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아마추어 무선통신

다른 표기 언어 amateur radio

요약 음성이나 국제 모스 부호로 전달하는 비상업용 무선통신.

아마추어 무선통신(amateur radio)

ⓒ Denelson83/wikipedia | Public Domain

아마추어 무선 통신인을 흔히 햄(ham)이라고도 한다.

이탈리아의 발명가 굴리엘모 마르코니가 1901년 처음으로 대서양횡단 무선신호 전송에 성공한 이후부터 아마추어 무선통신에 대한 관심이 대대적으로 고조되기 시작했다. 아마추어 방송이 상업과 군사 전파송신을 방해하게 되자 1911년에 이를 통제하는 정부기관이 생겨났다. 제1차 세계대전 후 무선통신 애호가들의 활발한 무선통신실험으로 장거리 방송이 더욱 발전하게 되었으며, 최초로 중간주파수 이상과 고주파수 이하의 주파수대 개발에도 성공하게 되었다. 또한 아마추어 무선통신원들은 여러 해 동안 산불·홍수·태풍 등을 비롯한 기타 재난들이 일어났을 때 긴급 통신업무를 수행해왔으며, 재난을 입은 지역과 바깥 세계 사이에 정상적인 통신시설이 복구될 때까지 중요한 연락업무를 하고 있다.

아마추어 무선통신은 국제전기통신조약과 전파관리법에 의해 규제되며, 사용이 가능한 주파수대가 지정되어 있다.

주파수대 중 원거리 통신(DX)에 가장 많이 쓰이는 주파수는 14㎒대이다. 또 각 아마추어 국에는 국적을 표시하는 식별전치부호(識別前置符號) 및 숫자와 알파벳의 조립으로 된 호출부호(call sign)가 있다. 한국의 경우 HL이 국적을 표시하는 머리글자이고, 다음 숫자는 국의 소재지에 따라 1~Ø이 할당되고 있다. 호출은 CQ(각국을 호출하는 부호로 이것을 인지한 청수국의 응답을 요망한다는 뜻)를 자국 호출부호 앞에 붙이고 연호(連呼)한다.

아마추어국에서 사용하는 주요부호로 QSO(교신)·QRG(주파수)·QRL(교신중)·QRM(혼신)·QRN(잡음)·QSP(중계)·QTH(소재지) 등이 있다.

미국에서 무선통신은 국제 법규와 미국 연방 규정의 통제를 받으며, W·WA·K·WV·KN 등의 5개를 미국 호출부호로 쓴다. 미국의 무선통신사 자격증은 5단계로 분류되어 있는데, 상급자격증을 따기 위해서는 국제 모스 부호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 무선통신 이론과 법규 등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아마추어 무선통신에 배당되는 주파수대는 중파 주파수대 끝부분의 EHF(extreme high-frequency) 주파수, 단파(HL) 주파수대의 5가지 주파수, 초단파(VHF) 주파수대의 2가지 주파수, 극초단파(UHF) 주파수대의 3가지 주파수, 진폭과 주파수 변조(AM·FM)를 사용해 전신과 전화 통신에 사용되는 SHF 주파수대의 7가지 주파수 등이 있다. 송신기의 출력에 따라서도 제한을 받으며, 어떤 주파수들은 사용자들의 수요를 고려해서 반드시 사용자 간에 공유해야만 하는 것도 있다.

한국에서 아마추어 무선국을 설치·운영하기 위해서는 전파관리법상 소정의 무선 종사자 자격(제 1·2·3급)을 취득해야 하는데, 직업·연령·남녀·학력에 구애됨이 없이 체신부에서 시행하는 국가검정을 통해 자격을 취득해야 된다.

한국 아마추어 무선연맹(KARL)이 1958년에 결성되어 정당한 아마추어 무선통신과 실험을 장려·지도하고 무선통신 분야의 기술 향상과 이의 보급 및 공공복지의 증진을 목적으로 하며, 국제 아마추어 무선연맹(International Amateur Radio Union/IARU)에 가맹되어 한국을 대표한다. 한국에서 아마추어 무선통신이 시작된 것은 1930년대초였으며, 이때 호출부호는 일본의 JBAA-J80Z였다. 해방 후에는 주한미군들의 군아마추어 무선 시스템의 장비를 사용하여 한국의 호출부호 HL로 전파를 발사하기 시작했다.

한국 최초의 아마추어 무선국은 1959년 2월 3일 한국 아마추어 무선연맹에 허가된 HL9TA열이었다. 현재의 한국 아마추어 무선의 호출부호는 1982년 1월 1일부터 모두 HL열로 변경되어 사용되고 있다. 1988년 현재 한국 아마추어 무선 면허 소지자는 약 2만 명이고 이 가운데 약 2,600명이 개인 아마추어 무선국을 개설·운영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컴퓨터/정보통신

컴퓨터/정보통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아마추어 무선통신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