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기남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모스크바국제대학에서 유학한 '혁명 2세대'이다. 1952년 외무성 참사를 시작으로 외교업무를 보다가 1961년 조선노동당으로 진출해 그해에 노동당 중앙위원회 과학교육부 부부장을 맡았다. 1974년부터 선전분야로 방향을 바꿔 당 기관지인 〈근로자〉 부주필이 되었으며, 이듬해 주필이...
    출생 :
    1929. 8. 28, 만주 랴오닝성
    사망 :
    2024. 5. 7, 북한 평양
  • 장성택
    북한의 정치가. 김정일 국방위원장 여동생 김경희의 남편으로 조선노동당 조직의 실질적인 2인자였다. 그는 김일성종합대학 정치경제학부에서 동급생이었던 김경희와 교제를 시작했다. 이후 모스크바대학에 유학했으며 유학 직후 1972년 김경희와 결혼했다. 그는 1970년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조직지도부 지도원을 시작...
    출생 :
    1946. 1. 22, 함경북도 청진
    사망 :
    2013. 12. 12, 북한 평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북조선노동당 북로당, 北朝鮮勞動黨
    개설 북한의 집권당인 조선노동당의 전신으로서, 해방 직후인 1945년 10월 10일 창립된 ‘조선공산당 북부조선분국’이 북조선공산당으로 발전하면서 무산계급의 정당을 자처하게 되었고, 1946년 1월에 성립된 연안계 공산주의자를 중심으로 한 일종의 쁘띠 부루조아 정당인 북조선신민당이 북조선공산당과 8월에 합당...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정치·법제/정치
  • 황장엽 黃長燁
    조선노동당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지낸 북한의 정치인. 1923년 평안남도 강동에서 태어나 1952년 소련에서 유학했고 1954년 10월 김일성종합대학 철학강좌장이 되었으며, 1958년 과학원 사회과학부문 위원이 되었다. 1959년 12월 조선노동당 선전선동부 부부장에 임명되었으며, 1965년 김일성종합대학 총장이...
    출생 :
    1923. 2. 17, 평남 강동
    사망 :
    2010. 10. 10, 서울
    국적 :
    북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김영주 金英柱
    수학했다. 1953년 3월 6·25전쟁 당시 남조선노동당 간부들 숙청 군사재판 과정에서 이승엽(李承燁) 세력에 대한 재판의 서기를 맡았으며, 1954년 조선노동당 조직지도부 지도원과 1957년 조직지도부 지도과장이 되면서부터 중앙의 정치무대에 본격적으로 등장했다. 핵심 지도층 부상 1961년 9월 제4차 당대회에서 조선...
    출생 :
    1920. 9. 21, 만주 임강현
    사망 :
    2021. 12. 14, 평양
    국적 :
    북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최용건 崔鏞健, 崔庸健
    1948년 9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수립되자 제1차 내각의 민족보위상으로 임명되었고, 1949년 6월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상무위원, 1950년 6월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군사위원 등을 지내다가 6·25전쟁이 발발하자 서울 방위사령관직을 맡았다. 1953년 2월 조선인민군 차수(次帥)로 승진했고, 1955년 7월 부수상 겸...
    출생 :
    1900, 평북 태천
    사망 :
    1976
    국적 :
    북한
  • 북한의 정치와 사회
    규정함으로써 북한의 국가기구가 유일지배정당인 조선노동당의 지도아래 활동하며, 조선노동당의 결정이 헌법에 우선함을 명시했다. 또한 조선노동당 규약 전문에 "조선노동당은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의 혁명사상, 주체사상을 유일한 지도적 지침으로 삼는다"라고 규정하여 조선노동당이 김일성 주체사상에 기초해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북한
  • 박성철 朴成哲
    북한의 정치관료. 항일유격대 출신이다. 조선인민군 사단장으로 6·25전쟁에 참가했다. 1956년 8월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국제부장, 같은 해 10월 외무부 부상, 1959년 10월 외무상을 역임했다. 1961년 9월 조선노동당 제4차 대회에서 중앙위원으로 선임되었으며, 1966년 10월 내각 부수상, 1967년 12월 부수상 겸...
    출생 :
    1913. 9, 경북 경주
    사망 :
    2008. 10. 28, 북한 평양
    국적 :
    북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김환 金渙
    학원을 거쳐 김일성종합대학 화학공학부에서 수학했으며, 1953~57년 독일의 라이프치히에 있는 카를마르크스대학교와 대학원에서 화학을 전공했다. 1962년 조선노동당 중공업부 과장에 이어 1967년 화학공업성 부상에 기용되었고, 1970년 조선노동당 제5차 대회에서 중앙위원회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다. 같은 해 12월...
    출생 :
    1929, 양강도 후창
    국적 :
    북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김창만 金昌滿
    지냈고, 1947년 사동간부학교 교장을 지냈다. 1949년 북한의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중앙위원, 1953년 황해남도 도당위원장, 1956년 교육상, 같은 해 4월 조선노동당 제3차 대회에서 당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이 되었다. 1956년 7월 프랑스 공산당 제15차 대회에 참석하기도 했다. 1957년 8월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9...
    출생 :
    함북, 1907
    사망 :
    미상
    국적 :
    북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북한의 언론과 출판
    북한의 언론은 국가가 독점하고 당의 통제 아래 이른바 김일성 유일사상과 남조선혁명 관철을 위한 조선노동당의 강력한 사상적 무기로써 기능한다. 즉 뉴스의 보도는 객관성보다는 당성을, 속보성보다는 교양성을 강조하고, 언론의 자유나 영리사업으로서의 운영이 일체 금지되고 당의 지휘와 감독을 받도록 되어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북한
  • 김중린 金仲麟
    깊이 관여했다. 북한이 1·21사태, 울진-삼척지구 무장공비사건 등 일련의 무장 게릴라 중심의 대남사업에 실패하자 1969년 허봉학(許鳳學)의 뒤를 이어 조선노동당 대남담당 비서로 선임되었다. 1970년대 대남사업을 담당하면서 적극적인 군사개입정책을 지양하고 남한에 혁명여건을 조성하는 데 치중하는 방식으로...
    출생 :
    1924, 평북 벽동
    사망 :
    2010. 4. 28
    국적 :
    북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조선노동당
평양 당창건기념탑
조선노동당대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