 애국계몽운동에 적극적인 관심을 가졌던 듯하다. 〈설중매〉는 이인직의 〈은세계〉, 이해조의 〈자유종〉과 함께 개화기 3대 정치소설로 불린다.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이우정 李愚貞
    개설 경기도 포천 출신. 본관은 전주. 조선왕조의 후예로, 신소설 『자유종』의 작가 이해조(李海朝)의 손녀이다. 해방 전 경기여자고등학교를 졸업, 1951년 한신대학교 신학과를 나온 후 1953년까지 캐나다 토론토의 엠마누엘 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했다. 부유한 집안 출신이었으나 일찍이 고아가 되었고, 성장기에...
    시대 :
    현대
    출생 :
    1923년
    사망 :
    2002년
    경력 :
    한신대한교 교수, 국회의원, 국회 여성특별위원회 위원장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민주구국선언문사건, 동아일보 격려 광고, KBS 시청료 납부거부운동
    직업 :
    사회운동가
    대표작 :
    한국기독교 여성백년의 발자취, 여신도회60년사, 여성신학의 이해, 여성들을 위한 신학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이광수
    보다 줄어들며, 평면적 인물상과 대립 구도에서 벗어나기 시작한 새로운 형태의 소설들이 등장하는데, 이를 '신소설'이라고 부른다. 이인직의 〈혈의 누〉, 이해조의 〈자유종〉, 최찬식의 〈추월색〉 등이 대표적이다. 여기서 더욱 발전한 형태로, 근대적인 문제의식을 가지고 인물의 심리 묘사와 자아의 발견에 주목...
    출생 :
    1892년 03월 04일
    사망 :
    1950년 10월 25일
    대표작 :
    《무정》, 《재생(再生)》, 《마의태자》, 《단종애사》, 《흙》, 《이순신》 등
  • 화의 혈 花의 血
    시기에 부패한 관료들의 모습을 폭로하였다. 이는 다양한 독자층을 포섭하기 위한 소설적인 전략의 일환이며, 한일 강제 병합 직후 『매일신보』에 연재된 이해조 소설의 특징이기도 하다. 또한 동학농민혁명 직후의 시대상이 사실적으로 반영되어 있고, 서문과 발문에 작자의 소설관이 드러나 있다는 점은 이 작품의...
    시대 :
    근대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산 위의 세 시체 설화 산상삼시여전설화(山上三屍與錢說話)
    있다. 또한, 지혜로운 원님이나 아이가 이러한 살인사건을 해결하는 식으로 설정하는 경우도 있다. 이 설화는 욕심은 다시 새로운 욕심을 낳아 결국에는 파국에 이르고 만다는 교훈을 흥미로운 구성으로 전개하고 있다. 이해조(李海朝)의 1909년작인 「원앙도(鴛鴦圖)」에 이 설화가 삽화로 채용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저작자 :
    미상
    성격 :
    설화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구비문학
  • 춘외춘 春外春
    서지사항 『춘외춘(春外春)』은 1912년 1월 1일부터 3월 14일까지 58회에 걸쳐 이해조가 ‘이열재(怡悅齋)’라는 필명으로 『매일신보(每日申報)』에 연재하였으며, 이후 1912년 12월 25일 신구서림(新舊書林)에서 상 · 하권 단행본으로 발행되었다. 내용 『춘외춘』은 근대식 학교 교육을 받은 여성 주인공이 계모의...
    시대 :
    근대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현대문학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3건

이해조
자유종 / 이해조
홍도화 / 이해조
명암집 / 이해조
빈상설 / 이해조
춘외춘 / 이해조
명암집 / 이해조
이해조의 모란병 중 표지
신문학 운동의 선구자 가운데 한 사람인 〈자유종〉의 작가 이해조
이해조가 편집에 참여하여 작품도 연재한 〈소년한반도〉
악독한 계모를 등장시키는 등 고대 소설로 돌아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마저 불러일으킨 이해조의 신소설 〈구의산〉
화세계
쌍옥적
철세계
비파성
빈상설 / 이해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