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ICT 시사
상식 202
3

디지털 정보격차

다른 표기 언어 digital divide

요약 경제, 지역, 연령, 신체 여건 등으로 디지털 기기나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계층과 그렇지 못한 디지털 소외계층 사이에 생기는 불균형 현상

디지털 정보격차는 정보통신기술(ICT)이 발전할수록 심화하고 있다.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부터 스마트폰 ・ PC 등의 기기를 비롯하여 동영상 등 콘텐츠, 쇼핑 ・ 금융 등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회 격차가 발생한다.

한국은 디지털 정보격차 문제 해소를 위해 「정보격차해소에 관한 법률」을 2001년에 제정했다. 이후 이 법률은 2009년에 「국가정보화기본법」으로 통합되고, 2020년에 「지능정보화기본법」으로 전면 개정됐다. 2021년부터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메타버스 등 신기술이 사회 전반으로 확산하면서 디지털 정보격차가 불편을 넘어 불평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디지털 포용법 제정이 추진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를 통해 일반 국민 대비 저소득층 ・ 장애인 ・ 농어민 ・ 고령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의 디지털 접근 및 이용 수준을 측정 한다. 2021년 기준 일반 국민 대비 디지털 취약계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75.4%로 나타났다. 2020년에 집계된 72.7% 대비 2.7퍼센트포인트(%p) 개선됐다. 접근 부문은 94.4%(0.7%p↑), 역량 부문은 63.8%(3.5%p↑), 활용 부문은 77.6%(2.8%p↑)로 모두 2020년 대비 상승했다. 저소득층은 95.4%(0.3%p↑), 장애인은 81.7%(0.4%p↑), 농어민은 78.1%(0.8%p↑), 고령층(55세 이상)은 69.1%(0.5%p↑) 등 모든 계층에서도 2020년에 비해 소폭 향상됐다.

일부 개선된 수치지만 여전히 컴퓨터 ・ 모바일 접근성과 인터넷 이용 역량 등에서 격차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코로나19 장기화로 비대면화가 지속되면서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역량 강화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격차가 여전히 존재하는 만큼 이를 실질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과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집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 본 자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정보통신진흥기금으로 시행한 정보통신방송표준 개발지원사업의 일환으로 발간된 자료로 무단 복제를 금하며, 내용을 인용할 시에는 반드시 정보통신방송표준 개발지원사업의 결과임을 밝히고 사용해야 합니다.

출처

ICT 시사상식 2023
ICT 시사상식 2023 전체항목 도서 소개

《최신 ICT 시사상식 2023》은 복잡한 ICT 용어개념을 쉽게 설명하고, 다양하게 사용되는 의미의 기준을 정립하고자 했습니다. 최근 2년간 언론과 산업계, 일상생활..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컴퓨터/정보통신

컴퓨터/정보통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디지털 정보격차ICT 시사상식 2023,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