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유길곡 維吉曲내용 초헌(初獻)의 인출장(引出章)으로 연주되던 곡으로 종묘제례악의 보태평(保太平) 중 역성(繹成)을 축소시킨 음악이다.『속악원보(俗樂源譜)』의편(義編) 제3권에 기보되어 있다. 사설은 다음과 같다. 축고하옴도 이 길일이오며, 봉행하는 의식도 허물됨이 없나이다. 신께서는 부디 보우하소서. 천만년 이르기까지...
- 시대 :
- 조선
- 성격 :
- 경모궁제례악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소장/전승 :
- 속악원보(俗樂源譜)
-
혁정 赫整현행의 <혁정>은 박과 장단이 불규칙적이다. 종지형은 하일(下一)에서 하오(下五)에 이르는 하행종지형이다. 원래의 <혁정>은 ≪세종실록≫ 악보(樂譜)에 전하고, 현행 <혁정>에 해당되는 곡은 ≪세조실록≫ 악보·≪대악후보 大樂後譜≫·≪속악원보 俗樂源譜≫·≪시용무보 時用舞譜≫ 등에 전한다. 참고문헌
- 성격 :
- 정대업지악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왕재곡 王在曲내용 『속악원보(俗樂源譜)』권2 의편(義篇)에 전해오는 무안왕묘제악보(武安王廟祭樂譜) 중 영신(迎神)에 쓰이는 음악이다. 이 곡의 원곡은 종묘제례악인 「정대업(定大業)」중 소무곡(昭武曲)이다. 음계는 황종청궁(黃鐘淸宮) 계면조로서 黃(eb)·夾(gb)·仲(ab)·林(bb)·無(db)의 5음음계로 되어 있고, 악장은 4언...
- 시대 :
- 조선
- 성격 :
- 악장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힐향곡 肸蠁曲내용 『속악원보』의 무안왕묘제악보(武安王廟祭樂譜)에 전하며, 전폐·초헌·아헌·종헌에 쓰이는 음악이다. 이 곡의 원전은 종묘제례악인 「정대업」중 분웅(奮雄)곡이다. 음계는 청황종궁(淸黃鐘宮) 계면조로서 황(黃, c)·협(夾, e○)·중(仲, f)·임(林, g)·무(無, b○)로 되어 있으며 악장은 4언 12구 486자이다...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왕묘제악의 음악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방향보령 方響譜令내용 방향이라는 악기로 영(令)이라는 악곡을 연주할 수 있도록 기록한 악보. 조선조 후기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속악원보(俗樂源譜)』는 모두 7권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바로 이 마지막 7권째에 방향보(方響譜)가 수록되어 있으며, 수록된 악곡은 영 이외에 보허자(步虛子)가 있다. 영이라는 음악은 물론...
- 시대 :
- 조선
- 성격 :
- 방향보, 악보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진색곡 震索曲내용 종묘제례악인 「보태평(保太平)」중 기명(基命)을 줄인 곡으로서 『속악원보(俗樂源譜)』 제3권에 악보가 실려 있다. 사설은 다음과 같다. 동방나라가 하늘에 응하여 천명을 받아 대신 다스리도다 훌륭하신 명예와 남은 공렬(功烈)에 후손은 길이 복을 받는도다. (震索應天 受命代理 今聞餘烈 後孫受祉).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성격 :
- 경모궁제례악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시용무보 時用舞譜분장(分章)되고 중광(重光)이 빠져 있는 점에서 『대악후보』 편찬연대보다 오래되었다. 둘째는 세조대 편찬 설이다. 『세조실록악보』 · 『대악후보』 · 『속악원보(俗樂源譜)』와 비교한 결과 『세조실록악보』와 강(綱) · 행법(行法)이 모두 일치하므로 1463년(세조 9)에 제사의 용도에 맞게 개작된 악보와 그...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예술·체육/무용
-
사악 당악(唐樂), 詞樂있다. 의의와 평가 중국의 사악은 음악이 없이 문헌으로만 전해진 반면, 한국에서는 「낙양춘」과 「보허자」가 음악을 기록한 악보로 남아있다. 이 둘은 『속악원보』에 실려 있으며, 보허자는 『대악후보』에 실려 있기도 하다. 이 두 악보는 모두 령(令)곡의 범주이다. 이 두 곡이 「정간보」라는 일종의 정량기보법...
- 시대 :
- 고려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무안왕묘제악 武安王廟祭樂중고(中鼓) 1, 장고(杖鼓) 2, 필률(篳篥) 2, 대금(大琴) 2, 태평소(太平簫) 2, 대금(大金) 2, 소금(小金) 1, 가(歌) 2, 해금(奚琴) 2로 편성되어 있으며, 『속악원보』에 무안왕묘제악보(武安王廟祭樂譜)가 수록되어 있다. 인솔과 집박(執拍:박을 치는 것)을 겸한 아악수장(雅樂手長) 1인에 연주원 9인 등 총 10인으로...
- 시대 :
- 조선
- 성격 :
- 제례음악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