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도미 머리 어두일미의 기원사실 우리나라도 도미를 고급 어종으로 치지만 일본에서는 도미를 ‘생선의 제왕’이라고 했다. 맛도 맛이고 생긴 것도 준수하기 때문인데, 사실 생선은 머리가 제일 맛있다는 어두일미(魚頭一味)라는 말도 도미에서 비롯됐다. 모든 생선이 다 머리가 맛있는 것은 아니지만 조상님들이 하나같이 도미만큼은 머리가 가장...
- 분류 :
- 어패류
-
카라바조, 〈세례 요한의 머리를 받는 살로메〉 Salome receives th..끝에 그의 재능을 안타까워한 로마에서 사면을 논하던 중 성급하게 로마로 향하다 병에 걸려 객사하는데, 그때 그의 나이 서른일곱이었다. 〈세례 요한의 머리를 받는 살로메〉은 세례자 요한의 어처구니없는 죽음을 주제로 한 작품이다. 의로운 세례자 요한은 형을 죽이고 형수를 취한 뒤 왕위에 오른 헤롯을 비난...
- 저작자 :
- 카라바조(Caravaggio, 1571?~1610)
- 제작시기 :
- 1609~1610년
-
검은머리쑥새 Reed Bunting행동 갈대밭, 습지, 풀밭에 서식한다. 갈대 줄기에서 줄기로 이동하면서 부리로 줄기를 벗겨 애벌레 유충을 잡거나 갈대 씨앗을 먹는다. 특징 부리가 북방검은머리쑥새보다 두툼하고 크며, 윗부리와 아랫부리의 색 차이가 크지 않다. 작은날개덮깃은 적갈색, 허리와 위꼬리덮깃은 회갈색이다. 수컷 여름깃 흰색 뺨밑선을...
- 분류 :
- 멧새과(Emberizidae)
- 서식지 :
- 유럽 전역에서 동쪽으로 오호츠크해 연안, 아무르, 캄차카, 사할린, 쿠릴열도, 북해도에서 번식하고, 아프리카 북부, 서남아시아, 중국 남부, 한국, 일본에서 월동한다.
- 크기 :
- L16cm
- 학명 :
- Emberiza schoeniclus Common Reed Bunting
-
흰머리수리 bald eagle개요 북아메리카 대륙에만 서식하는 독수리 종류 중의 하나. 학명은 ‘Haliaeetus leucocephalus’이다. ‘흰머리수리’라고도 불린다. 1782년 미국 의회에서 미국을 상징하는 국조(國鳥)로 지정된 후 각 공공기관에서 국가의 상징물로 사용되고 있다. 아메리카인디언들은 흰머리독수리의 하얀 털을 정장과 머리를 장식...
- 분류 :
- 척추동물 > 조강 > 매목 > 매과
- 원산지 :
- 북아메리카
- 서식지 :
- 강상의 섬
- 먹이 :
- 연어
- 크기 :
- 약 71cm ~ 96cm
- 무게 :
- 약 3kg ~ 6kg
- 학명 :
- Haliaeetus leucocephalus
- 식성 :
- 육식
- 임신기간 :
- 약 35~42일
- 멸종위기등급 :
- 낮은위기
-
북방검은머리쑥새 Pallas's Reed Bunting분홍색, 작은날개덮깃은 청회색(성조) 또는 회갈색(암컷, 1회 겨울깃 개체), 허리는 회백색이다. 수컷 여름깃 흰색 뺨밑선을 제외하고 머리는 전체가 검은색이다. 수컷 겨울깃 머리는 흐린 갈색에 검은색 깃이 스며있다. 눈 뒤 뺨은 갈색 바탕에 검은색 깃이 약간 있다. 멱에 불명확한 검은 반점이 약하게 있다. 옆구리...
- 분류 :
- 멧새과(Emberizidae)
- 서식지 :
- 북쪽 번식지는 우랄산맥 동쪽에서 추코트반도까지, 남쪽은 카자흐스탄 동쪽에서 몽골, 바이칼호 일대에서 번식한다. 중국 동부, 한국, 일본에서 월동한다.
- 크기 :
- L14.5~15cm
- 학명 :
- Emberiza pallasi Pallas's Reed Bunting
-
검은머리촉새 yellow-breasted bunting발견된다. 이동과 월동을 할 때 습지나 논에서 무리가 한 데 모이는 습성을 이용해 중국에서 이 새를 그물로 남획하여 개체가 줄어들고 있다. 중국에서는 검은머리촉새를 참새로 간주하고 식용으로 판매하는데, 발기부전, 해독, 권태감 치료에 참새가 좋다는 중국의 식습관 때문에 대량으로 남획되는 상황이다. 중국...
- 분류 :
- 척삭동물문 > 조강 > 참새목 > 멧새과 > 멧새속
- 서식지 :
- 초원 풀밭, 관목숲속
- 먹이 :
- 곤충, 열매, 곡물
- 크기 :
- 몸 길이 15cm
- 학명 :
- Emberiza aureola
- 멸종위기등급 :
-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
- 국내분포 :
- 한반도 전역
- 분포지역 :
- 캄차카 반도, 오호츠크해 연안, 아무르지역, 샨타르 섬, 만주, 사할린, 쿠릴열도, 일본, 한국, 중국
-
골격과 근육, 머리 부분의 골격과 근육 뇌를 보호하고 얼굴의 표정을 만드는머리 부분과 얼굴 골격 두개(머리뼈)는 15종 23개의 뼈로 조합되어 있다. 뇌가 들어 있는 부분을 두개골이라고 하고 얼굴을 구성하는 부분을 얼굴뼈라고 한다. 두개골은 전두골, 후두골, 접형골, 사골, 측두골, 정두골로 이루어져 있다. 안면두개는 비골, 협골, 상악골, 하악골, 설골, 구개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참고 :
- 몸속에서 가장 작은 근육은 내이 안에 있는 등자뼈 근육이다. 이 근육은 고막장근과 함께 귀의 감도를 조절한다.
-
머리 겔 만 겔 만, Murray Gell-Mann어려서부터 신동으로 불렸고, 성장과정에서도 뛰어난 천재성을 드러내보였던 겔 만은 은퇴 후에도 여러 분야에 대한 지적 열망을 그치지 않았다. 그의 전기로 <낯선 아름다움, 머리 겔 만과 20세기 물리학의 혁명(Strange Beauty: Murray Gell-Mann and the Revolution in Twentieth-Century Physics)>(1999)가 있다...
- 출생 :
- 1929. 9. 15, 미국 뉴욕 시
- 사망 :
- 2019. 5. 24, 미국 뉴멕시코 주 샌타페이
- 국적 :
- 미국
-
제주 칠머리당굿 濟州 칠머리堂굿위함과 아울러 영등신을 더 소중히 위하는 굿을 하게 된 것이다. 그래서 그 제명도 영등환영제 · 영등송별제로 이름붙이게 되었다. 칠머리당은 본래 칠머리(건입동의 속칭)라는 곳에 있었는데, 시가지 확장으로 지금은 사라봉(沙羅峰) 기슭에 옮겨져 있다. 제일(祭日) 아침이 되면 선주회장과 동장이 차린 제물을 당...
- 유형 :
- 의례·행사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
‘머리 속의 지우개’ 쓱삭 쓱삭수진 : “나한테 잘해줄 필요 없어 나 다 까먹을꺼야.” 철수 : “걱정마! 내가 대신 다 기억해줄께.” 영화 ‘내 머리 속의 지우개’ 에 나오는 명대사다. 정우성과 손예진이 주연한 이 영화에서 알츠하이머병에 걸려 점점 기억을 잃어가는 ‘수진’역의 손예진이 사랑의 추억 조차 지워지는 안타까움을 표현하자...
-
붉은머리오목눈이 덤불 속 소란스런 수다쟁이주로 육지에서 관찰되며, 멀리 떨어진 도서지역에서는 관찰하기 어렵다. • 뻐꾸기가 탁란하는 숙주새로 국내에 찾아오는 뻐꾸기의 대부분이 붉은머리오목눈이 둥지에 탁란을 한다. 번식정보 • 농촌의 농가 관목, 나무울타리, 풀숲, 관목림 속, 지면으로부터 약 1m 높이에 둥지를 만든다. • 마른풀, 섬유, 풀뿌리 등을...
- 분류 :
- 참새목>붉은머리오목눈이과
- 서식지 :
- 관목, 갈대밭 또는 풀숲
- 먹이 :
- 곤충류, 소형 거미류, 풀씨 등
- 크기 :
- 약 13cm
- 학명 :
- Paradoxornis webbian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