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보도 부호 -符號, Baudot code①데이터 전송에 이용되는 정보 부호. 1개의 문자가 5개의 비트로 표현된다. ②1개의 회선으로 6명의 운용자가 통신하는 전신 회선의 다중화 방식에 이용되는 전송 부호 체계. 1874년 보도가 개발했다.
-
단극성 펄스 단류 부호, 單極性-극성의 음양 어느 한쪽 방향으로만 한정된 펄스. 보통 부호기나 복호기 등에는 단극성 펄스를 사용한다. 전신, 데이터 통신에서는 단류 부호라 한다.
-
부호 바 符號-, code bar인쇄 전신 또는 데이터 통신기의 자호 선택 기구의 일부로 수신 선택 부호에 대응하는 자호 또는 기능을 정하는 바. 보통 그 개수는 부호 단위에 대응한다.
-
머레이 부호 -符號, Murray code모스 부호와 비슷하나 각각의 문자가 마크 및 스페이스로 구성된 5개의 비트로 이루어진 부호. 각 문자는 시작 또는 스톱 비트로 분리된다. 주로 고속 자동 전신에 쓰인다.
-
반송 전신 단국 장치 搬送電信端局裝置, carrier telegraph te..전신 부호로 변조된 반송파를 다중화하여 전송로로 송출하고, 전송로로부터 오는 다중화 반송파를 복조해서 원래의 전신 부호를 재현하는 장치.
-
-
전신 속도 電信速度, telegraph speed, signaling speed원신호파의 최단점 시간을 tp, 2진 문자 부호의 1비트를 t0라고 하면 통신 속도 B=1/tp[보], 샤논의 통신 속도 C=1/t0[비트/초]이다. 즉 2진 부호의 인쇄 전신에서는 B=C=1/tp=1/t0이다. 그러나 시작/정지식 6단위 부호에서는 시작과 정지의 2비트가 필요하므로 C=6/8t0[비트/초]가 된다. 이 경우 C를 신호...
-
2중 전신 二重電信, duplex telegraphy전류를 단속(변조)하여 만든 전신 부호를 이용하여 양방향 동시 통신이 가능한 평형 장치를 갖춘 전신 통신 방식. 넓은 의미로는 실선 1회선으로 통신 2회선을 얻는 통신 방식은 모두 2중 전신 방식이다. 예를 들면, 진폭 변조(AM)와 주파수 변조(FM), 펄스 변조(PM)의 혼합 변조 방식, 사인파와 코사인파에 의한 위상...
-
전신 신호 電信信號, telegraph signal전신 부호에 따라서 전송로에 나타나는 전기적 신호. 일반적으로 50~300보(Baud) 이하에서 사용한다. 전신 신호는 ‘1’과 ‘0’ 등 2진화된 디지털 신호로 나타내며 2가지 방법이 있다. ㉠전류의 단속에 의한 전신 신호:일반적으로 (-) 400mA 또는 (±) 40mA의 전류 단속으로 신호를 구성하는 것. ㉡전압의 단속에 의한...
-
반송 전신 搬送電信, carrier telegraph전신 부호를 전송로에 적합한 주파수로 만들어 다수의 전신 장치가 하나의 통신로를 통해 다중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한 통신 방식. 송신 시에는 회선마다 정해진 고유 주파수에 따라 변조되어 전송로에 입력되고 수신 시에는 고유 주파수를 제거함으로써 원래의 신호를 찾아낸다. 변조 방법은 주파수 편이 방식(F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