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구리선이나 광섬유 등을 매체로 하여 전기신호나 광신호 등을 전달해서 이루어지는 통신.
공간을 매체로 하여 전자기파로 이루어지는 무선통신에 대응하는 말이다.
전신분야에서 시작된 유선통신의 기원은 1876년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이 발명한 자석식 전화기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이후 통신 케이블의 개발로 수용할 수 있는 회선 수가 대폭 증가했다. 그러나 구리의 지름이 나선에 비해 작고 구리끼리 접근해 있으므로 통신전류의 감쇠가 크다는 결점이 있었다. 그후 장하 코일 방식 유선통신으로 결점이 보완되는 한편, 코일 대신 증폭기를 사용해 보다 넓은 주파수대역의 신호가 전송 가능한 다중화반송 기술이 개발되었다.
1929년에는 미국에서 대용량화를 이룰 수 있는 동축 케이블 방식이 제안되었다. 또 1937년 영국에서 발명된 펄스 부호 변조방식은 근래 반도체의 발달과 함께 고품질의 신호를 전달할 수 있어 중계회선의 주류가 되어 있다. 그러나 광섬유 케이블의 실용화로 동축 케이블은 광섬유 케이블로 바뀌는 추세에 있다.→ 원격통신 시스템, 전신기, 전화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태그 더 보기
컴퓨터/정보통신
컴퓨터/정보통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