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금성으로 보낸 마젤란 미션은 무엇인가?이 우주선은 우주 왕복선 아틀란티스에서 발사된 최초의 과학 우주선이었다. 우주선은 1990년 8월 10일 금성에 도착했다. 마젤란에는 정교한 도플러 레이더 지도 작성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었는데, 천문학자들은 고도 측정술(altimetry)과 복사 측정술(radiometry) 자료를 이용해 행성을 측정하여 전례 없이 높은 정밀...
-
방호용 레이더 기술 防護用radar技術, Defense RADAR Techn..적으로부터 발사되는 대전차 유도탄과 로켓탄의 탄체를 능동적으로 탐지할 수 있는 레이더 개발 기술. 하부 기술로는 표적별로 특정의 신호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고속 표적 탐지 도플러 신호 처리 기술, 위협의 방향과 속도를 처리할 수 있는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위협 분석 알고리즘 설계 기술, 지상에서 반사되는...
- 분야 :
- 기동
-
라지트 지상 감시 레이더 RASIT, RASIT地上監視radar전파를 발사하여 전파가 물체에 부딪쳐 되돌아오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표적이 화면에 점으로 표시되고 물체의 특성을 음향으로 구분(시속 3.5㎞ 이상 시 식별 가능)하는 전천후 지상 이동 물체 감시 레이더. 탐지 능력 거리는 병력은 14~18㎞, 차량은 25~30㎞이다. 1, 3군사 예하 정보 중대가 2~3대 운용한다.
- 분야 :
- 감시 ・ 정찰
-
온도는 어떻게 잴까?수증기량과 같다는 뜻으로 비가 올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름이 만들어지고 있어 상대습도 100%가 되기도 한다. 지상 가까이에서의 상대습도가 훨씬 낮으면 지상에는 비가 오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지상에 아무것도 내리지 않는 지역임에도 종종 도플러 레이더에 비나 눈이 오는 것으로 나타나는 이유이기도...
-
베네라 프로그램의 역사는 어떻게 되나?현상이 나타나는지를 조사했다. 베네라 15호와 16호는 1983년 10월 금성에 도착했다. 이 우주선들은 표면으로 탐사선을 떨어뜨리는 대신 궤도에 머물며 도플러 레이더 시스템을 이용해 표면에 대한 세부 지도를 작성했다. 이들은 1년간에 걸쳐 북반구의 넓은 지역의 지도를 완성했는데, 여기에는 오래전에 활화산이었던...
-
-
클러터 간 검출능력 inter clutter visibility레이다 용어. 레이다에 관하여, 강한 클러터를 생기게 하는 두 점 간에 낀 분해능 셀에서 발생한 이동물표를 검지하는 능력. 통례. 이동물표 지시장치 또는 펄스 도플러레이다에 적용된다. 레이다의 거리 또는 각도분해 능력이 많은 만큼, 강한 클러터를 만드는 셀의 수가 상대적으로 저하되기 때문이다.
-
호밍 유도 homing guidance적외선이나 도플러 등 정보를 획득해 미사일이 자체적으로 비행경로를 조금씩 수정해서 오차율을 줄인다. 호밍 유도 방식은 수동(passive), 반능동(semi-active), 능동(active)으로 나뉜다. 수동 호밍 유도는 탐색기로 표적에서 나오는 신호만 추적하는 형태와 기술이다. 미사일 자체는 아무런 신호를 보내지 않는다. 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