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언적 복고(復古), 李彦迪보여준다. 이언적이 왕에게 올렸던 상소문인 「일강십목소」와 「진수팔규(進修八規)」는 군주 사회의 통치 원리를 제시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하늘의 도리에 순응하고 백성의 마음을 바로잡으며 나라의 근본을 배양해야 한다는 왕도정치의 기본 이념을 추구했으며, 도학적 경세론의 압축된 체계를 제시하고 있다. 「일...
- 시대 :
- 조선
- 출생 :
- 1491년(성종 22)
- 사망 :
- 1553년(명종 8)
- 경력 :
- 이조판서, 예조판서, 형조판서, 좌찬성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을사사화, 양재역벽서사건
- 직업 :
- 문신, 학자
- 대표작 :
- 일강십목소, 진수팔규, 오잠, 구인록, 대학장구보유, 중용구경연의, 봉선잡의, 속대학혹문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본관 :
- 여강(驪江: 현 경기도 여주), 여주(驪州)
-
-
우필흥 于必興시작하여 지리산에서 마쳤으니 그 형세가 물[水]을 뿌리로, 나무를 줄기로 한 땅인지라 흑(黑)으로 부모를 삼고 청(靑)으로 몸을 삼았으니 만약 풍속이 땅에 순응하면 창성하고 땅을 반역하면 재변이 일어날 것이므로, 지금부터 문무백관은 흑의청립(黑衣靑笠), 중은 흑건대관(黑巾大冠), 여자들은 검은 비단을 입게...
- 시대 :
- 고려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사천소감
- 유형 :
- 인물
- 직업 :
- 관리, 일관(日官)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본관 :
- 목천(木川)
-
총유 寵綏길이였던 「휴명」이 세종 때에 「총유」로 바뀌면서 2/3의 길이인 16정간 8행으로 축소되었다. 그러나 노랫말은 『정대업』 15곡 중 열 번째 곡이었던 「순응」의 것을 차용했다. 세종 때의 『정대업』 15곡은 모두 남려(南呂) 계면조였으나 종묘제례악 용으로 개작할 때 청황종궁(淸黃鐘宮) 계면조로 바뀌었다. 이렇게...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전통음악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박괘 剝卦위기의 상황을 상징한다. 그러므로 괘사에서 “박은 가는 것이 이롭지 못하다.”고 하여 현 상태에서 일을 중지할 것을 권한다. 「단전(彖傳)」에서 “상황에 순응해 그치는 것은 박괘의 괘상을 살펴 본 것이니 군자가 양기의 소식영허(消息盈虛)하는 이치를 숭상해 따르는 것이 천도의 운행에 합치하는 것이다”고 한...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숲의 노래’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Oratorio The Song of the Forests Op.81비난을 면치 못했다. 또한 오페라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으로 스탈린 정권의 호된 질책을 받았던 쇼스타코비치는 이후 약간은 저자세를 유지하며 체제에 순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구소련의 공산당이 쇼스타코비치를 대하는 모습은 매우 다양했다. 때로는 그에게 스탈린상을 안기며 자신들의 대작곡가의...
- 시대 :
- 20세기 이후
- 분류 :
- 20세기 음악>성악곡
- 제작시기 :
- 1949년
- 작곡가 :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Dmitri Shostakovich, 1906~1975)
- 초연 :
- 1949년 12월 15일, 예프게니 므라빈스키 지휘, 레닌그라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레닌그라드 아카데미 합창단, 레닌그라드 부속학교 어린이 합창단, 이바노프스키 테너, 체토프 베이스
- 출판 :
- 1950년
- 대본(리브레토) :
- 예프게니 돌마토프스키(Yevgeny Dolmatovsky, 1915~1994)
- 구성 :
- 1곡 전쟁이 끝났을 때 2곡 우리나라에게 나무의 옷을 입혀주세 3곡 과거의 일들에 대한 묵념 4곡 나무를 심는 선구자들 5곡 젊은 공산당원들이 전진한다 6곡 미래를 향한 산책 7곡 영광
- 편성 :
- 혼성 합창, 어린이 합창, 베이스(독창), 테너(독창), 플루트 3(제3플루트는 피콜로와 겸함), 오보에 3(제3오보에는 잉글리시 호른과 겸함), 클라리넷 3, 바순 2, 호른 4, 트럼펫 3, 트롬본 3, 튜바, 팀파니, 트라이앵글, 스네어 드럼, 심벌즈, 글로켄슈필, 첼레스타, 하프 2, 현5부 [무대 옆] 트럼펫 6, 트롬본 6
-
교향곡 5번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Symphony No.5 in d minor Op.47초연에서 이 곡이 박수를 받은 시간은 무려 한 시간에 달했는데, 이는 작품의 연주 시간인 약 45분보다도 긴 것이었다. 그렇게 쇼스타코비치는 스탈린 체제에 순응하는 모습으로 활동을 재개하였고, 덕분에 그는 다시 국가적인 영웅으로서의 명예를 회복하였다. 정치적 순응 혹은 내밀한 저항 이 작품은 스탈린에 대한...
- 시대 :
- 20세기 이후
- 분류 :
- 20세기 음악>기악곡
- 제작시기 :
- 1937년 4월~7월
- 작곡가 :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Dmitri Shostakovich, 1906~1975)
- 초연 :
- 1937년 11월 21일 레닌그라드, 예프게니 므라빈스키 지휘, 레닌그라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출판 :
- 1939년
- 구성 :
- 4악장
- 편성 :
- 플루트 2, 피콜로, 오보에 2, 클라리넷 2, E ♭조 클라리넷, 바순 2, 콘트라바순, 호른 4, B ♭조 트럼펫 3, 트롬본 3, 튜바, 팀파니, 스네어 드럼, 트라이앵글, 심벌즈, 베이스 드럼, 탐탐, 글로켄슈필, 실로폰, 하프 2, 피아노, 첼레스타, 현5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