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죽계지 竹溪誌
    있다. 주세붕의 서문에서는 회헌사와 백운동서원의 건립 경위, 이 책의 편찬 경위를 밝혔다. 「죽계안씨행록」은 안향의 후손인 안석(安碩)·안축·안보·안집(安輯) 등에 관한 기록을 모은 것이다. 「존현록」은 주희가 지은 백록동서원에 관한 글, 주돈이(周敦頤)·정호(程顥)·정이(程頤)에 대한 사기(祠記) 등으로...
    시대 :
    조선
    저작자 :
    주세붕(周世鵬)
    창작/발표시기 :
    1803년(순조 3, 초간), 1824년(순조 24, 중간)
    성격 :
    역사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3권 1책
    간행/발행 :
    안시중, 안정진(1803), 안병렬(1824)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장서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 윤만헌 사장(士章), 尹晩憲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이듬해 주서로 문신전강(文臣殿講)에 1등을 하여 숙마(熟馬)를 하사받았다. 1763년 세자시강원보덕에 이어 수찬·관동안집어사(關東安集御史)가 되어 지방관의 불법과 민폐의 제거를 주청하였다. 그 뒤 보덕·수찬·집의·부응교 등을 역임하고, 1767년 동부승지에 특진하였고, 이어 승지에...
    시대 :
    조선
    출생 :
    1725년(영조 1)
    사망 :
    1766년(영조 42)
    경력 :
    세자시강원보덕, 수찬, 관동안집어사, 동부승지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파평(坡平, 지금의 경기도 파주)
  • 안정선 원장(元長), 安廷善
    개설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원장(元長). 공조판서 안집(安集)의 손자이며, 안성석(安聖奭)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89년(정조 13)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92년 초계문신(抄啓文臣)으로 뽑혀 친시(親試)에 응함으로써 6품에 올랐다. 그 해 사간원정언을 지내고, 1800년(순조 즉위년)에는 홍문록...
    시대 :
    조선
    출생 :
    1766년(영조 42)
    사망 :
    미상
    경력 :
    사간원정언, 부수찬, 수찬, 대사간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순흥(順興,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
  • 유민 流民
    돌아다니다가 도적떼가 되거나, 농장 등에 숨어 국가의 통제를 벗어나면 사회불안이 야기되고 국가의 재정수입이 감소한다. 따라서 중세국가는 이들에 대한 안집(安集) 노력을 기울여야 했다. 유민발생의 원인은 다양한데, 자연적 요인으로 가장 큰 것은 흉년에 따른 기근이다. 그밖에 황충(黃蟲)·한발·홍수 등의 자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회
  • 의주민란 義州民亂
    금나라의 원수 우가하(亏哥下)의 군대를 끌어들였는데, 우가하가 그들을 죽인 뒤 목을 개경으로 보냄으로써 의주민란은 진압되었다. 그런데 의주의 유민을 안집하기 위하여 새로 파견된 관리가 탐학하여 다시 백성들을 괴롭히자, 유민들은 이에 대항하기 위해 외부의 반란군을 불러들여 봉기했다. 그러나 정부에서 보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별감 別監
    별감·왕지별감·왕지사용별감·산성별감·산성방호별감·농무별감·계점별감·쇄권별감·외산기은별감·내산기은별감·마장제고별감·염장별감·소복별감·안집별감·구급별감·각역응방심검별감·유지별감·계점공물별감·전수별감 등이 있다. 고려 후기에는 각 사(司)에서 자의적으로 별감 등의 사신을 만들어 파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왕강 王康
    를 역임하였다. 우왕(禑王) 때에 전리총랑(典理摠郎)을 거쳐 성균좨주(成均祭酒)로 옮겼다가 이어 서북면안무사(西北面安撫使)가 되어 유리인(流離人)들을 안집(安集)하였다. 1390년(공양왕 2) 판전농시사(判典農寺事)로서 양광·전라·경상도수군도체찰사(楊廣全羅慶尙道水軍都體察使) 겸 방어영전염철사(防禦營田鹽鐵...
    시대 :
    고려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이완 자완(子完), 李礻+ 完
    건의해 부담을 경감시켰다. 또 읍봉(邑俸)을 들어 백성들을 진휼하고 그 자제들을 선발해 학예를 권장하기 몇 년이 지나자, 흩어졌던 어민들이 다시 돌아와 안집하였다. 서울로 돌아와 예조·병조의 정랑과 정언을 거치면서 업적을 크게 쌓았다. 그 뒤 직강·지평이 되어서는 잘못을 바로잡으면서 법을 잘 지켜 사사로움...
    시대 :
    조선
    출생 :
    1604년(선조 37)
    사망 :
    1648년(인조 26)
    경력 :
    예조좌랑, 병조좌랑, 옥구현감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연안(延安, 지금의 황해도 연백)
  • 계정사 5도순방계정사(五道巡訪計定使), 計定使
    기준으로 다시 공부를 개정한 것은 1269년(원종 10)에 호구만을 기준으로 정한 공부 수취체계의 불완전함을 극복하여 국용(國用)을 넉넉히 하고 백성을 안집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이전과 비교할 때 공부가 균등하지 못하여 백성들이 곤란을 겪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런데 전민계정사(田民計定使), 순방계정사(巡訪...
    시대 :
    고려후기
    성격 :
    사신
    유형 :
    제도
    시행일 :
    1314년(충숙왕 원년)
    시행처 :
    고려 정부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한계미 공보(公甫), 韓繼美
    西原君)에 봉해졌다. 1461년 하삼도(下三道)의 부호(富戶)를 추쇄(推刷: 부역 또는 병역 기피자를 찾아냄.)해 평안도·황해도·강원도 등에 이주시켰다. 또한 안집도순찰사(安集都巡察使)가 되어 제방을 쌓고 진전(陳田)을 개간하는 등 북방 개척에 큰 공적을 세웠다. 1463년 자헌대부(資憲大夫)로서 이조판서가 되었다...
    시대 :
    조선
    출생 :
    1421년(세종 3)
    사망 :
    1471년(성종 2)
    경력 :
    오위도총부도총관, 좌찬성, 이조판서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청주(淸州)
  • 영총 營總
    武科規式)·서사신상보첩식(書師身喪報牒式)·보장식(報狀式) 등 서식을 적은 각항정식(各項定式), 상하관상견례(上下官相見禮)·영관찰사의(迎觀察使儀)·알안집사례(謁安集使禮)·알비국당상례(謁備局堂上禮)·여순무사상견례(與巡撫使相見禮)·여어사상견례(與御史相見禮) 등 관원들의 의례와 첩정아문(牒呈衙門)·통...
    시대 :
    조선
    창작/발표시기 :
    조선 후기
    성격 :
    군서, 군영업무기록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권 2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고려대학교 도서관
  • 균전사 均田使
    가운데는 공무를 빙자해 부정을 저지르기도 하였다. 그 대표적인 예로 1890년(고종 27) 말에 전라도 김제 · 고부 등 11개 읍에 진폐(陳廢) 전답개간과 농민 안집(安集)을 위해 균전사로 파견된 김창석(金昌錫)을 들 수 있다. 그는 이 지역 출신임을 이용, 이미 개간된 땅까지도 진전이라 하여 이를 다시 개간한 것처럼...
    시대 :
    조선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명현화상 중 안집 초상
안집 영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