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목재의 구조
    육안으로는 뚜렷이 구별되지 않지만, 여기서 물관부나 체관부가 될 모든 세포를 생산한다. 온대지역에서는 목재의 나이테가 1년에 하나씩 생기지만 다양한 환경조건에서는 그 이상이 만들어지기도 하며, 열대지역에서는 건기·우기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기타 환경요인에 의해서도 만들어진다. ① 춘재(春材)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포
  • 항문 열구 Anal fissure
    뒤쪽은 해부학적으로 혈액 공급이 가장 약한 부위라 상처가 나더라도 잘 아물지 않습니다. 항문관의 압력이 높은 사람은 높은 압력을 밀치고 딱딱한 대변이 나와야 하므로 항문이 더 잘 찢어질 수 있습니다. 일단 항문이 찢어져 통증이 생기면 항문 괄약근이 자연적으로 수축하면서 항문관 압력이 더 높아집니다. 이에...
    분류 :
    소화기질환
    발생 부위 :
    엉덩이
    증상 :
    항문 통증, 항문주위 염증, 항문출혈
    진료과 :
    소화기내과, 외과
    관련 질환 :
    항문암, 크론병, 항문 주위 농양, 항문 누공, 변비, 항문 및 직장의 궤양, 항문소양증
    도서 질병백과 | 태그 질병
  • 비용종 Nasal polyp
    증상이 동반됩니다. 물혹을 장기간 방치하면, 물혹이 콧구멍 밖으로 나오거나 비중격이나 콧등이 넓어지는 변형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진단 비용종이 크다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지만, 작다면 내시경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비용종이 확인되면, 단순 부비동 촬영 및 CT 촬영을 통해 해부학적 이상 구조나 병리적 변화가...
    분류 :
    귀코목질환
    발생 부위 :
    증상 :
    코골이, 코막힘, 콧물
    진료과 :
    이비인후과
    관련 질환 :
    부비동염
    도서 질병백과 | 태그 질병
  • 수막종 Meningioma
    부위의 해부학적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증상이 나타납니다. 원인 뇌수막종은 대부분이 자연적으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드물게는 제2형 신경섬유종증과 같이 유전적인 질환과 관계가 있습니다. 외상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뇌수막종의 발생도 언급되고 있지만, 그 근거가 희박합니다. 수막종의 위험 인자로는...
    분류 :
    뇌신경정신질환
    발생 부위 :
    머리
    증상 :
    감정 변화, 뇌전증 발작 , 두통, 복시, 시력 감소, 언어장애, 운동장애
    진료과 :
    신경외과
    관련 질환 :
    뇌종양
    도서 질병백과 | 태그 질병
  • 치관 Crown (tooth), 齿冠
    치관(齒冠, 치아머리, 하나의 치아를 놓고 봤을 때 잇몸에 감추어져 있지 않고 육안으로 관찰할 보이는 부분을 가리킨다. 해부학적 치관(解剖學的齒冠, anatomical crown)은 법랑질을 둘러싸고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치아는 해부학적으로 치관과 치근으로 나뉠 수 있으며, 법랑질이 둘러싸고 있는 부분을 해부학적 치관...
    도서 위키백과
  • 위앞엉덩뼈가시 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위앞엉덩뼈가시의 가쪽 측면(엉덩뼈결절에서는 5cm가량 떨어진 지점)에 붙는다.인용인용 위앞엉덩뼈능선은 골반에서 엉덩뼈능선의 앞쪽 끝을 일컫는다. 표면해부학에서 핵심적인 랜드마크 역할을 하며 촉진하기도 쉽다. 마른 사람의 표면에서는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지만, 살찐 사람에서는 비교적 어렵다. 이때 앉은...
    도서 위키백과
  • 긴손바닥근 Palmaris longus muscle, 長掌筋
    해부학 정보 긴손바닥근(palmaris longus) 또는 장장근(長掌筋)은 노쪽손목굽힘근과 자쪽손목굽힘근 사이에 위치하는, 작은 힘줄로 이루어진 근육이다. 항상...꼬집는 힘이 약해진다. 한편 남성보다 여성에서 긴손바닥근이 없는 경우가 더 많다. 긴손바닥근은 넷째 손가락과 엄지를 서로 맞닿게 한 뒤, 손목을 굽히면 육안
    도서 위키백과
  • 신경관 Neural tube, 神経管
    분절을 육안으로 분간할 수 있는 것은 잠시뿐으로, 사람의 경우 발생 약 21일째에 나타났다가 35일째가 되면 사이뇌에서, 40일째가 되면 마름뇌에서마저 사라진다. 이 때문에 20세기 초부터 신경분절은 특별한 역할이 없는 일시적인 구조로 간주되기에 이르렀다. 오늘날 일부 학자는 조직학 소견 및 유전자 발현을 근거...
    도서 위키백과
  • 자쪽손목굽힘근 Flexor carpi ulnaris muscle, 尺側手根屈筋
    해부학 정보 자쪽손목굽힘근(flexor carpi ulnaris, FCU) 또는 척측수근굴근(尺側手根屈筋)은 아래팔앞칸의 근육으로, 수축했을 때 손목관절의 굽힘과 모음을 일으킨다. 자쪽손목굽힘근은 위팔갈래(humeral head)와 자갈래(ulnar head), 두 갈래로 일어난다. 위팔갈래는 온굽힘근힘줄을 통해 위팔뼈의 안쪽위관절융기...
    도서 위키백과
  • 노쪽손목굽힘근 Flexor carpi radialis muscle, 橈側手根屈筋
    해부학 정보 노쪽손목굽힘근(flexor carpi radialis) 또는 요측수근굴근(橈側手根屈筋)은 사람 아래팔앞칸 얕은층의 근육으로, 손을 굽히고 벌리는 작용을 한다. 노쪽손목굽힘근은 아래팔앞칸 얕은층에 위치하는 근육이다. 온굽힘근힘줄의 일부로서 위팔뼈의 안쪽위관절융기에서 기시한다. 이는곳에서 노쪽손목굽힘근의...
    도서 위키백과
  • 병리학 Pathology, 病理学
    표본을 육안이나 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검사해, 그것들이 질병에 침범되었을 때에 어떤 변화를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이다. 일반병리학 : 진단이나 치료를 위하여 질환의 과정을 연구, 인체의 각 장기별, 연구분야별로 세분화됨 (신경계병리, 부인과병리, 혈액병리, 소화기병리, 신장병리, 유방병리, 내분비...
    도서 위키백과
  • 네모엎침근 Pronator quadratus muscle, 方形回内筋
    해부학 정보 네모엎침근(pronator quadratus muscle) 또는 방형회내근(方形回內筋)은 손을 엎쳐 손바닥이 아래쪽으로 가게 하는 아래팔 먼쪽의 사각형 근육이다. 아래팔의 가장 깊은 근육으로, 이 때문에 촉진이나 육안으로 관찰하기는 어렵다. 근섬유의 주행 방향은 팔의 방향과 수직으로, 자뼈 앞면의 먼쪽 1/4...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