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료작물, 호밀 재배기술
    이중 많이 재배되는 품종으로 쿨그레이져, 바이타그레이즈, 탐 90 등은 조 ・ 중생종에 속하며, 단코 등은 만생종에 속한다. 답리작 재배에서는 수확 후 모내기를 고려하여야 하므로 만생종보다 생육이 빠른 조 ・ 중생종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답리작 재배에서는 수확 후 모내기를 고려하여야 하므로 만생종보다...
    도서 조사료 | 태그 식물 , 산업
  • 못자리 묘판, <일>なえとこ
    물을 깊게 대어 묘판의 온도를 높이는 것이 좋다. 밭못자리는 밭이나 논에 물을 대지 않고 모를 기르는 방식으로, 물이 충분하지 못한 논이나 전작으로 모내기가 늦어질 때 행한다. 남부지방의 이모작지대에서 주로 행해지던 방법이었으나 최근에는 실시되는 곳이 거의 없다. 절충못자리는 물못자리와 밭못자리를 절충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첫사랑을 기다리는 때, 소만
    만물이 점차 자라 가득 찬다는 뜻이 있습니다. 《농가월령가》에 "4월이라 초여름되니 입하, 소만 절기로다"라고 했지요. 소만 무렵에는 모내기 준비에 바빠집니다. 이른 모내기, 가을보리 먼저 베기, 여러 가지 밭작물 김매기가 줄을 잇습니다. 또 이때는 씀바귀 잎을 뜯어 나물을 해먹고, 냉이 나물은 없어지고 보리...
  • 하지 夏至
    해 가운데 가을걷이 때와 더불어 가장 바쁠 때지요. 메밀씨 뿌리기, 누에치기, 감자 거두어들이기, 고추밭 매기, 마늘 거두기와 말리기, 보리 거두기와 타작, 모내기, 그루갈이용 늦콩 심기, 대마 거두기, 병충해 막기 따위가 이 무렵 해야 할 일입니다. 특히 하지가 지나면 모심기가 늦어지기 때문에 서둘러 모내기를...
  • 동해 보역새놀이 동해보역사놀이, 東海 洑役事놀이
    1985년 제3회, 1994년 제12회 강원도민속예술경연대회에 참가하였다. 놀이방법 놀이방법은 4개의 과장에 따라 진행된다. 제1과장은 두 마을 주민들의 입장과 모내기의 곤란한 상황을 그려낸다. 먼저, 윗마을과 아랫마을의 농민 두 팀으로 나누어서 농기를 앞세우고 입장한다. 그리고는 아랫마을 사람들이 물이 없어...
    시대 :
    현대
    유형 :
    놀이
    분야 :
    생활/민속·인류
  • 농어업인의 날 農漁業人─
    백일장, 여성농업인 심포지움, 음악회 등 각종 행사를 진행한다. ‘농업인의 날’이 제정되기 전까지 ‘권농의 날’이 시행되었는데, 주로 모내기 일손돕기를 지원해 왔다. 모내기 일손돕기에는 일손이 부족한 농가와 도시 및 시·군·읍·면소재지에서 원거리에 있는 농촌지역을 선정하여, 공무원 및 산하단체의 임직원...
    시대 :
    현대
    성격 :
    기념일
    유형 :
    제도
    시행일 :
    1996년 5월 30일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모기르기 및 이앙준비
    저온에 의한 냉해우려 시 일시적으로 모 키의 2/3 정도 물대주기를 한다. ③ 고온이 지속될 경우에는 양쪽 머리면을 트거나 ― 자 찢기로 통풍하여 준다. ④ 모내기 5~7일 전에 못자리 물 떼기를 실시한다. 모기르기(육묘)상자에 습기가 많을 경우 매트가 흐트러지고 탑재판에서 밑 부분으로 눌려 포기당 모수 증가 원인...
    도서 기계화영농 | 태그 산업
  • 수영 농청놀이 水營 農廳놀이
    노래:모찌기와 같이 주로 내방청원이 담당한다. 3∼4음절 4구 1행이 앞뒤로 이어진다. (선) “이논에다 모를심아 ……” (후) “우리부모 산소등에 ……” 모내기소리는 아침 · 중참 · 점심 · 후참 · 석양 등에 따라 가사와 가락이 달라진다. ③ 김매기노래:논김을 매는 남자들의 소리이다. 북을 세 번 울리면...
    유형 :
    놀이
    분야 :
    생활/민속·인류
  • 이앙기 정의와 분류
    가. 이앙기 정의 이앙기는 벼 재배에서 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 중의 하나인 모내기를 기계화하기 위하여 상자에 기른 모(육묘)를 모내기하는 기계로서 작업성능이 매우 높다. 이앙기는 1960년대 중반에 일본에서 실용화되기 시작하여 처음에는 관행모(못자리모) 이앙기가 이용되었으나 나중에 여러 가지의...
    도서 기계화영농 | 태그 산업 , 기계
  • 못자리
    이식이 늦어지는 경우에 알맞은 방법이다. 따라서, 온난지의 이모작지대에서 흔히 실시되는 방법이다. 밭못자리에서 육묘한 모는 키가 작으나 튼튼하고 모내기한 뒤 식상(植傷)이 적어서 뿌리가 잘 내린다. 우리나라에서 밭못자리는 남부지방의 이모작지대나 천수답과 같이 늦게 모내기가 되는 곳에서 실시되었는데 현재...
    유형 :
    개념
    분야 :
    경제·산업/산업
  • 농작업위탁 農作業委託
    그리고 전반적으로 노동력이 부족해지면서 1970년대에 빈농이나 비농가 또는 부녀자들을 중심으로 자기 마을의 농가나 다른 마을 농가의 작업을 해주었던 모내기 공동작업반도 농작업수위탁의 형태이다. 특징은 작업과정에 대한 통괄을 경영주(작업을 맡긴 사람)가 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을 맡은 사람(작업조)이 하는 것...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친경 親耕
    예행연습과 같은 습의(習儀) 절차가 있었다. 이 친경의식은 순종이 마지막 행사를 하고 일제강점기에 들면서 폐지되었다. 8·15광복 후에는 권농일(勸農日)을 제정, 고위공직자가 관민합동으로 모내기를 함으로써 대신해오다가 제3공화국 때부터는 대통령이 직접 참여하는 관민합동의 모내기행사로 이어지고 있다. 참고문헌
    시대 :
    고려, 조선
    성격 :
    국가의식, 권농의식
    유형 :
    의식행사
    행사시기 :
    선농제(先農祭) 후
    장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용두동 138
    분야 :
    경제·산업/산업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3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