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시각 특수효과 VFX, Visual Effects영화 제작에 VFX 기여가 크다는 의미다. 디지털 캐릭터부터 라이팅, 합성, 애니메이션 등 VFX 작업을 통해 초기 기획 단계부터 최종 장면 구현까지 제작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VFX는 단순 특수효과 지원을 넘어 버추얼 프로덕션과 버추얼 휴먼(virtual human) 등 메타버스로 활용 영역과 사업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
디지털 트윈 digital twin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가 디지털 ・ 가상 제품에 반영되어야 한다. 디지털 트윈은 독립된 가상세계의 운영에 중점을 두는 메타버스와 달리 사물 인터넷(IoT), 센서, 초고속 통신 등의 기술을 결합해 현실의 상태를 가상의 모델에 실시간으로 반영하고 쌍둥이와 같이 동작시키는 데 중점을...
-
메디컬 트윈 medical twin트윈 기술개발’ 사업자를 선정하는 등 국내에서도 메디컬 트윈 기술 상용화를 위한 연구개발(R&D)이 이뤄지고 있다. 또 의료 인공지능(AI) 솔루션 기업 메디컬아이피가 이르면 2023년에 디지털 트윈 기반 의료 메타버스를 상용화하기 위한 기술 개발을 본격화하는 등 의료 현장에서 메디컬 트윈 활용도 가시화되고 있다...
-
3차원 렌더링 3D rendering처리(shading)는 2차원의 좌표로 표시된 3차원 입체 물체를 입체적으로 보이도록 색을 입히는 과정이다. 3차원 렌더링은 건축설계, 비디오 게임, 시뮬레이션, 영화, 광고, 드라마에 사용되는 특수 효과, 시각화(visualization), 증강 현실(AR), 가상 현실(VR), 메타버스(Metaverse) 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영역에 사용...
-
디지털 정보격차 digital divide국가정보화기본법」으로 통합되고, 2020년에 「지능정보화기본법」으로 전면 개정됐다. 2021년부터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메타버스 등 신기술이 사회 전반으로 확산하면서 디지털 정보격차가 불편을 넘어 불평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디지털 포용법 제정이 추진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
-
디지털 휴먼 digital human컴퓨터 그래픽스(CG : Computer Graphics) 기술을 활용하여 실제 인간과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극사실 형태로 구현된다. 메타버스(Metaverse)가 화두로 떠오르면서 디지털 휴먼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활용 분야는 엔터테인먼트, 유통, 금융, 교육, 방송 등이다. 국내 시장에는 LG전자 김래아, 삼성전자 네온(Neon...
-
선거연수원 選擧硏修院온 · 오프라인 맞춤형 교육 · 연수를 추진해 선거 · 정치 참여 활성화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특히 피선거권 · 정당 가입 연령 하향에 따라 새내기 유권자 등 청소년 선거 교육을 강화하였고, 메타버스(metaverse)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 등 민주 시민 교육의 소통 · 공감의 장 마련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단체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