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신분석학의 기수, 지그문트 프로이트 Sigmund Freud
    의학이 급속도로 발전하던 19세기 후반, 유독 발전하지 않고 퇴보하던 분야가 바로 정신병리학이었다. 이때 오스트리아 출신의 한 의학도가 정신병리학 분야에 눈부신 도약을 선물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이다. 프로이트는 1856년 5월 6일 모라비아의 프라이베르크(지금의 체코 프르쉬보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인...
    출생 :
    1856년
    사망 :
    1939년
    국적 :
    오스트리아
    대표작 :
    《꿈의 해석》, 《히스테리에 대한 연구》, 《쾌락의 원리를 넘어서》, 《자아와 이드》, 《정신분석학 개관》 등
  • 의학사 history of medicine
    라고 알려진 히포크라테스의 의료행위 정신이 선서 형태로 남아 있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해부학과 생리학 분야가 발전을 이루었고, 18세기에는 근대적 병리학이 출현했다. 18세기말의 의학적 진보로는 제너의 종두법을 들 수 있다. 1800년 이전의 동양은 중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발전해왔다. 중국의 대표적인 의학문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문
  • 대한임상병리학회 大韓臨床病理學會
    군의관들이 전쟁 후에 각 대학과 병원에서 활동을 하면서부터 자연스럽게 미국식의 단일화된 중앙검사실 제도가 도입되었다. 1960년 5월 14일 대한임상병리학회의 창립 발기인 대회가 개최되었으나 곧바로 창립으로 연결되지 않았고, 그 해 10월 10일에 개최된 대한병리학회 총회에서 기존의 병리학회를 해체하고 제1부...
    시대 :
    현대
    설립 :
    1960년 10월 10일
    성격 :
    학술단체
    유형 :
    단체
    분야 :
    과학/의약학
  • 헨레 Friedrich Gustav Jacob Henle
    1840~44)로 지내면서 조직학에 관한 최초의 체계적 논문인 〈해부학총론 Allgemeine Anatomie〉(1841)을 발표하고, 이어 하이델베르크대학교에서 해부학·병리학 교수로 재직하면서(1844~52) 집필한 〈이론 병리학 편람 Handbuch der rationellen Pathologie〉(2권, 1846~53)을 출간했다. 병든 기관을 정상적인 생리적...
    출생 :
    1809년 7월 15일
    사망 :
    1885년 5월 13일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위용종 위폴립
    필요합니다. 대장의 용종은 대부분이 종양성인데 반해, 위의 용종은 대부분 비종양성 용종이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조직검사를 통한 병리학적 검사가 필수적입니다. 병리학적으로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크게는 비종양성 용종과 종양성 용종으로 나뉩니다. 위내시경 검사를 통하여 위용종이 발견되면 제거하거나...
  • 프론토질 2차 세계대전에서 처칠의 목숨을 구한
    무기력함을 목격한 그는 전염병 해결을 위해 젊음을 투자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1921년에 의과대학을 졸업한 그는 병리학으로 진로를 정했고, 1925년에 뮌스터대학교 병리학 강사로 부임하여 병리학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화학요법제에도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1927년 우연히 세포병리작용에 관한 도마크의...
  • 병리과전문의사
    시약 등을 점검하고 진단에 대한 정도관리를 진행한다. 조직병리와 세포병리의 진단 및 특수염색검사, 면역염색검사, 분자병리검사, 전자현미경검사, 계측병리검사 등을 시행한다. 검체 제작에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임상병리사의 활동을 지도·감독한다. 병리학, 분자유전학, 면역병리학, 초미세병리학 관련 연구를...
    교육수준 :
    16년 초과(대학원 이상)
    숙련기간 :
    4년 초과 ~ 10년 이하
    작업강도 :
    가벼운 작업
    작업장소 :
    실내
    육체활동 :
    손사용, 시각
    직무기능(자료) :
    조정
    직무기능(사람) :
    자문
    직무기능(사물) :
    정밀작업
    유사명칭 :
    병리과의사
    고용직업분류 :
    [3011]전문 의사
    표준직업분류 :
    [2411]전문 의사
    자격/면허 :
    의사, 임상병리과전문의
    표준산업분류 :
    [Q861]병원
    조사연도 :
    2017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태그 직업
  • 비샤 조직학의 시조
    업무에 조직학을 도입하였다. 그래서 비샤는 모르가니(Giovanni Battista Morgani, 1682~1771년)와 피르호(Rudolf Carl Virchow, 1821~1902년)와 함께 현대 병리학 창설의 삼총사가 되었다. 비샤는 파리에서 해부학 및 외과학 교수로 재직하였고 현미경을 사용하여 조직의 특성을 분류하였으며 질병에 의한 조직의 변화...
  • MERRF(Myoclonic Epilepsy with Ragged Red Fiber) 증후군 Myoclonic epilepsy associated with ragged red fibers(MER..
    임상적으로는 간대성 근경련(progressive myoclonus) , 간질(epilepsy), 운동 실조(ataxia), 사지 무력, 치매(dementia) 등의 특징이 있습니다. 조직 병리학적으로는 근육 생검상 modified Gomori trichrome 염색에 의하여 “불균일적적색근섬유(ragged-red fibers(RRF))”가 관찰됩니다. 전자현미경적으로는 사립체의...
    분류 :
    유전질환
    발생 부위 :
    전신
    진료과 :
    의학유전학과
    관련 질환 :
    레버씨 시신경 위축증 , 리 증후군, 미토콘드리아성 뇌근육병증
    도서 질병백과 | 태그 질병
  • 한의사 韓醫師
    등의 과목을 수업한다. 본과 4년의 기간중 본과 1·2학년 때에는 기초의학 과목으로 원전·인체해부학·조직학·양방생리학·한방생리학·양방병리학·한방병리학·약리학·본초학·경혈학·예방의학·방제학·상한론·각가학설·온병학 등의 과목을 이수하여야 한다. 본과 3·4학년 때에는 임상의학과목으로서 내과학...
    성격 :
    의료인
    유형 :
    제도
    분야 :
    과학/의약학
  • 피르호의 초기활동
    1839년부터 베를린대학교 프리드리히 빌헬름 연구소에서 의학을 공부하기 시작했고 1843년 의사자격을 얻었다. 샤리테 병원에서 인턴으로 근무하면서 조직병리학을 공부했고, 1845년 백혈병의 증상을 설명한 논문을 발표했다(이것은 백혈병의 증상으로 보고된 최초의 2가지 증상 중 1가지를 설명한 것으로 정평 있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임상병리과
    합니다. 임상병리과에서는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 소변, 조직 등을 화학, 생물학, 물리학, 유전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하는 것을 배웁니다. 학과특성 임상병리학은 현대 의학의 발전과 더불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임상병리과는 인체에서 발생하는 각종 질병의 원인, 치료 과정 등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치료...
    분류 :
    대학교 > 의약계열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병리학
병리학(pathology)
〈사진 1〉 말부르크 대학 병리학교실에 유학 중이던 다하라 스나오(32세로 추정)와 주임교수 L. 아숍(39세로 추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