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유방의 유선관내 유두종 Intraductal papilloma of breast
    발생합니다.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증상 유두종은 대부분 0.5cm 이하의 작은 크기로 발생하기 때문에, 자가 검진으로 발견하기는 어렵습니다. 종양이 유선을 막기도 하고, 혹 자체에서 분비물을 만들어서 유두로 배출되기도 합니다. 전체 환자의 60%에서는 유두를 자극하거나, 유두를 자극하지 않더라도 유두...
    분류 :
    유방내분비질환
    발생 부위 :
    유방
    증상 :
    유방의 멍울
    진료과 :
    외과
    관련 질환 :
    유방암, 유방통, 유방 농양, 유방의 엽상 종양, 유방 종양, 유방의 섬유선종, 유방의 미세석회화
    도서 질병백과 | 태그 질병
  • 유선통신 有線通信, wired communication
    공간을 매체로 하여 전자기파로 이루어지는 무선통신에 대응하는 말이다. 전신분야에서 시작된 유선통신의 기원은 1876년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이 발명한 자석식 전화기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이후 통신 케이블의 개발로 수용할 수 있는 회선 수가 대폭 증가했다. 그러나 구리의 지름이 나선에 비해 작고 구리...
  • 조동희 유선(有先), 趙同熙
    개설 본관은 양주(楊州)이고, 자는 유선(有先)이다. 영의정을 지낸 조두순(趙斗淳)의 손자로, 조병섭(趙秉燮)의 아들이며, 조병집(趙秉集)에게 입양되었다.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농상공부 대신에 이르렀다. 일제 강점 후 남작 작위를 받았다가 ‘가자 분산(家資分散)’의 이유로 조선귀족 예우 정지와 해제...
    시대 :
    근대/개항기, 근대/일제강점기
    출생 :
    1856년 8월 4일
    사망 :
    1934년 5월 26일
    경력 :
    농상공부 대신
    유형 :
    인물
    직업 :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
    성별 :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본관 :
    양주(楊州)
  • 유선 전신 有線電信, wire telegraphy
    세계의 발명가들은 전기를 의사 전달의 수단으로 사용하고자 노력했다. 1774년 영국인 리사지는 24개의 전선 끝에 금박 검전기를 접속하고 마찰 전기를 보내어 검전기의 금박을 개폐시킴으로써 통신을 시도했는데, 이것이 전기를 이용한 최초의 통신이었다. 1787년 로몬드가 부호의 관념을 도입했고, 1832년 실링이 5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기/전자
  • 유선 流線圖, flow line map
    화살표의 흐름이나 굵기로 정보나 물질의 이동 경로·방향·거리 등을 표시하는 지도이다. 화살표 방향은 물질이나 정보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고, 굵기는 이동하는 양을 나타낸다. 화살표의 이동 경로를 표시한 유선도가 있고, 화살표의 시발점과 종착점만을 연결한 유선도가 있다. 한국이나 세계의 물자 이동을 나타낼...
    도서 다음백과
  • 공거유선 公車類選
    내용 4책. 필사본. 1책은 전부류(銓部類 : 병조판서 23인의 37편)·문원류(文苑類 : 대제학 2인, 藝提 8인, 弘提 6인 등 총 22편)·규화류(奎華類 : 奎提 3인 3편) 등으로 되어 있고, 2책은 사일품가자소(辭一品加資疏 : 10인 12편)·진질류(晉秩類 : 崇政 10인 10편)·사정경가자소(辭正卿加資疏 : 19인 19편), 진질류...
    시대 :
    조선
    저작자 :
    미상
    창작/발표시기 :
    조선 후기
    성격 :
    역사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4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국조유선 國朝儒先錄
    5권 4책. 필사본. 서문은 이후백(李後白)이 썼다. 권1은 김굉필, 권2는 정여창, 권3은 조광조, 권4·5는 이언적편으로 이들의 글과 유사 등을 모은 것이다. 김굉필편은 〈경현록 景賢錄〉에서 뽑았으며, 정여창과 조광조는 견문을 수집하고 〈경연일기〉 등에서 뽑았다. 이언적편은 〈회재집 晦齋集〉에서 뽑았다. 당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의암유선생서행대략 毅庵柳先生西行大略
    내용 모필본. 기록은 1896년 4월 13일의 제천패전에서 시작되어 그 해 7월 17일 평안북도 초산까지의 행적을 적은 것으로 원용정(元容正)과 그 밖의 수행자들이 엮은 책이다. 관군대장 장기렴(張基濂)의 추격을 받으면서 유인석은 제천에서 단양-충주-음성-원주-영월-정선-인제-양구-회양-금성-평강-안변-양덕-영흥-맹산...
    시대 :
    근대
    저작자 :
    원용정 외
    창작/발표시기 :
    1896년 4월 13일 ∼ 7월 17일
    성격 :
    의병록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근대사
    소장/전승 :
    안수용(개인소장)
  • 종합유선방송국편성프로듀서
    수행직무 종합유선방송국(CATV SO:Cable Television System Operator,방송프로그램을 편성, 운영, 송출하기 위한 설비와 방송을 수신자에게 전송하는 전송 선로 설비로 구성되는 종합 유선 방송 시설을 갖추고 방송을 하는 사업체)에 소속되어 다양한 프로그램 공급업자(PP:Program Provider, 바둑채널, 증권채널, 영화...
    교육수준 :
    14년 초과 ~ 16년 이하(대졸 정도)
    숙련기간 :
    4년 초과 ~ 10년 이하
    작업강도 :
    가벼운 작업
    작업장소 :
    실내
    직무기능(자료) :
    조정
    직무기능(사람) :
    협의
    직무기능(사물) :
    관련없음
    고용직업분류 :
    [4161]감독 및 기술감독
    표준직업분류 :
    [2831]감독 및 기술 감독
    표준산업분류 :
    [J591]영화, 비디오물, 방송프로그램 제작 및 배급업
    조사연도 :
    2012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태그 직업
  • 유선방송 有線放送, cable broadcasting
    유선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등을 전송하는 방송 시스템. 법률상 정의는 '유선 전기통신 시설을 이용하여 음성·음향 또는 영상(문자 및 정지화면 포함)을 공중에게 전파하기 위해 송신하는 것'이다. 기존 방송이 무선, 즉 전파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데 비해 유선방송은 유선을 이용한다는 뜻이다. 유선방송...
    도서 광고사전 | 태그 광고
  • 유선은 무엇인가?
    유선은 유체 속을 운동하는 물체나 정지해 있는 물체 주변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선이다. 공기 속에 얇은 연기 막을 넣으면 유선을 볼 수 있다. 유선은 비행기 날개나 자동차의 풍동 실험에 이용된다. 풍동은 밀폐된 방으로 연기를 포함한 공기를 앞에서 뒤로 흐르게 하여 물체 주변에서의 유선을 볼 수...
  • 종합 유선 방송국 CATV SO, 綜合有線放送局
    방송 프로그램을 편성, 운영, 송출하기 위한 설비와 방송을 수신자에게 전송하는 전송 선로 설비로 구성되는 종합 유선 방송 시설을 갖추고 방송을 하는 사업체. 그러나 종합 유선 방송법에서는 종합 유선 방송국이 전송 선로 설비를 설치, 유지, 보수하는 전송망 사업을 원칙적으로 겸영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5건

유선(stream line)
유선 텔레비전
성호사설유선
유선 텔레비전
성호사설유선
공거유선
공거유선
공거유선
공거유선
공거유선
공거유선
공거유선
국조유선록
해동유선록
해동유선록
국조유선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