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안견기념관
    화가 안견을 기념하여 세웠다.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 영인본과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던 《사시팔경도(四時八景圖)》, 《소상팔경도(瀟湘八景圖)》, 《적벽도(赤壁圖)》 등 총 18점의 모사품이 전시되어있다. 안견(安堅)은 조선 초기의 화가로, 대표작으로 안평대군을 위해 그린 《몽유도원도》 등이 있다...
    도서 위키백과
  • 김선경 (1968년) 金宣敬
    H》, 《신장개업》 등에서 조연으로 출연했으며 뮤지컬 계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뮤지컬 《사운드 오브 뮤직》, 《미녀와 야수》, 《로마의 휴일》, 《몽유도원도》, 《파우스트》, 《루나틱》등을 통해 대중적인 스타로 발돋움했으나 《몽유도원도》 연습 도중 목 혈관이 터졌고 그 이후 한동안 뮤지컬계를 떠나야 했다...
    도서 위키백과
  • 안견 An Kyŏn, 安堅
    태어나 조선 세종과 문종 전후에 활약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도화서의 화원으로 정4품 호군(護軍)을 지냈다. 1447년(세종 29년) 안평대군을 위하여 《몽유도원도》를 그리고, 이듬해 《의장도》(儀丈圖)를 그렸다. 총명·정박(精博)하여 고화(古畵)를 보고 깊은 경지를 체득했으며, 여러 화가의 장점을 절충하여 웅혼한...
    도서 위키백과
  • 석철주 Seok Cheoljoo
    기법 위에 현대적 재료(아크릴 물감 등)와 현대적 기법을 한층 추가해 현대 동양화 방향에 한 획을 그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언제에는 신몽유도원도를 그려 안견의 몽유도원도를 성공적으로 재해석하고 재현하였다는 평을 받고 있다. 1970년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 입선 1970년 이후 국전에서 7회 입선 중앙미술대전...
    도서 위키백과
  • 도미 부부 설화 都弥
    후속 활동이 이어지지 않고 있다. 소설 박종화, 「아랑의 정조」 (1937년) - 원전에 기록이 없는 도미 부인의 이름을 「아랑」이라고 붙였다. 최인호, 「몽유도원도」 (1996년) - 여기서는 고구려에 간 뒤에도 자신의 미모 때문에 위험에 빠질 것을 두려워한 도미의 부인이 스스로 얼굴에 상처를 내어 훼손시킨다는...
    도서 위키백과
  • 김도형 (배우)
    로마의 휴일》 2001년 : 《시카고》 2001년 : 《애수의 소야곡》 2001년 : 《키 스미 케이트》 2001년 : 《럭키루비》 2002년 : 《캬바레》 2002년 : 《몽유도원도》 2002년 : 《갬블러》 2003년 : 《토요일밤의 열기》 2004년 : 《루나틱》 2005년 : 《넌센스잼보리》 2006년 : 《페이스오프》 2007년 : 《비애로...
    도서 위키백과
  • 함양아
    형용사적 삶 > 넌센스 팩토리 Adjective Life in the Nonsense Factory_아트선재센터 2004년 개인전-Dream ... In Life, 인사미술공간 2000년 개인전 몽유도원도 텍사스 아트 스페이스 1997년 개인전 뉴욕 워싱턴스퀘어 갤러리 1994년 개인전_나화랑 1996년 다이얼로그전, 뉴욕 한국문화원 1997년 디스미디어, 뉴욕 칸토...
    도서 위키백과
  • 현대불교문학상
    현대불교문학상은 현대불교문인협회가 주관하는 문학상이다. 2001년 6회 한승원 <사랑> 2002년 7회 김성동 <꿈> 2003년 8회 최인호 <몽유도원도> 조남현 <한국 현대문학사상 탐구> 2004년 9회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1> 이시영 <은빛 호각> 2005년 10회 문정희 <양귀비꽃 머리에 꽂고> 염무웅 <머리 위의 시간> 2007년...
    도서 위키백과
  • 인사동 스캔들 Insadong Scandal
    강화병풍이 도난당하면서 범인으로 몰려 도박장을 드나드는 신세다. 그러던 어느날 갤러리계의 큰 손인 배태진 회장이 찾아와 복원을 의뢰한다. 그것은 몽유도원도의 작가 안견이 자신의 꿈을 그린 벽안도였다! 이에 이강준은 복원과 함께 배태진을 낚기 위한 작전에 들어간다. 김래원 : 이강준 역 엄정화 : 배태진 역...
    도서 위키백과
  • 지곡면 (서산시)
    고려 충렬왕 10년 부성군을 서산군으로 개칭 지군사로 승격시켜 행정하였으나 1914년 대한제국 시대에 지곡면으로 격하된 후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몽유도원도로 유명한 안견 선생의 출생지로 그의 예술혼을 후세에 기리기 위한 《안견기념관》과 고운 최치원 선생의 위패가 봉안된 부성사, 충무공 정충신 장군의 영정...
    도서 위키백과
  • 도화서 Dohwaseo
    근무하였던 적이 있는 화가들을 화원 또는 화사라 하였다. 조선 초기의 유명한 화원으로는 안견이 있다. 안견은 세종때의 화원으로 산수화에 능했으며 몽유도원도, 소상팔경도 등의 그림을 남겼다. 조선 후기의 유명한 화원으로는 김홍도, 신윤복 등이 있다.서적 인용 도화서에 다모가 있었다는 기록은 없지만, 드라마...
    도서 위키백과
  • 덴리 대학 부속 덴리 도서관 Tenri Central Library, 天理大学附属天理図書館
    나라현 덴리시에 위치한 덴리 대학(天理大学)의 부속 도서관이다. 덴리 대학의 관계자에게 한정하지 않고 일반 이용자에게도 공개되고 있으며, 원칙상 15세 이상의 사람만이 이용이 가능하다. 장서는 약 200만권으로, 일본의 국보, 일본의 중요문화재, 중요미술품을 포함한 귀중서, 고전적을 다수 수장하고 있다 몽유도원도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6건

몽유도원도
'몽유도원도'
몽유도원도 / 안견
안견의 몽유도원도(부분)
〈몽유도원도〉
〈몽유도원도〉
몽유도원도 / 안견
안견, 〈몽유도원도〉
안견 '몽유도원도'
몽유도원도 찬시 / 서거정
몽유도원도 찬시 / 강석덕
몽유도원도(부분) / 안견
안견의 (1447년)
몽유도원도 발문 / 안평대군
몽유도원도 발문 / 안평대군
〈몽유도원도〉 안견, 1447년, 비단에 옅은 채색, 38.6x106cm, 일본 덴리대학교도서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