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무산계 武散階내용 무산계가 처음으로 실시된 것은 995년(고려 성종 14)이다. 그 이전은 신라와 태봉(泰封)의 관계를 참작해 만든 고려의 관계를 사용하고 있었다. 신라의 골품제(骨品制)가 무너지고 지방 호족(豪族)들을 지배층에 포함시키는 중앙집권적인 관료체제가 형성되어 갔다. 이에 관료층이 직분(職分)에 따라 크게 문...
- 시대 :
- 조선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상피제 相避制부를 동시에 얻는 첩경(捷徑)인 관리 등용문이 매우 좁았다는 사정을 참작한다면, 관료 조직의 운영 과정에서 더욱 중요한 의미를 지녔음에 틀림없다. 골품제(骨品制) 하의 신라에서 재상급에 속하는 최고위 관직에서만 부자간의 상피가 행해졌던 단편적인 사례가 발견된다. 그러나 상피제(相避制)는 관료제의 발전과...
- 시대 :
- 고려, 조선
- 성격 :
- 법제, 행정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092년(선종 9)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신라국기 新羅國記다만 『대중유사(大中遺事)』를 찬술하면서, 『신라국기(新羅國記)』를 인용하였을 따름이다. 『신라국기』는 현재 전해지지 않고, 『삼국사기』 및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에 일부 인용되고 있는데, 그 내용은 화랑제(花郎制)·골품제(骨品制) 및 망덕사(望德寺)에 관한 것으로서 사료상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저작자 :
- 고음
- 창작/발표시기 :
- 768년(혜공왕 4)
- 성격 :
- 견문록, 신라견문기
- 유형 :
- 문헌
- 분야 :
- 역사/고대사
-
궁예의 후고구려계승 의지를 갖고 북벌을 추진하는 한편, 신라와 후백제의 나주를 공략하는 등 짧은 기간 동안 강국으로 급부상하였다. 궁예는 신라의 폐쇄적인 경주 중심의 골품제 사회를 타파하고, 한반도 중부를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국가를 만들었다. 이처럼 궁예가 짧은 시간에 세력을 키울 수 있었던 이유는 반신라적이며 고구려...
- 시대 :
- 901년~918년
-
한품서용법 限品敍用法내용 한품서용법의 기원은 이미 신라의 골품제(骨品制)와 고려시대의 관리서용법에서도 찾아볼 수 있지만 대체로 조선 초기에 이르러 정비되었다. 조선 초기에 신분제도와 관직제도가 정비됨에 따라 신분과 직종에 따른 한품서용법이 발달하게 되었다. 조선 초기에 있어서 한품의 구애를 받지 않고 종9품에서 정1품까지...
- 시대 :
- 고려
- 성격 :
- 관리제도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왕건의 고려 건국과 후삼국 통일왕건은 견훤을 앞세워 후백제를 정벌했다. 936년 왕건은 마침내 후삼국통일을 이루게 되었다. 고려의 통일은 정권의 통합뿐만 아니라 신라의 폐쇄적인 골품제를 타파하고, 새로운 지배층이 편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호족을 제압하지 않고서는 안정을 이룰 수 없다는 것을 안 왕건은 호족들에게는 요직을, 중소...
- 시대 :
- 918년~936년
-
견당유학생 遣唐留學生당나라 말기의 병란으로 유학생 및 과거급제자들은 대부분 귀국하였으며, 그들은 당나라에서 경험한 신분제의 개방성과 과거제도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골품제를 고수하는 중앙정부의 폐쇄성을 비판하는 세력으로 등장하였다. 특히 그들은 지방호족세력과도 결합하였는데, 최승우가 견훤(甄萱)을 도와서 왕건에게...
- 시대 :
- 고대/삼국
- 성격 :
- 교육제도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640년(선덕여왕 9)
- 분야 :
- 교육/교육
-
김예 金銳願記)에 의하면, 당시 그의 관직은 선수조탑사 종제 사지 행웅주기량현령(宣修造塔使從弟舍知行熊州祁梁縣令)으로 되어 있다. 왕의 가까운 친척임에도 신라 골품제사회에서 아주 낮은 관등인 사지(舍知)와 현령(縣令)을 행직(行職)으로 받고 있었다. 868년에는 이찬(伊飡)으로서 김현(金鉉) 등과 모반을 꾀하다가 죽음을...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출생 :
- 868년(경문왕 8)
- 사망 :
- 미상
- 경력 :
- 이찬(伊飡)
- 유형 :
- 인물
- 직업 :
- 왕족, 반란자
- 분야 :
- 역사/고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