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변상도 新羅白紙墨書大方廣佛華嚴經變相圖755년 작. 세로 26cm, 가로 23cm. 호암미술관 소장. 〈대방광불화엄경〉을 필사한 2축의 경권 중에 권43~50의 표지 그림으로 추측된다. 자줏빛 닥종이[楮紙] 바탕에 금은니(金銀泥)로 그린 선묘화(線描畵)인데 뒷면에는 화엄경변상도인 7처9회도가, 겉표지에는 역사상(力士像) 및 보상화무늬[寶相華紋]가 그려져 있다...
-
감지은니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5~6 紺紙銀泥 大方廣佛華嚴經 周..개설 198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당의 실차난타(實叉難陀)가 번역한 화엄경 주본 80권 중 권제5와 권제6의 합본으로 각 권의 본문과 변상도가 앞뒷면에 서사되어 있다. 본문은 은, 변상도는 금물감으로 그려졌으며, 병풍처럼 펼쳐볼 수 있는 절첩(折帖)형태이다. 접었을 때의 크기는 세로 31.1㎝, 가로 10.5㎝이며...
- 시대 :
- 고려
- 유형 :
- 문헌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4 화엄경, 大方廣佛華嚴經晋本卷四개설 보물 제685호. 『대방광불화엄경』을 줄여서 『화엄경』이라 부르기도 한다.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닌 하나라는 기본사상을 가지고 있으며 화엄종의 근본경전인 『법화경』과 함께 한국 불교사상의 확립에 큰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대승불교 초기의 중요 경전이었던 『화엄경』은 불타발타라가 한역한 60권본 외...
- 시대 :
- 고려
- 저작자 :
- 불타발타라(번역)
- 문화재 지정 :
- 보물 제685호
- 창작/발표시기 :
- 1096년∼1105년
- 성격 :
- 불교경전, 사찰본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 1축
- 간행/발행 :
- 해인사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9 화엄경 주본, 初雕本大方廣佛華..개설 국보 제257호. 『대방광불화엄경』을 줄여서 『화엄경』이라 부르기도 한다.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닌 하나라는 기본사상을 가지고 있으며 화엄종의 근본경전인 『법화경』과 함께 한국 불교사상의 확립에 큰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대승불교 초기의 중요 경전이었던 『화엄경』은 실차난타가 한역한 80권본 외에도...
- 시대 :
- 고려
- 저작자 :
- 실차난타(實叉難陀)(한역)
- 문화재 지정 :
- 국보 제257호
- 창작/발표시기 :
- 1011년
- 성격 :
- 불교경전, 대장도감본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 1축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소장/전승 :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7길 111(우면동) 관문사
-
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31 보현행원품, 大方廣佛華嚴經貞元本卷三十一九’ 등으로 경명, 권차, 장차가 표시되어 있다. 제본은 6항씩 접어 절첩본으로 하였다. 표지는 감지(紺紙)에 금니로 학립사횡(鶴立蛇橫)표시 아래에 ‘대방광불화엄경 권제삼십일(大方廣佛華嚴經 卷第三十一)’이라고 경명과 권차가 묘사되어 있고, 그 아래에 정원본임을 표시하는 ‘貞’자가 역시 금니로 묘사되어...
- 저작자 :
- 반야삼장(한역)
- 문화재 지정 :
- 보물 제1154호
- 창작/발표시기 :
- 1248년 이후
- 성격 :
- 불교경전, 사찰본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 1첩(帖)
- 간행/발행 :
- 해인사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소장/전승 :
- 인천광역시 연수구 청량로102번길 40-9(옥련동) 가천박물관
-
대방광불화엄경진본 권53 大方廣佛華嚴經晋本 卷五十三개설 보물 제1736호. 『대방광불화엄경』은 화엄종의 근본경전이며 『화엄경』으로 약칭한다. 『대방광불화엄경』의 한역본은 현재 진본(60권본)ㆍ주본(80권본)ㆍ정원본(40권본) 등 세 종이 있다. 이 책은 불타발타라(359∼429)가 전체 34품을 60권으로 번역한 진본 중의 권53이다. 편찬/발간 경위 및 서지적 사항 고려...
- 저작자 :
- 불타발타라 역
- 문화재 지정 :
- 보물 제1736호
- 창작/발표시기 :
- 고려
- 성격 :
- 불교경전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1축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38 화엄경 진본, 大方廣佛華嚴經晋本卷三十八개설 보물 제1192호. 『대방광불화엄경』을 줄여서 『화엄경』이라 부르기도 한다.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닌 하나라는 기본사상을 가지고 있으며 화엄종의 근본경전인 『법화경』과 함께 한국 불교사상의 확립에 큰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대승불교 초기의 중요 경전이었던 『화엄경』은 불타발타라가 한역한 60권본 외...
- 시대 :
- 고려
- 저작자 :
- 불타발타라(번역)
- 문화재 지정 :
- 보물 제1192호
- 성격 :
- 불교경전, 사찰본, 첩장본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 1첩
- 간행/발행 :
- 해인사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소장/전승 :
-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오크밸리2길 260(월송리) 뮤지엄 산
-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6 화엄경, 大方廣佛華嚴經周本卷六十六개설 보물 제687호. 당나라 실차난타가 번역한 『화엄경』80권 가운데 제66권으로 80화엄경 전체 39품 가운데 마지막인 제39품 입법계품⑦의 내용이다. 편찬/발간 경위 숙종년간에 사찰에서 새기고 찍어낸 목판본으로 새김이 정교하고 먹색깔이 진하여 인쇄가 선명하다. 아마도 11세기 말에 해인사 등 화엄사찰에서 판각...
- 시대 :
- 고려
- 저작자 :
- 실치난타(한역)
- 문화재 지정 :
- 보물 제687호
- 창작/발표시기 :
- 1096년∼1105년
- 성격 :
- 불교경전, 사찰본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1축
- 간행/발행 :
- 해인사 (추정)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 권15 紺紙金泥大方廣佛華嚴經 卷十五생각된다. 내용 『화엄경』은 80권으로 구성되었는데 아마 1권이 추가된 것은 「보현행원품」일 것이다. 이유는 보물 제752호로 지정된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입부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정원본 (紺紙金泥大方廣佛華嚴經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卷貞元本 )’과 비교해 보면, 제본 형태가 절첩본(折帖本)으로 다를...
- 저작자 :
- 정독만달아(鄭禿滿達兒)
- 문화재 지정 :
- 보물 제1412호
- 창작/발표시기 :
- 1334년
- 성격 :
- 불교경전, 사경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 1축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소장/전승 :
- 서울특별시 강남구(유상옥 개인소장)
-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紺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周本그 아래의 원형 속에 ‘주(周)’자가 금니로 표시되어 있는데, 이는 주본 『화엄경』을 나타낸 것이다. 권수에는 변상도가 세필의 금니로 아름답고 격조 높게...지정된 이 사경의 표지는 중앙에 금니 경패(經牌)무늬 속에 ‘대방광불화엄경권제5·6(大方廣佛華嚴經卷第五·六)’이라는 표제가 있고, 주위에 보상화문이...
- 시대 :
- 고려
- 저작자 :
- 실차난타(번역)
- 창작/발표시기 :
- 14세기(추정)
- 성격 :
- 불교경전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 1첩(권37), 2권 1첩(권5, 6)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20 보현행원품, 大方廣佛華嚴經貞元本卷二十23㎝, 전엽 31㎝×48㎝에 24항 17자씩 배자되어 있다. 제본은 6항씩 접어 절첩본으로 하고 감지로 표장하였다. 표지는 중앙에 장방형의 금니 쌍선 속에 ‘대방광불화엄경 권제이십(大方廣佛華嚴經 卷第二十)’의 표제가 금니로 묘제되어 있고, 그 아래에 정원본임을 표시하는 ‘貞’자가 역시 금니로 필사되어 있다...
- 저작자 :
- 반야삼장(한역)
- 문화재 지정 :
- 보물 제1083호
- 창작/발표시기 :
- 1248년 이후
- 성격 :
- 불교경전, 사찰본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 1첩(帖)
- 간행/발행 :
- 해인사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소장/전승 :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 紺紙金泥大方廣佛華嚴經普賢行願品국보(1986.11.29 지정). 표지 세로 26.4㎝, 가로 9.6㎝. 호암미술관 소장. 권말의 사성기에 의해 삼중대광 영인군(寧仁君) 이야선불화가 일문권속의 수복과 평안을 빌기 위해 제작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고려사〉 백관지에 의하면 충선왕(忠宣王) 때 정1품을 삼중대광으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고 하고, 또한 지워진...
- 문화재 지정 :
- 국보(1986.11.29 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