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라크샤사 나찰, raksasa
    라크샤사가 다 똑같이 사악한 것은 아니어서, 어떤 라크샤사는 야크샤(자연의 정령)들과 더 유사한 반면, 어떤 라크샤사들은 전통적으로 신에게 대항해온 아수라와 비슷하다. 그러나 대개 라크샤사라 하면 공동묘지를 떠돌며 사람의 살을 파먹고 마술이라도 부린 듯이 소젖을 바싹 짜 마셔버리는 악마들을 가리킨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힌두교 , 종교
  • 5취생사륜 五趣生死輪, bhava-cakra
    형상화되어 있다. 바퀴 중심과 테 사이의 공간은 바퀴살에 의하여 5개 부분(나중에는 6개 부분)으로 나누어졌으며 윤회의 영역으로 지옥·아귀·축생·아수라(6개 부분일 경우)·인간·천상의 세계가 묘사되어 있다. 수레바퀴의 바깥테에는 12지연기의 12개 고리, 곧 무명(無明),행(行),식(識),명색(名色),6입(六入),촉...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제53회 대종상 53rd Grand Bell Awards, 第53屆大鐘獎
    곡성(哭聲) - 김환희 수상 귀향 - 강하나 귀향 - 최리 계춘할망 - 이슬비 귀향 - 조정래 수상 검사외전 - 이일형 널 기다리며 - 모홍진 곡성(哭聲) - 홍경표 수상 아수라 - 이모개 내부자들 - 고낙선 고산자, 대동여지도 - 최상호 밀정 - 김지용 곡성(哭聲) - 김선민 수상 아수라 - 김상범 외 1명 터널 - 김창주 내부자...
    도서 위키백과
  • 완주 대각사 몽산화상육도보설 육도보설(六道普說), 完州 大覺寺 蒙山和尙六道普說
    널리 보급되고 활용된 선종 관련 불교 전적이다. 『육도보설』은 몽산화상 덕이가 일체유심조의 입장에서 지옥(地獄) · 아귀(餓鬼) · 축생(畜生) · 아수라(阿修羅) · 인간(人間) · 천상(天上)의 육범(六凡)과 성문(聲聞) · 연각(緣覺) · 보살(菩薩) · 불(佛)의 사성(四聖)을 합한 십계(十界)를 설하여 범부의...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몽산화상육도보설 육도보설, 蒙山和尙六道普說
    설법의 서두는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라는 『화엄경(華嚴經)』의 게송(偈頌)으로 시작하면서도 일반 대중을 위해 지옥(地獄), 아귀(餓鬼), 축생(畜生), 아수라(阿修羅), 인간(人間), 천상(天上)으로 구별되는 세계를 설명한다. 이 육도는 선악의 업력을 통해 의지와 관계없이 윤회하는 고통의 세계이다. 이어서...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사생 四生, catvāro yonayaḥ
    乾達婆)와 같이 사념에 의해 태어나거나, 극락정토와 같이 연꽃 가운데서 태어나는 경우를 가리키기도 한다. 또한 생존방식의 고락에 따라 하늘·인간·아수라·축생·아귀·지옥의 여섯 가지 세계를 윤회하는데 이것을 육도(六道)라 한다. 불교의 유식학에서는 중생이 태어나는 원인을 아뢰야식에 저장된 습성이 업력...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제석천 帝釋天
    선견성(善見城)에 머무르면서 사천왕(四天王)과 주위의 32천왕(天王)을 통솔한다. 그는 불법을 옹호하며, 불법에 귀의하는 사람들을 보호할 뿐 아니라, 아수라(阿修羅)의 군대를 정벌하기도 한다. 그의 무기는 그물인데, 이것을 인다라망(因陀羅網)이라고 하여 세간의 얽히고 설킨 인과에 비유한다. 원래 인도의 신격...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몽산화상육도보설 육도보설, 蒙山和尙六道普說
    설법의 서두는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라는 『화엄경(華嚴經)』의 게송(偈頌)으로 시작하면서도 일반 대중을 위해 지옥(地獄), 아귀(餓鬼), 축생(畜生), 아수라(阿修羅), 인간(人間), 천상(天上)으로 구별되는 세계를 설명한다. 이 육도는 선악의 업력을 통해 의지와 관계없이 윤회하는 고통의 세계이다. 이어서...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몽산화상육도보설 육도보설(六道普說), 蒙山和尙六道普說
    따라 수시로 행해지는 약식 설법인데, 『육도보설』은 먼저 모든 것은 마음이 만들어 냄[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을 강조한다. 이어 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천신으로 이루어진 육도(六道)와 성문, 연각, 보살, 부처로 이루어진 사성(四聖)의 십법계(十法界)를 분별하여 업력(業力)의 결과 범부들은 육도 중의...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브라스파티 Brhaspati
    인드라가 '아수라' 즉 거신들과 싸울 때 그의 지혜로운 의논 상대였다. 브라만 계급 및 속세의 '푸로히타', 즉 가승의 천상계 원형이다. 〈리그베다〉에 나오는 한 찬가는 그가 지은 것으로 되어 있다. 고대의 한 성인과 한 이단종파의 창시자도 같은 이름을 가졌다. 목성을 주재하는 신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제석신 帝釋神
    제석천은 본래 불교에서 수미산의 정상인 도리천(忉利天)을 주재하는 호법선신으로 불법과 불법에 귀의하는 사람을 보호하며 아수라의 군대를 징벌하는 신이다. 이 제석천이 우리나라에 들어와 환인, 즉 재래의 하늘님신앙과 만나 토속화된 것이다. 그러나 불가에서 이 제석천은 고려시대에 자주 보이는 제석도량 등에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7~8 수능엄경,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
    位)에 사가행(四加行)을 더하여 57위를 설한 뒤, 경의 이름을 밝히고 지옥(地獄) · 아귀(餓鬼) · 축생(畜生) · 인간(人間) · 신선(神仙) · 천인(天人) · 아수라(阿修羅) 등 7종의 중생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조선시대에 가장 널리 간행된 판본의 하나로, 1443년 고산 화암사 판본을 1672년 울산...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경주 석굴암 전실 아수라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