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관광 시리즈(제5집) 제주도(감귤밭)665m이며, 양봉의 계곡을 따라 약 2km 암마이봉 쪽으로 산을 끼고 돌면 마이탑사가 있다. 탑사의 석탑은 대소 120여 개가 있고, 산장도 있으며 또 계곡 부근에는 은수사라는 절이 있다. 2. 제주도 (감귤밭) 감귤은 우리나라 서남방에 위치한 제주도의 특산물로서 운향과에 속하는 상록 활엽관목으로 키는 2~4m가량이고...
- 발행일 :
- 1973.10.20
- 발행량 :
- 2000000
- 종수 :
- 2
- 액면가격 :
- 10원
- 디자인 :
- 제주도(감귤밭)
- 우표번호 :
- 867
- 인면 :
- 33×23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5×4
- 용지 :
- 백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어 4도색
- 디자이너 :
- 강춘환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관광 시리즈(제5집) 진안(마이산)665m이며, 양봉의 계곡을 따라 약 2km 암마이봉 쪽으로 산을 끼고 돌면 마이탑사가 있다. 탑사의 석탑은 대소 120여 개가 있고, 산장도 있으며 또 계곡 부근에는 은수사라는 절이 있다. 2. 제주도 (감귤밭) 감귤은 우리나라 서남방에 위치한 제주도의 특산물로서 운향과에 속하는 상록 활엽관목으로 키는 2~4m가량이고...
- 발행일 :
- 1973.10.20
- 발행량 :
- 2000000
- 종수 :
- 2
- 액면가격 :
- 10원
- 디자인 :
- 진안(마이산)
- 우표번호 :
- 866
- 인면 :
- 33×23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5×4
- 용지 :
- 백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어 4도색
- 디자이너 :
- 강춘환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대관군 大館郡등이 분포해 있으며, 특히 요하리 · 양산리 · 청계리 일대에 집중되어 있다. 형성 및 변천 본래 이 지역은 평안북도 삭주군 지역이었다. 1952년 12월 행정구역 통폐합과 함께 삭주군에서 갈라져 신설되었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대관읍 1읍, 금창리, 남장리, 답풍리, 대안리, 덕연리, 량산리, 로흥리, 료하리...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이삭여뀌끝이나 잎겨드랑이에 가늘고 긴 이삭모양의 수상 꽃차례를 이루어 핀다. 열매는 10월에 익으며 양끝이 좁고 길이 2.5mm정도의 갈색 수과로 꽃받침으로 싸여 있다. 식용, 관상용으로 쓰이며 양봉농가의 밀원자원으로도 쓰인다. 민간에서는 전초는 관절통, 위통 등에 사용한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참고문헌
- 분류 :
- 마디풀과
- 서식지 :
- 냇가와 숲 가장자리의 음지
- 학명 :
- Persicaria filiforme Nakai
- 분포지역 :
- 한국, 일본, 중국
- 번식 :
- 종자
- 생활사 :
- 여러해살이
-
개살구나무 행자(杏子)특징 및 사용 방법 나무껍질은 코르크가 발달하였으며 작은 가지는 밤색이고 털이 없다. 살구나무는 재배하나 개살구나무는 야생한다. 관상용·공업용·밀원(양봉)·향료·약용으로 이용된다. 과육은 식용하고 씨는 약용한다. 과육은 생식하거나 말려 먹기도 하며 잼이나 주스로 만들기도 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 분류 :
- 낙엽 활엽 교목
- 학명 :
- Prunus mandshurica var. glabra
- 분포지역 :
- 중부, 북부
- 자생지역 :
- 산기슭 양지바른 곳, 마을 부근
- 번식 :
- 실생·꺾꽂이·접목
- 약효 부위 :
- 씨·열매·나무껍질
- 생약명 :
- 행인(杏仁)
- 키 :
- 5~10m
- 과 :
- 장미과
- 채취기간 :
- 6~7월
- 취급요령 :
- 종인(種仁)을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따뜻하며, 쓰고 맵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4~6g
- 주의사항 :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 살구의 종인(種仁)
-
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꿀벌이 분포하는 거의 모든 아시아 국가에서 동양종꿀벌과 함께 발견되고 있다. 중국에서는 1971년 겨울, 광동성의 불강, 종화, 증성 등지에서 중국낭충봉아부패병이 최초로 발생했고 다음 해에 광동성 전체에 유행했다. 매우 빠르게 복건성, 강소성, 강서성, 절강성, 안휘성, 호남성, 사천성, 청해성, 귀주성 등지...도서 위키백과
-
벌깨덩굴 벌개덩굴이런 까닭에 민가에서는 양봉을 위한 밀원식물로도 활용된다. 벌깨덩굴은 산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숲속에 약간 습기가 있는 그늘진 곳에서 잘 자란다...속하며 주로 관상용으로 쓰이고, 어린잎은 식용으로 쓰인다. 또 민간에서는 약재로도 쓰인다.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북부에 분포한다. 직접 가꾸기...
- 분류 :
- 꿀풀과
- 서식지 :
- 숲속에 약간 습기가 있는 그늘진 곳
- 꽃색 :
- 보라색
- 크기 :
- 키는 약 15~30㎝ 정도
- 학명 :
- Meehania urticifolia (Miq.) Makino
- 용도 :
- 관상용, 어린잎은 식용, 약재
- 분포지역 :
-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북부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
- 결실기 :
- 7~8월경
-
붉은벌깨덩굴입술 모양을 한 채 한쪽을 향해 핀다. 열매는 7~8월경에 달걀 모양으로 달린다. 꿀풀과에 속하며, 관상용으로 쓰이고, 어린잎은 식용한다. 또 꿀이 많아 양봉 농가에서 밀원식물로 이용하는 품종이다. 오대산과 설악산에 분포한다. 직접 가꾸기 붉은벌깨덩굴은 이른 봄에 포기나누기와 7~8월에 익는 종자를 바로 화분에...
- 분류 :
- 꿀풀과
- 서식지 :
- 숲속에 약간 습기가 있는 그늘진 곳
- 꽃색 :
- 붉은색
- 크기 :
- 키는 약 15~30㎝ 정도
- 학명 :
- Meehania urticifolia f. rubra T. B. Lee
- 용도 :
- 관상용, 어린잎은 식용, 밀원식물
- 분포지역 :
- 오대산과 설악산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
- 개화기 :
- 5월
- 결실기 :
- 7~8월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