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시제 時祭
    아헌(亞獻)·종헌(終獻)·음복(飮福)·사신(辭神)·납주(納主)·철찬(徹饌)·준(餕)의 순서로 되어 있다. 참고로 주자의 『가례』의 절차를 알아보면, 전기삼일재계(前期三日齋戒)·전일일설위(前一日設位)·진기(陳器)·성생(省牲)·척기(滌器)·구찬(具饌)·봉주·취위(就位)·참신·강신·진찬·초헌·아헌·종헌...
    성격 :
    제례
    유형 :
    의식행사
    분야 :
    사회/가족
  • 대조선사 大朝鮮史
    鮮建設時代) · 오국시대(五國時代)로 구분하였다. 중세는 삼국시대(三國時代) · 남북시대(南北時代) · 고려시대(高麗時代)로, 근세는 근세조선의 전기(近世朝鮮의 前期) · 근세조선의 후기(近世朝鮮의 後期)로, 최근은 갑자이후시대(甲子以後時代) · 갑오이후시대(甲午以後時代) · 갑진이후시대(甲辰以後時代)로...
    시대 :
    근대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근대사
  • 한국복식사연구 韓國服飾史硏究
    발표한 복식사 관계 논문을 영인하여 한데 모은 논문집으로, 광복 후 국내에서 나온 한국복식사의 선구적인 연구서이다. 수록된 논문은 「이조전기복식연구(李朝前期服飾硏究)」 · 「흥덕왕복식금제(興德王服飾禁制)의 연구-신라말기 복식을 중심으로-」 · 「고려도경(高麗圖經)의 복식사적 연구-고려도경의 풍속사적...
    시대 :
    현대
    유형 :
    문헌
    분야 :
    생활/의생활
  • 개성학교 開成學校
    개성고등학교와 부산초등학교이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1. 교과 과정과 학생 교과 과정은 초등과·중등과·고등과 3과를 병치 하였다. 초등과는 전기(前期)·후기(後期)로 나누고 각각의 수업 연한은 3개년이었다. 전기는 일본의 심상소학교(尋常小學校)[6년제] 정도였고, 후기는 고등소학교(高等小學校)[8년...
    분야 :
    문화·교육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 관례고정 冠禮考定
    있다. 관례의 절차 해설에서는 <남자년십오지이십개가관 男子年十五至二十皆可冠>·<필부모무기이상상시가행지 必父母無朞以上喪始可行之>·<전기삼일주인고우사당 前期三日主人告于祠堂>·<계빈 戒賓>·<진설 陳設>·<내초 乃醮>·<빈자관자 賓字冠者>·<관자현우존장 冠者見于尊長>·<내예빈 乃禮賓...
    시대 :
    조선
    저작자 :
    서창재(徐昌載)
    창작/발표시기 :
    1779년
    성격 :
    의례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사회/가족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한국자본주의사연구 韓國資本主義史硏究
    동운동으로 말미암아 전개된 신체제적 식민지개발사의 동태 그것이다.”라고 서술하였다. 제2권 ‘봉건지대의 근대화 기구분석’에서는 한말의 전기적 생산양식론고(前期的生産樣式論考), 개항과 토착경제의 피지배구조, 지대(地代)의 경제사학적 의의, 개항 이후의 지대사적 단계규정, 개항과 봉건적 지대구조, 동학...
    시대 :
    현대
    저작자 :
    김준보(金俊輔)
    창작/발표시기 :
    1970년(제1권), 1974년(제2권), 1977년(제3권)
    성격 :
    학술서, 자본주의사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3권 3책
    간행/발행 :
    일조각
    분야 :
    경제·산업/경제
  • 청동기 시대의 토기 靑銅器 時代의 土器
    토기, 구멍무늬 토기, 짧은 빗금무늬 토기[단사선문 토기(短斜線文土器)]가 출토되었다. 이와 같은 토기를 통해 노포동과 반여동의 주거지는 청동기 시대 전기(前期)에 속하였음을 알 수 있다. 동래구 온천1동의 금강 공원 내에서도 두 점이 출토되었는데, 한 점은 깊은 바리 모양 토기로서 높이 12㎝의 비교적 소형이다...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 청동기 시대의 주거 靑銅器 時代의 住居
    에서 소형(小形)으로 변하는 경향이 있으며, 부산 지역도 마찬가지이다. 부산 지역의 청동기 시대 주거지는 주로 후기(後期)에 속하는 것이 많은데 비해 전기(前期)로 확신할 수 있는 사례가 적었지만, 방곡리 유적의 조사로 인해 부산 지역에도 청동기 시대 전기에 유행한 대형의 세장방형 주거지가 축조되었음이 분명...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 삼한 시대 三韓 時代
    삼한 시대 유적으로는 구서동 유적, 노포동 유적, 부산 동래 패총, 조도 조개더미 등이 있다. [삼한 시대의 시기 구분] 삼한 시대의 시기 구분은 크게 전기(前期)와 후기(後期)로 나누어지며, 그 속에서 각기 전반(前半)과 후반(後半)으로 구분된다. 전기 전반은 원형 점토대 토기, 검은 간 토기, 세형동검과 함께...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 조정 종가 문적 (보물 1004-2호)
    발급(發給)된 교지류(敎旨類)는 인사행정제도(人事行政制度)의 연구에 각각 귀중한 자료이며, 전적(典籍)은 낙질(落帙)이 많기는 하나, 조선(朝鮮) 전기간본(前期刊本)으로 서지학연구(書誌學硏究)의 자료(資料)임은 물론, 교육문화사연구(敎育文化史硏究)에도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척약재선생학음집(惕若齋先生學吟集...
    도서 위키백과
  • 토기 융기문 발 土器 隆起紋 鉢
    토기이지만, 동해안 지역과 내륙 지역에서도 출토되며, 일본 규슈[九州] 지역에서도 출토된다. 우리나라의 신석기 시대는 크게 다섯 단계, 즉 조기(早期), 전기(前期), 중기(中期), 후기(後期), 말기(末期)로 구분되고 있으며, 융기문 토기는 가장 이른 단계인 조기의 대표적인 토기이다. 부산 지역에서 융기문 토기가...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서구
  • 어린이 Child, 子供
    위하여 필요한 법정대리인의 성명 등 최소한의 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제31조 제1항)고 규정하고 있다. 만 6세부터 11세까지를 아동기라고 하는데, 그 전기(前期)에는 유아기의 특성이 남아 있고, 후기에는 청소년기의 전조(前兆)가 나타난다.아동기의 교육, 《글로벌 세계 대백과》 아동 전기(兒童前期)에는 아직도...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