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단백질, 착한 밥상의 일등 공신
    우리 신체는 여러 종류의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단백질은 인체의 기능을 조절하는 데 필수적인데, 호르몬이나 효소의 원료가 되기도 하고 세포의 생성과 치유를 담당하기도 한다. 단백질의 섭취는 주로 육류를 통해 이루어진다. 물론 콩류에도 식물성 단백질이 있지만 그 양이나 성분이 육류보다 저급하다. 지방 중...
    도서 착한 밥상 | 태그 음식 , 건강
  • 무오공신 戊午功臣
    위사공신과 보좌공신으로 나뉘어 책봉되었다. 1258년 4월에 서열 순서대로 유경·김준·박희실·이연소·박송비·김승준·임연·이공주 등 8명이 위사공신으로 봉해졌으며, 차송우 등 19명은 보좌공신으로 책봉되었다. 7월에 위사공신에게는 자손에게 음서의 특전과 토지·노비를 주었으며, 보좌공신에게는 아들 1명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위성공신 衛聖功臣
    내용 1613년(광해군 5) 모두 80명을 공신으로 책봉하였는데 1등은 최흥원(崔興源)·정탁(鄭琢)·윤두수(尹斗壽)·이항복(李恒福)·윤자신(尹自新)·심충겸(沈忠謙) 등 10명으로 갈충진성동덕찬모좌운위성공신(竭忠盡誠同德贊謨佐運衛聖功臣)이라 하였고, 2등 17명은 갈충진성동덕찬모위성공신이라 하였으며, 3등 53명을...
    시대 :
    조선 후기
    성격 :
    공신, 훈호
    유형 :
    제도
    시행일 :
    1613년(광해군 5)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광해군 또 한 사람의 폐위 군주
    광해군(光海君, 1575~1641)은 조선의 제15대 임금으로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세자로 책봉되어 전란 수습을 이끌었으나 전란 후 10여 년간 당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세자 지위를 위협받았다. 1608년 왕위에 올랐지만 북인 세력의 지지로 왕위에 오른 군주라는 점, 명과 후금 사이에서 중립 외교 정책과 그로 인한 서인...
  • 목인길 연저수종공신(燕邸隨從功臣), 睦仁吉
    주요 활동 공민왕(恭愍王)이 즉위하기 전 원(元)나라에서 숙위(宿衛)할 때 오랫동안 시종하였다. 그 공으로 1351년(공민왕 즉위년) 왕이 즉위하자 연저수종공신(燕邸隨從功臣) 1등으로 책록되었다. 1356년(공민왕 5) 대호군(大護軍)의 직책으로, 왕명을 받아 밀직(密直) 강중경(姜仲卿)과 함께 친원 세력인 기철(奇轍)의...
    시대 :
    고려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이형좌명원종공신녹권 및 함 태종11년이형원종공신녹권부함, 李衡佐命原從功臣錄券및 函
    개설 태종이 잠저 때부터 보좌하여 즉위 후에도 자신을 위해 헌신한 신하들을 포상하고자 수여한 원종공신 녹권으로, 당시 통훈대부 판사재감사였던 이형에게 발급한 3등 공신녹권이다. 녹권 뿐 아니라 녹권을 보관해두었던 함까지도 온전히 보존되어 있다. 2010년 보물로 지정되었고, 현재 서울특별시 종로구 소재 국립...
    문화재 지정 :
    보물 제1657호
    창작/발표시기 :
    1411년
    성격 :
    유물, 함(函)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축(함1점포함)
    간행/발행 :
    태종
    분야 :
    언론·출판/출판
    소장/전승 :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2
  • 허유전 허안(許安), 許有全
    이 때문에 1308년(충렬왕 복위 10, 충선왕 복위년)에 충선왕이 복위한 후 교서를 내려 포상하였다. 1314년(충숙왕 1)에 가락군(駕洛君)에 봉해지고 단성수절공신(端誠守節功臣)의 호를 받았다. 1321년(충숙왕 8) 수첨의찬성사(守僉議贊成事)에 이어 정승(政丞)이 되었다. 이 무렵 상왕(上王)이었던 충선왕은 원(元)나라...
    시대 :
    고려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무력 정변으로 왕위를 빼앗긴 광해군, 인조반정 仁祖反正
    배경 1616년 여진족 추장 누르하치가 여진을 통일하고 후금을 세우다. 1618년 인목대비 서궁 유폐 사건이 일어나 대북파가 정권을 장악하다. 1619년 명나라에 1만 명의 원군을 파병하였다. 설명 1623년 3월 서인 일파가 무력 정변을 일으켜 광해군을 폐위시키고, 능양군(綾陽君) 종(倧)을 왕으로 옹립했다. 능양군은...
    시대 :
    1623년
  • 허욱 공신(公愼), 許頊
    개설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공신(公愼), 호는 부훤(負暄). 허확(許確)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대사헌 허흡(許洽)이고, 아버지는 허응(許凝)이며, 어머니는 신광수(申光守)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72년(선조 5) 춘당대문과(春塘臺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현감 때부터 치적을 쌓고 1591년 공주목사가...
    시대 :
    조선
    출생 :
    1548년(명종 3)
    사망 :
    1618년(광해군 10)
    경력 :
    한성부판윤, 평안도관찰사, 호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임진왜란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양천(陽川)
  • 명품바이올린 소리의 숨은 공신, ‘균’
    20억 원을 넘는 명품 바이올린 스트라디바리우스의 소리가 ‘균’ 덕분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스위스 연방 재료연구소 프란시스 슈바르체 박사팀은 스트라디바리우스의 소리 비결을 찾기 위해 바이올린을 분해해 나무 판의 공명 주파수를 측정했다. 그 결과 나무에 소량의 균류가 번식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에...
  • 광해군 조선 제15대 왕, 光海君
    선조의 둘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공빈 김씨이다. 의인왕후에게서 소생이 없이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피난지 평양에서 서둘러 세자에 책봉되었다. 선조와 함께 의주로 가는 길에 영변에서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분조(分朝)를 위한 국사권섭의 권한을 위임받았다. 1608년 선조가 죽자 왕위에 오르고 이듬해...
    출생 :
    1575년
    사망 :
    1641년
    재위 :
    1608년 2월~1623년 3월, 15년 1개월, 유배기간 18년
  • 헌마공신김만일기념관
    헌마공신김만일기념관은 옷귀마테마타운 근처에 있다. 조선시대에 83년 동안 수천 마리의 말을 나라에 바친 공으로 임금으로부터 헌마공신이라는 명예와 벼슬을 받은 김만일을 기념하는 곳이다. 김만일의 고향 의귀리는 '옷귀마테마타운'으로 운영되며 영조 임금으로부터 귀한 비단옷을 하사받았다는 의미로 '옷귀마'라...
    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성로 919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79건

공신회맹록
정진개국원종공신녹권/정운경
녹훈도감의궤
공신회맹록
20공신회맹축
공신적장록
위성공신교서
공신적장록
임진란 창의공신 현충탑
유몽인위성공신교서
남송의 공신들
김교적개공신교서
수죽정공신도비
장말손 유품 - 6공신회맹록
정사진무양공신등록
선무원종공신염언상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