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장진군의 자연환경
    1월평균기온 -18℃ 내외, 8월평균기온 17.4℃ 내외, 연평균강수량 750㎜ 정도이다. 산림은 군면적의 90%로서 임산자원이 풍부하다. 자작나무·사시나무·분비나무·잎갈나무·가문비나무 등이 자라며, 당귀·오미자·만삼·고비 등이 풍부하다. 곰·멧돼지·사슴·노루·오소리·꿩 등의 야생동물들도 서식하고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두류산 頭流山
    나무를 주종으로 하고 피나무·고로쇠나무·물푸레나무·사시나무·자작나무 등 20여 종의 활엽수가 자라는 활엽수림이, 1,000m 이상의 지역에서는 분비나무...고욤나무군락이 있다. 이 밖에 돌배, 머루, 다래, 만삼, 당귀, 오미자 등 산중부원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형성 및 변천 두류산의 기반암은 편암 및 화강암...
    성격 :
    유형 :
    지명
    면적 :
    높이 1,323m
    소재지 :
    평안남도 양덕군 구룡리, 강원도 천내군 동흥리, 강원도 법동군 용포리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자강도의 자연환경
    분포한다. 침엽수와 활엽수의 비율은 3:7로서 주요수종은 소나무·잣나무·분비나무·가문비나무·잎갈나무·젓나무와 신갈나무·피나무·가래나무·고로쇠나무·사스래나무·물푸레나무·봇나무·황철나무·박달나무·단풍나무 등이다. 그밖에 돌부채·왕대황 같은 희귀한 식물과 머루·다래·오미자·황기·두릅 등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북한
  • 평안남도 자연환경
    내리고 대흥군에서는 5월 20일경이다. 산림은 도면적의 약 60%이며, 주요수종은 소나무·참나무·사스래나무·자귀나무·분비나무·잎갈나무 등이다. 그밖에 잣나무·가래나무·개암나무와 같은 유실수와 오미자·삼지구엽초 등의 약초들이 있다. 노루·멧돼지·산양·산토끼·너구리 등 30여 종의 포유동물이 서식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고풍군 古豊郡
    마감서리는 5월 14일경에 내린다. 산림은 군 면적의 89.4%를 차지하며, 주요 수종은 소나무 · 잣나무 · 이깔나무 · 분비나무 · 가문비나무 · 전나무 · 누운측백나무 · 피나무 · 사스레나무 · 자작나무 등이다. 산에는 도토리 · 머루 · 다래 · 고사리 · 오미자 · 만삼 · 삽주 등이 풍부하며, 곰 · 노루...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 사수산 泗水山
    검산령(劍山嶺, 1,214m)을 통하여 함경남도 정평군 고산면과 평안남도 영원군 금성면 간에 동서교통이 이루어진다.잎갈나무·분비나무·가문비나무 등의 침엽수와 참나무·황철나무·자작나무· 사시나무 등의 활엽수가 자란다. 참나물·산삼·당귀·오미자와 같은 자생식물은 공업원료로 쓰인다. 사수산 일대는 동물...
    성격 :
    유형 :
    지명
    면적 :
    높이 1,747m
    소재지 :
    함경남도 정평군 고산면, 함경남도 영흥군 선흥면, 평안남도 영원군 금성면
    분야 :
    지리/자연지리
  • 황해북도의 자연환경
    등의 아열대식물까지 자라며, 검팽나무·피뿌리꽃·솔인진·백리향·황목련 등 우리나라 특유 식물이 분포한다. 그밖에 잣나무·젓나무·피나무·밤나무 등과 머루·다래·오미자·고사리·두릅 등의 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산림지대는 830여 종(種)의 동물이 서식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동물은 범·멧돼지·노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흑오미자
    냄새가 나며 마디에 짧은가지가 발달하고 오래된 덩굴의 나무껍질은 콜크질이 발달한다. 생육환경 • 제주도의 해발 600-1,400m의 숲속에서 다른 나무를 감아...대용으로 한다. • 가지를 잘라 목욕탕에 넣기도 한다. • 과실을 五味子(오미자)라 하며 약용한다. ①10월 하순 또는 그 이후에 과실이 완전히 성숙하였을...
    분류 :
    목련목 > 오미자과 > 오미자속
    꽃색 :
    노란색, 백색
    학명 :
    Schisandra repanda (Siebold & Zucc.) Radlk.
    개화기 :
    6월, 5월
  • 대흥산 大興山
    기반암은 화강편마암이며, 동쪽은 완사면, 서쪽은 급사면이다. 북사면에서는 양거수리강이 흐르면서 계곡을 이루고 있다. 가문비나무·분비나무·사철나무 등 수림이 울창하며, 오미자·고사리 등의 약초와 산나물이 많다. 고산지대에서는 초본식물이 자라는 특이한 경관이 나타나며, 곰·사향노루 등이 서식하고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효석문학의숲
    속 도서관, 쉼터 등이 조성되어 있다. 소설 문장을 새긴 바위를 띄엄띄엄 배치, 글을 읽으며 자연스레 작품 속 배경을 둘러볼 수 있다. 산책로를 따라 나무가 우거지고 다양한 야생화가 자생하여 작가가 유년기를 보낸 봉평의 아름다운 자연을 느낄 수 있다. 자작나무 전망대, 오미자터널 등 사진 찍기 좋은 포인트도...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봉평면 문학숲길 97
  • 냄새 및 맛에서 비롯된 식물 이름
    백 리 밖까지 퍼진다고 해서 ㆍ 생강나무 : 잎이나 가지를 꺾으면 생강 냄새가 나서 ㆍ 서향(瑞香) : 상서로운 향기가 나서 ㆍ 소태나무 : 지독히 쓴맛인 소태 맛이 나서 ㆍ 오미자(五味子) : 익은 열매에 신맛·단맛·쓴맛·짠맛·매운맛의 다섯 가지 맛이 섞여 있다는 의미로 ㆍ 정향(丁香)나무 : 꽃 향기를 약재로...
    도서 익생양술대전 | 태그 식물
  • 북수산 北水山
    호반까지 온 국도가 남쪽의 합포령(合浦嶺, 1,858m)과 남수치(南水峙, 1,975m)를 통하여 풍산으로 연결된다. 산에는 잎갈나무,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등 침엽수와 자작나무, 사스래나무, 황철나무 등 활엽수 외에도 좀참꽃, 만병초, 눈잣나무 등 고산식물, 들쭉, 산딸기, 만삼, 오미자 등 임산물, 멧돼지, 곰, 승냥이...
    성격 :
    유형 :
    지명
    면적 :
    높이 2,347m
    소재지 :
    함경남도 풍산군 웅이면, 함경남도 신흥군 동상면
    분야 :
    지리/자연지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6건

오미자나무
오미자나무 열매
오미자나무(magnolia vine)
오미자 생것
오미자 열매
오미자나무(magnolia vin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