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6경 六境, sad visayah
    經量部)에서는 오직 현세에만 찰나적으로 생멸할 뿐이라고 주장하면서 과거·현재·미래에 항상 존재하는 법체를 부정했다. 또한 대승불교(大乘佛敎)의 중관학파(中觀學派)에서는 이들이 연기적(緣起的)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실체성이 없는 공한 존재라고 했으며, 유식학파에서는 오직 식(識)만이 존재할 뿐 대상세계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반야심경찬 般若心經贊
    心經贊〉·〈심경찬 心經贊〉이라고도 한다. 그 구성을 보면 교기인연·변경종체·훈석제목·판문해석의 4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공사상을 핵심으로 하는 중관학파에서는 모든 존재의 본성이 공하다고 하여 일체의 형이상학적 존재를 부정했으나, 유식학파에서는 모든 존재가 식의 소산이라고 함으로써 현상의 근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공사상의 전개
    용수와 아리아데바(Aryadeva 提婆), 4, 5세기 무렵의 무착(無著 Asanga)과 세친(世親 Vasubandhu) 등에 의한 저술이 그것이다. 앞의 두 사람을 계승하여 중관학파(中觀學派)가 흥기하고 뒤의 두 사람을 시발로 하여 유가행파(瑜伽行派)가 형성되었는데, 인도의 대승불교 철학 전분야는 이 두 학파를 주축으로 하여 전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십문화쟁론 十門和諍論
    通敎理念)을 전개시켰으므로, 이것이 ≪십문화쟁론≫의 총상이 된다. 제2문 <공유이집화쟁문 空有異執和諍門>에서 밝힌 공과 유의 대립은 인도의 중관학파·유가학파, 중국의 자은법상종(慈恩法相宗)과 삼론종(三論宗)의 쟁점이 되어 수백 년 동안 해결되지 못한 숙제로 남아 있었다. 그런데 원효는 과감히 공과 유의...
    시대 :
    고대/삼국
    저작자 :
    원효(元曉)
    창작/발표시기 :
    신라시대
    성격 :
    불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권 1책
    분야 :
    종교·철학/불교
    소장/전승 :
    동국대학교 도서관
  • 기신론별기 해동별기(海東別記), 起信論別記
    밝힌 권두의 글은 『기신론』의 사상사적 위치와 특징을 깊이 있고 명쾌한 문체로 밝히고 있다. 특히 원효는 『기신론』이 대승불교의 두 가지 큰 흐름인 중관학파(中觀學派)의 '부정 위주의 사상'과 유식학파(唯識學派)의 '긍정 위주의 사상'을 종합한 것이라 하였다. 원효는 이와 같은 긍정과 부정의 사상을 '화쟁...
    시대 :
    고대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10문화쟁론 十門和諍論
    있다. 제2문 〈공유이집화쟁문 空有異執和諍門〉에서 유와 공은 막힘이 없이 서로 통하므로 본래 대립적인 개념이 아님을 변증해나감으로써 인도의 중관학파·유가학파, 중국의 삼론종(三論宗)과 자은법상종(慈恩法相宗)의 주요쟁점이 되어온 공과 유의 대립을 화해시켰다. 제3문 〈불성유무화쟁문 佛性有無和諍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구마라집 鳩摩羅什, Kumarajiva
    모두 출가했으며, 그도 그의 어머니를 따라 7세에 출가했다. 중국 카슈가르에서 소승불교를 공부하다가 수리아사마라고 하는 대승불교도에 의하여 불교의 중관학파(中觀學派)로 개종했다. 인도에 유학하면서 두루 여러 선지식을 참례하여 여러 방면에 대해 잘 알았고, 특히 기억력이 뛰어나 인도 전역에 그의 명성이...
    출생 :
    구자국(龜玆國), 344
    사망 :
    413
    국적 :
    인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삼신불화 三身佛畵
    개설 삼신불이란 중관학파(中觀學派)와 더불어 인도 대승불교의 2대 사상 조류를 이루는 유가유식학파(瑜伽唯識學派)에 의해 성립된 불신관(佛身觀)으로서『대승장엄경론(大乘莊嚴經論)』에서는 “모든 불에는 세 가지 불신이 있으니 제1자성신(自性身 : 법신)은 전의(轉依)를 특질로 하고, 제2식신(食身 : 보신)은 대회...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회화
  • 티베트 불교 Tibetan Buddhism
    라마교라고도 불리나 이는 정확하지 않은 명칭이다. 티베트 불교는 주로 중관학파와 유가행파 철학의 철저한 지적 훈련에 그 기반을 두고 있으면서 탄트라 불교인 금강승 불교의 상징적 의례 행위를 받아들이고 있다. 티베트 불교는 또한 초기 상좌부 불교의 승가 계율 및 티베트의 재래 종교인 본교의 무속적 특색들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공관의 의의
    이는 아비달마 철학의 다원론적 실재론 비판에만 그치지 않고, 철학 일반을 널리 비판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기 자신에 대한 비판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중관학파 학자에게는 자기 주장으로서 정언이 있을 수가 없다. 공에 대한 자기 주장은 '공견'일 수는 있어도 '공관'은 아니다. 공의 변증론은 '공이 있음을 주장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반야바라밀 般若波羅蜜, Prajnaparamita
    여러 이역이 나왔다. 그뒤 독립된 판본의 소형 경전들이 18종 가량 나왔는데, 그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이 〈금강경 金剛經〉이다. 나중에 동인도의 중관학파 계통 사원에서는 〈반야경〉에 대한 체계적·학술적인 주석서들이 저작되었는데, 이는 애초에 반야사상운동에서 배격했던 규정적인 합리주의를 오히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법상종 法相宗
    성유식론소 成唯識論疏〉·〈해심밀경소 解深密經疏〉 등을 저술해 호법의 학설에만 기울어진 현장과 규기를 비판하고 진제가 전한 안혜의 유식설과 나아가 중관학파의 학설까지도 포섭하는 유식사상을 제창했다. 이러한 원측의 독특한 유식사상은 서명파(西明派)를 형성해 규기의 자은파와 함께 법상종의 양대조류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