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만취문집 晩翠文集
    왕후(懿仁王后)의 복제가 정례와 차이가 있음을 지적해 정례에 맞게 고칠 것을 건의한 것이다. 복제문제를 둘러싼 당시의 정세를 엿볼 수 있다. 「회재선생무극태극변발(晦齋先生無極太極辨跋)」은 이언적(李彦迪)의 「무극태극변」에 대한 발문이다. 복희(伏羲)·문왕(文王)·공자·주돈이(周敦頤)·주자 등 고대 성현...
    시대 :
    조선
    저작자 :
    오억령(吳億齡)
    창작/발표시기 :
    1662년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5권 1책
    간행/발행 :
    오정위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고려대학교 도서관
  • 음성군 陰城郡
    삼성면 · 맹동면 · 금왕읍 등의 곡창지대는 관개사업이 숙원사업이 되었다. 그리하여 미호천 유역에 농업종합개발사업을 벌여, 응천 상류에 용계(龍溪) · 무극(無極) · 금석(金石)의 3개 댐을 축조해 도수터널로 미호천 상류로 관개수를 역류시키고, 초평천 상류에 맹동(孟洞)댐을 축조해 이 물을 소속리산(小俗離山...
    유형 :
    지명/행정지명ˑ마을
    분야 :
    지리/인문지리
  • 천도 天道
    붙여져 있다. 그래서 나의 도를 이름지어 부른다면 천도라고 한다.”라고 하였다. 1860년 4월 5일 종교적 신비체험을 얻어 창도한 최제우는 처음에는 ‘무극대도(無極大道)’를 받았다 하여 나의 도는 무극대도라 하였다. 그런데 1861년 6월부터 포교하기 시작하여 많은 민중이 모여들자 관과 유생들이 그리스도교로...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천도교
  • 경화가 警和歌
    안심정기(安心正氣)의 공부를 하라는 것이다. 노래의 앞머리에 도의 연원을 알아서 수심정기(修心正氣)하자고 하며 고금 운수의 변천을 읊었다. 작중 화자는 무극대도(無極大道)를 창건한 스승과 사제지의(師弟之義)를 맺어 천지도수(天地度數)를 다 알게 되었으나 세인들은 그것을 비방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무극대도...
    시대 :
    근대
    저작자 :
    김주희
    성격 :
    가사, 동학가사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 태극 太極
    유출되어 나오는 것으로 본 것이다. 송나라의 주돈이(周敦頤)는 ≪태극도설 太極圖說≫을 지어 ≪주역≫에 나타난 본체관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려 했는데, 무극(無極)과 동정(動靜)의 개념을 첨가해 “무극이면서 태극이다. 태극이 동하면 양이 되고, 정하면 음이 된다.”고 하였다. 또한 오행(五行)을 덧붙여 태극...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음성군의 유물·유적·관광
    소이면 비산리 일대의 비선8경(飛仙八景)이 그것이다. 그밖에도 6·25전쟁 당시 민족수난의 역사를 기념비로 만들어 안보의 산교육장으로 활용하고 있는 무극전적국민관광지(無極戰績國民觀光地)가 음성읍 소여리에 조성되어 있다. 최근에는 수도권과의 편리한 교통조건을 바탕으로 새로운 관광자원 개발에 박차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충청북도
  • 구봉광산 九峰鑛山
    이후 생산이 격감해 현재 휴광 상태이다. 국내 금광은 1943년 「금산정비령(金山整備令)」 이후 대부분 침수·붕괴되었으며, 정부 수립 후 구봉광산 및 무극광산(無極鑛山) 등 일부만이 재개발되었다. 1962년에는 기록적인 산금 실적을 올렸으나, 1963년부터 국내 산금량의 약 50%를 차지하던 구봉·무극광산의 생산...
    시대 :
    근대
    성격 :
    광산
    유형 :
    지명
    소재지 :
    충청남도 청양군 남양면 구룡리
    분야 :
    경제·산업/산업
  • 만취집 晩翠集
    청개정복제차 請改定服制箚〉는 1600년(선조 33) 선조의 비 의인왕후(懿仁王后)가 죽었을 때 복제를 정례에 맞게 고칠 것을 주장한 것이다. 〈회재선생무극태극변발 晦齋先生無極太極辨跋〉은 이언적(李彦迪)의 〈무극태극변〉에 대한 발문으로, 이언적의 학문에 대해 극찬하고 있다. 〈증단질권학설 贈端姪勸學說〉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김도혁 덕언(德彦), 金道赫
    망해도법(望海島法)」·「측량법(測量法)」 등의 저술을 남겼다. 또, 기형(璣衡)을 연구하여 물시계도 만들었으며, 성리학에도 일가견을 이루어 태극은 본래 무극이므로 태극 밖에 다시 무극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무(無)와 태(太)는 뜻이 조금 다르다고 했다. 저서로는 『암당문집(巖塘文集)』 2책이 있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1794년(정조 18)
    사망 :
    1839년(헌종 5)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대표작 :
    기삼백주해, 월행산법, 일월회합산별법, 일월회합도산법, 태을산기원국법, 측심광법, 망해도법, 측량법, 암당문집
    성별 :
    분야 :
    종교·철학/유교
    본관 :
    광산(光山)
  • 항장무 項莊舞
    내용 조선 후기에 상연되던 무극(舞劇)의 하나. 1873년(고종 10)에 평안남도 선천지방의 무극을 처음으로 궁중에 들여온 것으로 홍문연(鴻門宴)의 이야기를 무극화한 것이다. 진말(秦末)에 나라가 어지러워지자 항우(項羽)와 유방(劉邦)은 관중(關中)에 먼저 들어가려고 다투는데, 유방이 먼저 관중에 들어가자 항우가...
    시대 :
    근대
    성격 :
    무용극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무용
  • 양재도 良才道
    한양-과천-수원-진위 등에 이어지는 역로이다. 이에 속하는 역은 광주(廣州)의 낙생(樂生), 용인의 구흥(駒興)·금령(金嶺), 죽음의 좌찬(佐贊)·분행(分行)·무극(無極), 안성의 강복(康福), 양성의 가천(加川), 수원의 청호(菁好)·장족(長足)·동화(同化), 남양의 해문(海門) 등 12개 역이다. 1785년(정조 9)영화도...
    시대 :
    조선
    성격 :
    교통로, 역도
    유형 :
    제도
    폐지일 :
    1894년(고종 31)
    분야 :
    경제·산업/교통
  • 만각재집 晩覺齋集
    衡) 등과 주고받은 편지가 있는데, 주서(朱書)의 편찬에 심혈을 기울였다는 점을 잘 알 수 있다. 잡저에는 「하락설(河洛說)」 · 「척사문답(斥邪問答)」 · 「무극태극설(無極太極說)」 · 「향약절목(鄕約節目)」이 실려 있다. 「하락설」은 하도(河圖)와 낙서(洛書)를 해설한 글로, 선대 유학자들의 학설을 참고하여...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유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9건

주희(Chu Hsi)
육구연
무극저수지
무극집
무극집
무극중학교
무극전적 관광지 충혼탑
무극전적 국민관광지
무극초등학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