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양진밭두레패농악 상석농악, 高陽─牌農樂
    구성 및 형식 진밭두레패농악은 풍물과 농사소리로 구성된다. 풍물은 길놀이, 12채가락, 앉은반 풍물놀이, 농사놀이 16마당, 지신밟기, 지경다지기 등이고, 농사소리는 열소리, 모찌는소리, 모심는소리, 김매는소리, 지경소리, 상여소리, 달구소리, 고사덕담 등으로 구성된다. 내용 경기도 고양시 성석동 진밭에서 전승...
    문화재 지정 :
    고양시 향토문화재 제42호
    성격 :
    농악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소장/전승 :
    경기도 고양시 성석동
  • 노작농악 勞作農樂
    풍물굿은 기능상 의례·노작·연예·걸립 등으로 나뉘며, 원래 풍물의 기원은 농사와 관계있는 노작농악이었다. 차츰 연희적 측면이 강화되면서 본래의 노작적 성격은 많이 사라졌고, 특히 두레풍장의 쇠퇴는 이를 촉진했다. 그러나 오늘날 연희풍물에도 노작의 전통은 남아 있다. 강릉지방의 '강릉홍제농악'의 농사풀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농악
  • 양주효천농악 고전농악
    구성 및 형식 양주효천농악은 길굿악 – 오방진 – 농사풀이 – 개인놀이의 순으로 구성된다. 농사풀이에는 모심기부터 추수까지 일년 농사의 모든 행위가 놀이로 재현된다. 내용 양주효천농악은 일명 ‘고전농악’으로 알려져 있다. 그 동안 양주 지방에서는 옛날 농악이라는 뜻으로 고전농악이라 불렀으나 효천리를...
    성격 :
    농악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소장/전승 :
    경기도 양주군 효천리
  • 한천농악전수회관
    한천농악전수회관은 한천 농악의 전수교육과 공연 등을 통해 무형 유산인 한천 농악을 보존, 전승하는 공간이다. 1996년 준공된 지상 2층의 1동 건물로, 숙소와 연습실을 갖추고 있다. 200여 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한천농악은 일반적인 마을의 농악의 경우처럼 마을 내에서 당산굿을 하고, 마당밟이를 하는 과정에서...
    위치 :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김삿갓로 720
  • 안산와리풍물 와상농악(瓦上農樂), 安山瓦里風物
    사통백이, 10) 가새치기, 11) 마당씻기, 12) 인사굿. 내용 와리풍물은 와동을 예전에 와리 또는 와상리라고 불러서 유래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를 ‘와상농악’ 또는 ‘동작리두레풍물놀이’라고도 한다. 1865년(고종 2) 경복궁 중건 때 부역하는 사람들의 노고를 덜어 주기 위해 전국에서 모인 농악대 중에서 기량...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사물놀이 四物─
    이러한 편성에 따른 음악은 1978년 최초로 ‘사물놀이’라는 이름으로 창단된 연주단에 의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당시 이들의 농악을 다루는 연주 기량은 아주 뛰어났고, 농악을 무대용 음악에 알맞게 효과적인 방법으로 구성하였다. 그래서 농악의 생동하는 음악성과 치밀한 연주 기교는 상당한 반응을 일으켰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부평두레놀이 부평삼산두레농악, 富平두레놀이
    문굿 – 성주굿 – 조왕굿 – 우물굿 – 철룡굿 – 곳간굿 – 외양간굿 – 측간굿 – 마당굿으로 구성된다. 내용 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동에 전승되는 두레농악이다. 과거에 농사일을 할 때 두레를 짜서 농사일의 신명을 돋우던 두레패 농악을 계승한 것이다. 부평삼산두레농악은 농사일 시작 전 의식 및 두레기 받기를...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농악12차
    1985년 12월 1일 중요무형문화재 등록명을 '농악'으로 바꾸면서 다른 지방의 농악도 포함하게 되었다.→ 농악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임실필봉농악 Imsil pilbong nongak
    문화재 정보 임실필봉농악(任實筆峰農樂)은 전북 임실군 강진면 필봉리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풍물놀이이다. 국가무형문화재 제'11-5'호로 지정되어 있다. 특히 농악은 일 년 내내 다양한 형태와 목적으로 많은 행사장에서 공연이 이루어지고, 공연자들과 참여자들에게 정체성을 제공하며 인류의 창의성과 문화 다양성에...
    도서 위키백과
  • 부산농악 釜山農樂
    [개설] 농악은 꽹과리, 징, 장고, 북, 소고 등의 악기를 주로 치면서 소고를 들고 다양한 춤을 추며 노는 놀이를 말한다. 처음에는 풍농을 기원하는 제천 의식에서 비롯되었는데, 현재는 오락성과 예술성을 가미한 연예 농악으로 변모하여 전승되고 있다. 「부산농악」은 1950년대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을 중심으로...
    분야 :
    생활·민속
    지역 :
    부산광역시 서구
  • 광대패 廣大牌
    농악대의 광대패는 주로 호남지방 일대에서 이루어진다. 그들이 주고받는 대사와 춤은 즉흥적으로 풍장(농악에 쓰는 풍물)에 맞추어 노는 것이다. 농악대·광대패의 탈 이름과 복색은 다음과 같다. 샌님과 양반은 바지·저고리·두루마기·관, 노친네는 치마·저고리, 말뚝이나 방자는 바지·저고리·조끼, 각시는 치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놀이
  • 사물놀이
    사물은 본래 불교의식에 쓰이는 목어·운판·법고·범종의 4가지 의물을 가리키는 말이었는데, 사물놀이의 4가지 악기를 가리키는 말로 전용되었다. 농악·짝두름·설장구놀이·비나리·판굿·칠채굿 등의 풍물음악이었으나, 이 풍물음악에서 음악만 심화·발전되어 사물놀이가 되었다. 주로 앉아서 치는데 각 악기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놀이 , 한국음악 , 음악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22건

농악
농악
농악
농악
농악
농악
농악 / 당산굿
농악 / 길군악
농악 / 샘굿
평택농악
평택농악
두레농악
이리농악
강릉농악
농악 / 상쇠춤
농악 / 상모놀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