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제석신

다른 표기 언어 帝釋神

요약 민간신앙 가신의 하나.

제석천은 본래 불교에서 수미산의 정상인 도리천(忉利天)을 주재하는 호법선신으로 불법과 불법에 귀의하는 사람을 보호하며 아수라의 군대를 징벌하는 신이다.

이 제석천이 우리나라에 들어와 환인, 즉 재래의 하늘님신앙과 만나 토속화된 것이다. 그러나 불가에서 이 제석천은 고려시대에 자주 보이는 제석도량 등에서 본래 신중으로서 신앙되기도 했다. 또 사찰에서는 섣달 그믐날 밤에 승려들이 재미를 들고 미고에 가서 석제환인위라는 위패 앞에 삼배를 한다는 〈조선무속고 朝鮮巫俗考〉의 기록이 있다. 이는 환인이라는 재래의 천신이 농경문화 속에서 농경신화되었고, 이것이 다시 불교의 유입 이후 불교 제석신이라는 명칭으로 전화된 과정을 보여준다.

제석은 민간신앙 안에서 가신의 하나로서 산신인 삼신과 혼융적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때로는 삼불제석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는 삼신과 삼불제석의 기원을 밝히는 무가의 하나인 〈제석본풀이〉에서 잘 드러난다. 제석은 이처럼 민간신앙에서 농작물의 결실 및 수복과 연관된 복합적 기능의 신격으로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가신으로서의 제석은 안택이나 굿에서 모셔지는데, 신체는 제석단지·시준단지라고 불리며, 흰 항아리에 쌀을 담아 다락이나 부엌에 안치한다.

무녀가 제석굿을 진행할 때는 흰 장삼과 고깔을 쓰고 염주를 걸며, 흰 부채를 들고 중타령 등의 무가를 부르며 춤을 춘다. 제물로는 고기류를 일체 쓰지 않고 백설기를 바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종교

종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제석신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