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전금철 全琴哲
    북한의 대남문제 전문가. 본명은 금진. 1932년 함경북도 선봉에서 태어났다. 1954년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사회부 지도원으로 출발하여 1960년 당 조직지도부 과장에 기용되었으며, 1963년에는 조선노동당 정치대학 강좌장으로 활동했다. 1968년 당 문화부 과장을 거쳐, 1972년에 문화부 부부장에 올랐다. 1980년 대남...
    출생 :
    1932. 2. 15, 함북 선봉
    사망 :
    2007. 9. ?, 북한
    국적 :
    북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동백림사건 동베를린사건, 東伯林事件
    경과 / 결과 중앙정보부는 1967년 7월 8일부터 17일까지 7차에 걸쳐 ‘동백림(당시 동독의 수도인 동베를린)을 거점으로 한 북괴 대남 적화 공작단’에 대한 수사 결과를 발표했다. 중앙정보부는 “문화예술계의 윤이상·이응로, 학계의 황성모·임석진 등 194명이 대남 적화공작을 벌이다 적발되었다”고 발표했다...
    시대 :
    현대
    발생 :
    1967년 7월 8일
    성격 :
    공안사건
    유형 :
    사건
    종결 :
    1969년 3월 31일
    분야 :
    역사/현대사
    관련 인물/단체 :
    윤이상, 이응로, 민족주의비교연구회
    관련 장소 :
    베를린(당시 동독의 동베를린)
  • 리선권
    리선권은 현재 북한의 대남 선전 ・ 선동 담당 기관인 조국평화 통일위원회 위원장으로,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후보위원과 최고인민회의 외교위원회 위원도 맡고 있다. 나이는 알려져있지 않으나 50대 후반~60대 중반 정도로 추정된다. 북한군 출신으로 북한 군부 권력 내 김영철과 함께 대남 강경파로 분류되며 천안함...
  •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조국전선, 祖國統一民主主義戰線
    연원 및 변천 광복 후 남북한에 각각 결성되었던 제정당 · 사회단체 대표들이 모여 조직한 ‘민주주의 민족전선’이 통합된 것으로, 주로 대남평화공세에 활용되고 있다. 남한에서는 1946년 2월 15일박헌영(朴憲永) · 여운형(呂運亨) · 허헌(許憲) 등 남한 공산주의자들(398명)이 주도하여 조선공산당을 중심으로 근...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여연구 呂燕九
    북한의 대표적 여성 정치인으로 대남업무를 주로 맡아 왔다. 몽양 여운형의 딸인 여연구는 8·15해방 직후 이화여자전문학교에 입학했으나 곧 중퇴하고 1946년 아버지를 따라 월북했다. 1979년 대남전위기구인 조국통일민주주의 전선(약칭 조국전선) 서기국 부국장을 맡게 되면서 대남 분야에 첫발을 디딘 그녀는 1981년...
    출생 :
    1927. 8. 29, 중국 상하이[上海]
    사망 :
    1996. 9. 28
    국적 :
    북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김중린 金仲麟
    1959년 조선적십자회 중앙상무위원으로 재일교포 북송사업에 깊이 관여했다. 북한이 1·21사태, 울진-삼척지구 무장공비사건 등 일련의 무장 게릴라 중심의 대남사업에 실패하자 1969년 허봉학(許鳳學)의 뒤를 이어 조선노동당 대남담당 비서로 선임되었다. 1970년대 대남사업을 담당하면서 적극적인 군사개입정책을...
    출생 :
    1924, 평북 벽동
    사망 :
    2010. 4. 28
    국적 :
    북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북한잠수정침투사건 北韓潛水艇浸透事件
    개설 1980년대 이후 소형 잠수함을 이용한 북한의 대남침투가 여러 차례 있었다. 1983년 부산 다대포사건, 1985년 부산 청사포사건, 1996년 강릉사건, 1998년 속초사건, 1998년 강화도사건과 여수사건 등이다. 경과 및 결과 1983년 12월 3일, 부산 다대포에 침투한 북한의 반잠수정이 격침되었다. 1985년 10월 20...
    시대 :
    현대
    발생 :
    1983년 12월 3일(부산다대포사건), 1985년 10월 20일(부산청사포사건), 1996년 9월 18일(강릉사건), 1998년 6월 22일(속초사건), 1998년 11월 20일(강화도사건), 1998년 12월 18일(여수사건)
    성격 :
    해상침투사건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현대사
    관련 인물/단체 :
    북한 해군
    관련 장소 :
    대한민국 영해
  • 새날혁명학원 새날革命學院
    개설 혁명가 유자녀들과 통학거리가 먼 인근 부대 군인 자녀들을 교육하는 초등 · 중등교육기관이다. 설립목적 새날혁명학원은 대남사업과정에서 사망한 사람들의 유자녀를 교육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연원 및 변천 새날혁명학원의 전신은 1951년 1월 23일에 설립되어 전쟁고아를 비롯한 일반고아들에 대한 교육을 담당...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교육/학교교육
  • 개성텔레비전방송 開城television放送
    오후 8시에서 11시까지였으나, 1972년 4월부터는 평일에는 오후 7시에서 11시 30분까지 일요일은 오후 4시에서 11시 30분까지 방송했다. 방송내용의 편성은 대남선전선동사업을 효과적으로 전개하는 데 가장 역점을 두고 김일성(金日成)과 김정일(金正日)의 우상화를 비롯하여 노동당정책 및 사회주의제도의 우월성을...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언론·출판/방송
  • 황태성간첩사건 黃泰成間諜事件
    가담하였다. 광복 후 조선공산당에 입당하여 경상북도당 조직부장으로 활동하고 1946년 10월 1일 ‘대구폭동’을 주동하다가 월북하였다. 월북한 뒤 북한의 대남공작 담당기관인 해주인쇄소 총무국장으로 재직하였으며, 1948년 8월 28일 이른바 제1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 6·25전쟁 때는 군에 편입되어...
    시대 :
    현대
    발생 :
    1961년
    성격 :
    간첩사건
    유형 :
    사건
    분야 :
    정치·법제/국방
    관련 인물/단체 :
    황태성, 박정희, 김종필
  • 조국통일 오개방침 조국통일오대강령, 祖國統一 五個方針
    인정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1970년대 내내 대민족회의 개최 등 이 조국통일 5대 강령에 입각한 조치들을 남북대화를 재개시키는 조건으로 내걸거나 대남 제의를 해오는 것으로 일관하였다. 이와 함께 북한은 1970년대 중반 이후 8·15 경축식장 대통령 저격사건, 대남침투용 땅굴 굴착, 판문점 도끼 만행사건...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개념
    분야 :
    북한/정치·법제
  • 조국통일연구원
    대남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조선노동당 통일전선부 산하 기관으로서 남한과 국제 정세 분석, 남한 요인에 관한 정보 분석, 통일정책 연구 외에 대남사업 전문가들을 양성하고 있다. 조국통일연구원의 모태는 1959년 노동당·내각 및 각 대학에 설치된 남조선연구소·남조선연구실이다. 이후 닉슨 미국 대통령의 괌 독트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