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해학 Humour, ユーモア
    갑작스레 (無)로 돌아갈 때 웃음은 터진다"라는 말일 것이다. 앞에 지나가던 사람이 똑바로 걸어갈 것이란 예상이 갑작스레 없어질 때 웃음이 터지며, 자신이 대회에서 우승할 것이란 예상이 헛되게 돌아갈 때에도 웃음이 터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논리로 풀 수 있는 예는 몇가지 더 있으며, 그 예로 자신과 계속...
    도서 위키백과
  • 필라델피아 실험 Philadelphia Experiment, フィラデルフィア計画
    소설 《(Thin air)》를 출판한다. 작중에서(배경은 현대) 해군범죄조사청(Naval Investigative Service) 요원인 주인공은 전쟁 중에 벌어진 투명화 실험과...이 소설은 구축함 실험에 그치지 않고 각종 기이한 사건, 정부의 사실 은폐 시도, 나아가 아인슈타인이 수립했으나 유실됐다는 통일장 이론까지 다루었는데...
    도서 위키백과
  • 파르메니데스 (대화편) Parmenides (dialogue), パルメニデス (対話篇)
    부조리와 모순을 야기한다고 주장하는 다수의 당파에 맞서 파르메니데스 일원론을 옹호하는 그의 논문을 제논이 낭독하는 것이었다. 대화는 소크라테스의 고향 아테네에서 파르메니데스와 엘레아의 제논이 만난 것으로 추정되는 동안 설정된다. 이 대화는 소크라테스가 여기에서 겨우 19세이기 때문에 연대순으로 가장...
    도서 위키백과
  • 프로클로스 Proclus, プロクロス
    상호 모순으로 인한 생성의 원리(일자 → 정신 → 영혼 → 물질)와 이를 관통하는 인식으로서 변증법을 발달시킨 그는 제일 세련되고 발전된 신플라톤주의 체계 중 하나를 세웠다. 그는 철학의 고전 시대의 거의 끝자락에 활약했다. 그의 주석서는 이후 중세 사회의 철학 담론 형성에 일정 영향을 주었으나, 그가 가진...
    도서 위키백과
  • 설일체유부 Sarvastivada, 説一切有部
    모순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생기는데, 유부(有部)에서는 현재세(現在世)를 일찰나(一刹那)로 보고 법체(法體)는 항유(恒有)이지만 찰나멸(刹那滅)로서 미래에서 현재를 통과하여 과거에 낙사(落謝)한다고 설명한다. 여기서 유부(有部)의 설이 단순한 실재론(實在論)은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다. 즉 심리현상이...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