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평양미술대학 平壤美術大學
    최고의 전문가를 양성하며, 조선화, 선전화 등 미술계의 전문가를 배출하고, 조선화와 조형 분야의 창작기법에 관한 연구 성과를 산출하였다. 이 대학의 창작작품으로 만수대기념비, 가극 ‘피바다’ 무대예술 등이 있으며, 졸업생으로는 조선화 작가인 정창모, 금니화의 거장 황병호, 조각가 윤룡숙 등이 있다. 참고문헌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단체
    분야 :
    교육/학교교육
  • 혁명적 대작
    혁명적 대작은 시대의 본질적 특징과 혁명 발전의 합법칙성을 체현한 전형적 사건들을 토대로 공산주의자의 전형적 성격과 세계관을 드러내줌으로써 인간을 사상적·혁명적으로 고양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혁명적 대작에 속하는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피바다〉·〈꽃 파는 처녀〉·〈유격대의 오형제〉 등이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조선적십자회 朝鮮赤十字會
    회담은 결실을 거둬 1985년 8월 ‘남북 이산가족 고향방문 및 예술공연단’공연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북한측은 1989년 교환공연에서 <피바다> · <꽃파는 처녀> 등 혁명가극의 공연을 주장, 회담이 교착상태에 빠졌다. 1995년 7∼8월에 큰 수해를 겪으면서 유엔 및 세계 1백20개 국가들에 국제적 지원을...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사회/사회구조
  • 영화예술론
    이 책은 〈피바다〉·〈꽃 파는 처녀〉·〈한 자위단원의 운명〉 등의 작품을 영화로 제작하는 과정에서 영화예술을 발전시킬 목적으로 발표되었다. 머리말, 생활과 문학, 영화와 연출, 성격과 배우, 영상과 촬영, 화면과 미술, 장면과 음악, 예술과 창작, 창작과 지도 등 9개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생활과 문학'에서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영화
  • 음악무용서사시 音樂舞踊敍事詩
    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 10주년을 기념하여 음악무용서사시 「영광스러운 우리 조국」이 처음 공연되어 인민상 계관작품으로 선정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피바다’식 혁명가극과 음악무용이야기 형식의 「낙원의 노래」에서 이룬 성과들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1982년에는 「영광의 노래」로 다시 선을 보였다. 「영광...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무용
  • 윤재욱 尹在旭, Yoon, Jae-uk
    단장이 되었다. 1946년 가을 철도파업을 분쇄했고, 1947년 3월 1일 당시 영등포 일대의 좌익청년과 노동자들을 상대로 유혈투쟁을 벌인, 일명 ‘신길동 피바다 사건’에 관여했다. 조선민족청년단(약칭 족청)과도 두 차례 세력다툼이 있었다. 민족영등포청년회 세력을 기반으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영등포 부위원장...
    시대 :
    현대
    출생 :
    1910년 8월 25일
    사망 :
    1996년 6월 2일
    경력 :
    국회의원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신길동 피바다사건, 국회프락치사건, 부산정치파동, 사사오입개헌
    직업 :
    정치인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본관 :
    파평
  • 영주 금성대군 신단
    꾀하는 거사가 무르익어가던 세조 3년(1457) 가을 어느날 밀의를 엿들은 순흥부의 한 관노의 밀고에 의하여, 관군의 습격을 받은 순흥 고을은 온통 불더미에 피바다를 이루는 도륙을 당하면서 폐부 (廢府)되고 말았다. 그로부터 200여년이 지난 숙종 9년(1683)에 순흥은 명예가 회복되고, 이어 숙종45년(1719) 고을사람...
    위치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2767번길 28
    문화재 지정 :
    [영주 금성대군 신단] 사적 제491호(2007.12.31 지정)
  • 아티스트 (2000년 영화)
    2 역 황혜성 : 간호사 3 역 이은지 : 카페여자 1 역 김진선 : 카페여자 2 역 김은희 : 사무실여 1 역 권순미 : 사무실여 2 역 강상준 : 피바다 1 역 문아람 : 피바다 2 역 김세홍 : 피바다 3 역 박현주 : 웨딩샵직원 역 김용수 : 보일러공 역 정동형 : 피해자 1 역 유명산 : 피해자 2 역 최현성 : 피해자 3 역 권대호...
    도서 위키백과
  • 혁명가극 Korean revolutionary opera, 革命歌劇
    가극 형식이다. 음악과 무용, 연극이 종합된 형태이다. 1936년에 항일 운동 중 김일성이 집필하여 공연한 연극 대본 《혈해》를 1960년대 말에 가극 《피바다》로 각색하면서 새로운 형식이 창조되었다. 이 때문에 《피바다》 이후의 혁명가극에 대하여 피바다식 혁명가극이라는 표현이 사용된다. 정치적 사상의 전달에...
    도서 위키백과
  • 조선국립교향악단 State Symphony Orchestra of the Democrat..
    공연에 참가했다. 1956년 - 독자적인 단체로 독립 1969년 - 조선예술영화촬영소의 관현악단과 통합되어 영화음악의 녹음을 위주로 활동했다. 1971년 - 피바다가극단 산하 연주 단체가 되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대표적인 관현악 작품으로 손꼽는 '아리랑환상곡', '내 고향의 정든 집', '청산벌에 풍년이 왔네...
    도서 위키백과
  • 최익규 (영화 감독) Choe Ik-gyu
    장악하였을 때 최익규는 북한에서 가장 경험이 많은 영화 제작자였다. 김정일이 프로듀싱을 맡고 최익규가 감독을 맡으면서 수많은 북한 영화를 제작해냈다. 피바다(1968)와 꽃파는 처녀(1972)는 불멸의 고전 작품이었으며 대중적으로 성공하였다. 1960년대 말에 최익규는 조선로동당 선전선동부로서 북한의 모든 영화...
    도서 위키백과
  • 리진수
    인물 정보 리진수(1932년~ )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휘자이다. 함경북도 길주군 태생으로, 북조선가극단에 입단한 뒤 1971년에 혁명가극 '피바다' 의 초연을 지휘해 유명해졌다. 북조선가극단이 피바다가극단으로 개칭된 뒤에도 지휘자로 재직하면서 음악무용이야기 '락원의 노래' 와 음악무용서사시 '영광의...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피바다 가극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