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도래각 AoA, 到來角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도래각을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한 도래각으로 전파가 어떤 방향에서 오는지 전파의 도래 방향을 파악한다. 이후 일반적으로 삼각측량법(triangulation)을 사용하여 발신 신호원의 위치를 계산한다. 삼각측량법은 3곳의 장소에서 전파의 도래 방향을 추정하고 각각의 방향이 만나는 지점을 전파...
-
‘나 잡아봐라’ - 무인 카메라와 무인 카메라 감지기의 대결감지기의 원리는 무엇일까? 첫번째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방법이다. GPS는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삼각측량법에 의해 현 위치를 계산해낸다. GPS 위성에서 특정한 신호를 지상으로 보내고, 지상에서는 수신기를 통해 여러 위성에서 오는 신호를 수신하여 마치...
-
측지학 測地學, geodesy측지학은 지구의 형상과 곡면을 갖는 대지의 관측을 중심으로 한 삼각측량, 수준측량 등의 측지측량과 중력관측에 기반이 되는 학문으로 측지천문, 위성측지, 조석, 지자기, 해양측지 등의 분야도 포함하고 있다. 측지학이 근대적인 형태로 발전하게 된 계기는 적도 및 고위도지역에서 자오선호장(子午線弧長)을 실측...
-
동국지도 조선 전기 과학적 지도의 대표, 東國地圖대표하는 지도입니다. 그뿐만 아니라 동국지도는 '기리고거'라는 거리 측량기구를 사용했고 천문 고도관측으로 한반도의 남북길이, 동서길이를 알아냈으며 삼각 측량법을 원용했죠. 따라서 동국지도는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과학적 지도이며, 실측지도인 셈입니다. 조선 후기 김정호가 그린 조선 시대 가장 정확한 과학...
- 날짜 :
- 1463년 11월 12일
-
-
가청성 可聽性, Hearability이동 통신에서 단말이 일정 시간 안에 여러 개의 기지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정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지상파 측위 기술에서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 개의 기지국 신호를 수신하는 삼각 측량 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삼각 측량을 위해서는 가청성이 좋은 여러 기지국 신호를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
정보 町步내용 이 단위는 경술국치 이후 1960년 미터법이 법으로 정식 발효되기까지 사용되었다. 이 단위는 일본이 우리나라 국토를 삼각측량(三角測量)하여 지적도(地籍圖)와 지도를 작성할 때 일본 곡척(曲尺)을 기준 척도로 하여 사용한 데에서 비롯된다. 즉, 정보는 한 변의 길이를 곡척 6척으로 한 정사각형의 넓이를 기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만주족의 문학예술과 과학기술산천과 도로를 측량하여 각 성의 지도를 만들게 하였으며, 그것을 기반으로 전국 지도를 만들었다. 전국 지도는 강희 57년(1718년)에 완성되었으며, 삼각측량법을 사용하여 천문점, 즉 천문 1도에 200리로 지도를 제작하였기에 정확도를 확보하였다. 이러한 측량 방법은 중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인 측량 제도사에서도...
- 분류 :
- 만-퉁구스어족 민족 > 만주족
-
코니카 C35AF Konica C35AF하니웰사의 ‘비지트로닉(Visitronic)’이라 불리는 자동 초점 소자를 사용했다. 이것은 전자식 레인지 파인더 같이, 두 광학 영상을 전자적으로 감지하여 삼각 측량의 원리를 토대로 그 거리를 계산하여 초점을 맞추는 수동식 AF 시스템이다. 비지트로닉 시스템은 어두운 곳이나 대비가 약한 피사체에게는 초점을...
- 제조사 :
- 코니시로쿠 사진산업사(KONICA), 일본
- 제작시기 :
- 1977년
- 종류 :
- 컴팩트 카메라(Compact Camera)
- 필름/저장매체 :
- 35mm 롤필름
- 화면사이즈/센서크기 :
- 24×36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