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유도탄 시대의 군함이 일련의 구별이 1950년대말부터 무너지기 시작했다. 프리깃함이 신형 쾌속 잠수함에 대응하기 위해 구축함에 필적하는 속력을 내지 않으면 안되었다. 따라서...사실상 초대형 구축함으로 바뀌었다. 결국 이 3개의 선형이 모두 대공(對空)·대잠(對潛)·대함(對艦)의 전투를 할 수 있게 되었다. 무기면에서 가장...
-
미사일이야 어뢰야? 진화하는 바닷속 전쟁기술같은 무기는 만들 수 있겠지만, 물속을 공격하긴 어렵다. 어떻게 해서 잠수함과 싸울 수 있다는 것일까? 답은 ‘변신기능’에 있다. 이 신무기는 분명한 로켓...바닷속을 헤엄쳐 적을 공격하는 ‘어뢰’이기도 하다. 이런 무기를 ‘대잠로켓’ 이라고 하는데, 미군에선 아스록(ASROC: Anti Submarine ROCket)이라고...
-
충무공이순신급구축함 忠武公李舜臣級驅逐艦어뢰나 잠수함에 대비한 음향 스텔스 설계도 적용했다.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은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에 비해 함정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대양에서의 임무수행 능력이 향상되었다. 특히 기존의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에 비해 내파성(파도의 충격을 견딜 수 있는 성질)이 크게 향상되었다. 또한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은...
- 시대 :
- 현대
- 유형 :
- 물품
- 분야 :
- 정치·법제/국방
-
-
경어뢰 청상어 K-745, Blue Shark초계함급 이상의 수상함, 해상작전 헬기 및 대잠 초계기에 탑재해 적 잠수함을 공격하는 경어뢰. 1.5m 두께의 철판을 관통할 수 있을 정도의 위력을 가지고 있다. 2004년 개발에 성공해 이듬해인 2005년부터 작전배치되었다.
- 분류 :
- 유도 > 수중 > 중어뢰
- 크기 :
- 직경 323mm
-
SS-066 이종무 SS-066 이종무없었고, 청군 소속인 미 해군의 USS 카메하메하 (SSBN-642) 벤저민 프랭클린급 잠수함 등 총 13척, 15만 톤을 격침했다. 1998년부터 장보고급 잠수함(SS) 이종무함과 대잠초계기 P-3C가 처음으로 참가하면서 림팩훈련을 통해 보다 다양한 경험 축적이 가능해졌다. 황군에서 마지막까지 유일하게 살아남았다. 역대 림팩에...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