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오산학교 五山學校
    취임했으며, 1926년 고등보통학교로 인가를 받았다. 일본제국주의가 통치를 강화함에 따라 1942년 9월 교사와 학생 70여 명이 정주서에 구속되었다가 모두 기소유예로 석방되었으나, 교사들은 모두 사표를 강요당하여 학교를 떠났으며, 일본인이 교장으로 취임했다. 8·15해방 후 월남하여 1953년 1월 부산에서 오산학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교육기관
  • 오삼인천사태 인천오삼항쟁, 五三仁川事態
    국가전복을 획책하는 용공좌익조직의 조직적 사건으로 규정하고, 검찰과 경찰은 5월 5일과 8일, 민통련과 인사연 간부, 학생, 노동자 45명에 대해 특별검거령을 내렸다. 구속된 170명 중 57명은 국가보안법위반죄, 소요죄,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위반죄 등으로 구속 기소되었고, 88명은 기소유예로 석방되었다. 참고문헌
    시대 :
    현대
    발생 :
    1986년 5월 3일
    성격 :
    민주화운동
    유형 :
    사건
    분야 :
    사회/사회구조
    관련 인물/단체 :
    신한민주당, 민주화추진협의회, 인천지역사회운동연합,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관련 장소 :
    인천
  • 이강국 이우한(李愚漢), 李康國
    정태식 등이 ‘미야케교수 적화공작사건’으로 검거되자 1935년 11월 귀국하였다. 그는 귀국하자마자 경찰에 체포되어 예심에 회부되었으나 증거불충분으로 기소유예 처분을 받고 석방되었다. 이강국은 1935년 7월 코민테른 7차대회의 인민전선론을 수용하여 1936년 최용달 · 이주하(李舟河) 등과 원산적색노조에 관계...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신태악 수악(秀嶽), 辛泰嶽
    서울에서 변호사로 활동했으며, 구국문화사(救國文化社)를 창립해 월간 잡지 『구국』을 발행했다. 1949년 4월 반민특위에 체포되어 8월 특별검찰부에서 기소유예처분을 받았다. 같은 해 10월 대한국민당의 선전부장을 맡았다. 한국전쟁 중 1951년 12월 자유당 감찰부원, 1952년 자유당 창당준비 책임위원, 1953...
    시대 :
    현대
    출생 :
    1902년 3월 4일
    사망 :
    1980년 10월 31일
    경력 :
    조선언론보국회 이사, 서울변호사회 회장, 대한변호사협회 회장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3·1운동, 신의주설화사건
    직업 :
    법조인, 정치인, 친일반민족행위자
    성별 :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본관 :
    영월(寧越)
  • 이현상 로명선, 李鉉相
    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다. 중앙고보 재학중이던 1925년 조선공산당 창설에 참여했으며, 1926년 6·10만세사건 때 유인물을 배포하다가 출판법 위반 혐의로 기소유예 처분을 받았다. 1927년 보성전문학교 법과에 입학하여 조선공산당 및 고려공산청년회 산하의 학생부위원회, 조선학생과학연구회, 학생 야체이카회...
    출생 :
    1906, 충남 금산
    사망 :
    1953. 9. 18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조선어학회 사건 Korean Language Society incident, 朝鮮語学会事件
    징역4년형 독립장 1962 이희승 1896 1989 경기 개풍 징역2년6월형 독립장 1962 정인승 1897 1986 전북 장수 징역2년형 독립장 1962 김윤경 1894 1969 한성 기소유예 애국장 1990 1년간 옥고 권승욱 1916 1974 전북 고창 기소유예 - - 장지영 1889 1976 한성 공소소멸 애국장 1990 1년 여 옥고 한징 1886 1944 한성...
    도서 위키백과
  • 김선기 金善琪
    학술대회에 참석했다. 귀국 후 연희전문학교에서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강제 해직당할 때까지 근무했다.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투옥당했다가 1943년 기소유예로 출감했다. 해방 후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 복직했고, 1950년 1월 서울대학교 언어학과에 부임했다. 1958~60년 문교부차관으로 재임했고, 1967...
    출생 :
    1907. 3. 31, 전북 옥구
    사망 :
    1992. 11. 12,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대화숙 大和塾
    일제는 1936년 12월 '조선사상범보호관찰령'을 실시하여 치안유지법 위반자로서 기소유예·가출옥·만기출옥자에 대해 사상활동을 단속하고 일거일동을 감시했다. 이를 위하여 서울·함흥·원산·평양·청진·신의주·대구·광주 등 8개소에 '보호관찰소'를 설치하고 전향하지 않은 사상범을 수용했다. 아울러 1938...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 신현모 신윤국(申允局), 申鉉謨
    1937년 ‘동우회 사건’으로 체포되어 1941년 무죄 석방될 때까지 3년간 옥고를 치렀으며,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다시 체포되어 이듬해 9월 기소유예로 풀려났다. 해방 후 대한민국 임시정부 특별재정위원을 역임했으며,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 고향인 연백군 지역구 한국민주당 후보로 출마해 당선...
    시대 :
    현대
    출생 :
    1894년
    사망 :
    1975년
    경력 :
    국회의원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조선어학회 사건
    직업 :
    독립운동가, 정치인
    대표작 :
    국사강의록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본관 :
    평산(平山)
  • 부천경찰서 성고문 사건 발생
    위해 성까지 도구화했다"라며 오히려 피해자 권인숙을 몰아붙였다. 검찰은 피해자인 권인숙에게 공 ・ 사문서 위조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하고, 가해자인 문귀동에게는 기소 유예라는 솜방망이 처분을 했다. 1987년 6월항쟁으로 민주화 분위기가 사회 전반에 확산된 후 상황은 바뀌어, 문귀동은 1989년 징역 5년형을 받는다.
    시대 :
    1986년 7월 3일
    국가/대륙 :
    한국
  • 형사소송법, 검사의 불기소 처분에 대한 불복 방법 물장사도 망하는 수가 있다
    호소한다. 정답 ① 해설 가령 범죄의 피해자가 가해자를 고소하였으나 이를 수사한 검사가 피고소인에 대하여 혐의가 없다는 무혐의의 결정, 또는 기소유예한다는 결정 등과 같이 불기소하는 경우, 피해자가 법적으로 대응하는 방법이 있을까?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검찰청법'에서 인정하고 있는 항고 제도...
  • DACA DACA, Deferred Action for Childhood Arrivals
    이다. 한국어로는 "불법체류청년 추방유예 제도", "미등록 이주자 청년 추방 유예 프로그램", "불법 이민자 자녀 추방 유예 제도" "불법체류 유년입국자 구제...제도 확장 계획을 밝혔다. 하지만 텍사스주 등 26개 주에서 확장을 반대하는 기소를 했고, 결국 법원의 결정에 제도확장은 저지 당하게 되었다. 2017년 6...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기소유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