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십문화쟁론 十門和諍論通敎理念)을 전개시켰으므로, 이것이 ≪십문화쟁론≫의 총상이 된다. 제2문 <공유이집화쟁문 空有異執和諍門>에서 밝힌 공과 유의 대립은 인도의 중관학파·유가학파, 중국의 자은법상종(慈恩法相宗)과 삼론종(三論宗)의 쟁점이 되어 수백 년 동안 해결되지 못한 숙제로 남아 있었다. 그런데 원효는 과감히 공과 유의...
- 시대 :
- 고대/삼국
- 저작자 :
- 원효(元曉)
- 창작/발표시기 :
- 신라시대
- 성격 :
- 불교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1책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소장/전승 :
- 동국대학교 도서관
-
기신론별기 해동별기(海東別記), 起信論別記밝힌 권두의 글은 『기신론』의 사상사적 위치와 특징을 깊이 있고 명쾌한 문체로 밝히고 있다. 특히 원효는 『기신론』이 대승불교의 두 가지 큰 흐름인 중관학파(中觀學派)의 '부정 위주의 사상'과 유식학파(唯識學派)의 '긍정 위주의 사상'을 종합한 것이라 하였다. 원효는 이와 같은 긍정과 부정의 사상을 '화쟁...
- 시대 :
- 고대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
삼신불화 三身佛畵개설 삼신불이란 중관학파(中觀學派)와 더불어 인도 대승불교의 2대 사상 조류를 이루는 유가유식학파(瑜伽唯識學派)에 의해 성립된 불신관(佛身觀)으로서『대승장엄경론(大乘莊嚴經論)』에서는 “모든 불에는 세 가지 불신이 있으니 제1자성신(自性身 : 법신)은 전의(轉依)를 특질로 하고, 제2식신(食身 : 보신)은 대회...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