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양진밭두레패농악 상석농악, 高陽─牌農樂구성 및 형식 진밭두레패농악은 풍물과 농사소리로 구성된다. 풍물은 길놀이, 12채가락, 앉은반 풍물놀이, 농사놀이 16마당, 지신밟기, 지경다지기 등이고, 농사소리는 열소리, 모찌는소리, 모심는소리, 김매는소리, 지경소리, 상여소리, 달구소리, 고사덕담 등으로 구성된다. 내용 경기도 고양시 성석동 진밭에서 전승...
- 문화재 지정 :
- 고양시 향토문화재 제42호
- 성격 :
- 농악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소장/전승 :
- 경기도 고양시 성석동
-
양주효천농악 고전농악구성 및 형식 양주효천농악은 길굿악 – 오방진 – 농사풀이 – 개인놀이의 순으로 구성된다. 농사풀이에는 모심기부터 추수까지 일년 농사의 모든 행위가 놀이로 재현된다. 내용 양주효천농악은 일명 ‘고전농악’으로 알려져 있다. 그 동안 양주 지방에서는 옛날 농악이라는 뜻으로 고전농악이라 불렀으나 효천리를...
- 성격 :
- 농악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소장/전승 :
- 경기도 양주군 효천리
-
-
안산와리풍물 와상농악(瓦上農樂), 安山瓦里風物사통백이, 10) 가새치기, 11) 마당씻기, 12) 인사굿. 내용 와리풍물은 와동을 예전에 와리 또는 와상리라고 불러서 유래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를 ‘와상농악’ 또는 ‘동작리두레풍물놀이’라고도 한다. 1865년(고종 2) 경복궁 중건 때 부역하는 사람들의 노고를 덜어 주기 위해 전국에서 모인 농악대 중에서 기량...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사물놀이 四物─이러한 편성에 따른 음악은 1978년 최초로 ‘사물놀이’라는 이름으로 창단된 연주단에 의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당시 이들의 농악을 다루는 연주 기량은 아주 뛰어났고, 농악을 무대용 음악에 알맞게 효과적인 방법으로 구성하였다. 그래서 농악의 생동하는 음악성과 치밀한 연주 기교는 상당한 반응을 일으켰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부평두레놀이 부평삼산두레농악, 富平두레놀이문굿 – 성주굿 – 조왕굿 – 우물굿 – 철룡굿 – 곳간굿 – 외양간굿 – 측간굿 – 마당굿으로 구성된다. 내용 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동에 전승되는 두레농악이다. 과거에 농사일을 할 때 두레를 짜서 농사일의 신명을 돋우던 두레패 농악을 계승한 것이다. 부평삼산두레농악은 농사일 시작 전 의식 및 두레기 받기를...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부산농악 釜山農樂[개설] 농악은 꽹과리, 징, 장고, 북, 소고 등의 악기를 주로 치면서 소고를 들고 다양한 춤을 추며 노는 놀이를 말한다. 처음에는 풍농을 기원하는 제천 의식에서 비롯되었는데, 현재는 오락성과 예술성을 가미한 연예 농악으로 변모하여 전승되고 있다. 「부산농악」은 1950년대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을 중심으로...
- 분야 :
- 생활·민속
- 지역 :
- 부산광역시 서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