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공중비행
    특징이다. 공중그네비행·3단비행·쌍비행 등의 작품들이 공중비행에서 파생하여 발전한 것으로 본다. 공중그네비행은 1979년 평양교예단이 창조한 것으로, 그네뛰기와 공중비행을 결합시킨 것이다. 공중에 설치된 움직이는 그네 3개와 고정된 2개의 기구 사이로 비행하면서 각각 다른 회전기교를 수행한다. 최대 비행...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북한
  • 단오 술의 날, 端午
    5월 5일이며 모내기를 끝내고 풍년을 기원하는 기풍제(祈豊祭)다. 단오는 설날, 한식, 추석과 함께 한국의 4대 명절 중 하나로 꼽힌다. 수리떡을 해먹거나 그네뛰기, 씨름을 하는 풍습이 있다. 조상의 묘에 성묘를 가고 창포 삶은 물에 머리를 감으며 화채를 만들어 먹고 장명루(長命縷)를 만들기도 했다. 매년 단오 때...
  • 밀양아리랑대축제 密陽─大祝祭
    2015년 현재 57회에 이르고 있다. 행사내용 용호놀이·장치기·백중놀이·학바위춤·게줄당기기·길놀이·석전·줄다리기·공상타작놀이·씨름대회·그네뛰기대회·농악경연대회 등이 있다. 최근에는 거리퍼레이드, 수상프린지페스티벌, KBS아리랑가요제, 일루미네이션 빛 축제 등 아랑과 밀양아리랑을 중심으로 한 다양...
    시대 :
    현대
    성격 :
    문화축제, 향토문화제
    유형 :
    의식행사
    장소 :
    경상남도 밀양시
    분야 :
    생활/민속·인류
  • 재가승풍습 在家僧風習
    誠 : 부군치성이라고도 부름), 연중 4번 국사당에 올리는 산제가 있었다. 민속놀이로는 주지춤·수박치기·길마지기·벙어리놀음(걸립굿의 일종)·윷놀이·그네뛰기·장기 등이 있었다. 이들은 외부세계와는 별다른 거래를 하지 않았고 혼인도 자기들끼리 행했다. 이러한 폐쇄적인 생활은 산간 오지에 살았던 자연지리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그네 노래」
    [개설] 「그네 노래」는 오월 단오의 그네뛰기 풍속과 관련된 노래로서, 부녀자들이 한복으로 곱게 차려 입고 그네를 뛰면서 부르던 세시 놀이요이다. [채록/수집 상황] 2010년 류종목이 집필하고 민속원에서 발행한 『현장에서 조사한 구비 전승 민요』-부산편에 실려 있다. 이는 1999년 10월 17일 류종목이 부산광역시...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
    지역 :
    부산광역시 연제구
  • 영광 법성리의 느티나무 靈光 法聖里의 느티나무
    불어오는 센 바람을 막기 위하여 심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이 숲은 일명 “숲쟁이”라고도 하는데 지금은 이곳 주민들의 휴양림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단옷날에는 이곳에서 그네뛰기 행사가 펼쳐진다. 느티나무가 집단으로 심어진 것은 희귀한 편이어서 이 숲은 학술적으로 또 생활환경림으로 가치가 평가된다. 참고문헌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식물
  • 아동놀이 children's game
    놀이이지만, 어른들과 함께 아동들이 즐기는 놀이도 많다. 윷놀이나 쌍륙·바둑·고누·종정도·남승도놀이·고을모듬·장치기·돌팔매놀이·씨름·널뛰기·그네뛰기·무동·공차기·제기차기·쥐불놀이 등은 아이들 놀이면서 어른들도 함께 즐길 수 있는 놀이이기도 하다. 이들 놀이는 주로 정월 대보름에 놀 수 있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취미
  • 근우회 활동
    단체훈련이 부족할 수밖에 없다. 또 경제·정치·성적인 극도의 압박을 받고 있어서 이를 개선하려는 반항의식이 있을 수 없다. 윷놀이대회, 단오절 그네뛰기대회, 운동경기대회, 원유회, 친목회를 비롯, 부인견학단 등을 통해 친목과 단체훈련으로 여성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고 안목을 넓히게 했으며 회원도 늘었다...
  • 북한의 민속
    연립형 다세대주택 등이 대부분이나 주택의 형식에서는 민족적 형식을 강조하고 있다. 민속놀이는 대개 군중문화사업의 양상으로 보편화되어 있으며, 일부는 새롭게 창작되기도 하고 무대공연기술로 활용되기도 한다. 농촌풍물패·그네뛰기·널뛰기·골패·윷놀이·단신글놀이·든들다리·달래춤 등의 민속놀이가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김제 외갓집마을
    농장과 체험학습장을 마련하여 많은 도시민과 어린아이들이 방문하여 외갓집의 푸근한 정감을 체험하고 있다. 가래떡볶이 만들기, 쌀빵 샌드위치 만들기 등의 체험과 함께 이곳에서는 널뛰기, 굴렁쇠 굴리기, 팽이치기, 투호, 그네뛰기 등 전통놀이 체험도 가능하다. 참고문헌 https://www.gimje.go.kr/agro/index.gimje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구면 사방길 110-5
  • 강경고등학교 江景高等學校
    학예회, 3·1절 기념 웅변대회 등을 면면히 이어 오면서 민족의식 고취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1946년부터는 춘추체육대회와 더불어 농악·고전무용·그네뛰기·널뛰기·줄다리기 등 전통민속놀이로 전통문화 계승·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방과 후 활동으로는 음악, 미술 경연 백일장, 연극 등 개성계발과 전인교육에...
    시대 :
    현대
    위치 :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남교리
    설립 :
    1936년 4월 11일, 1992년 3월 20일(개명)
    성격 :
    중등교육기관, 고등학교
    유형 :
    단체
    분야 :
    교육/교육
  • 삼일민속문화제 三一民俗文化祭
    민속놀이 · 문화예술행사 · 체육행사 등으로 짜여 있다. 민속놀이로는 서낭대대기 · 영산쇠머리대기 · 민속팔씨름대회 · 골목줄다리기 · 읍면대항 그네뛰기와 널뛰기 · 농악경연대회 · 전국장사씨름대회 · 궁도대회 · 투견대회 · 영산줄다리기 · 연날리기 등 온갖 전통민속놀이가 펼쳐진다. 문화예술행사와...
    시대 :
    현대
    유형 :
    의례·행사
    분야 :
    생활/민속·인류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0건

그네뛰기
그네뛰기
그네뛰기
그네뛰기
그네뛰기
기산풍속도첩/그네뛰기
강릉단오제 / 그네뛰기
강릉단오제 / 그네뛰기
강릉단오제 그네뛰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