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화채 花菜
    여름철에 많이 만드는 오미자물이나 꿀물 등에 과일·꽃잎 등을 실백과 함께 띄워내는 시원한 음료이다. 오미자에는 유기산이 있어 각 장기에 생리적으로 좋을 뿐만 아니라 강장·진해 효과도 있다. 붉은 색이 곱고, 신맛·쓴맛·매운맛·단맛·짠맛의 5가지 맛을 갖추었다. 과일이나 꽃잎에 따라 화채 이름이 다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식
  • 절편
    같이 넣고 만들기도 한다. 쑥을 넣은 절편으로 수리취떡이 있다. 수리취떡은 일명 애엽병(艾葉餠) 또는 차륜병(車輪餠)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절편의 모양을 둥글게 만든 다음 그 위에 차바퀴모양의 떡살로 문양을 박는데, 단오절식의 하나이다. 단오를 단오일·중오절·수릿날이라고 하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참고문헌
    성격 :
    음식, 떡
    유형 :
    물품
    재질 :
    쌀, 참기름
    용도 :
    절식용
    관련 의례 :
    단오
    분야 :
    생활/식생활
  • 단오 물맞이 端午 물맞이
    [개설] 단오 물맞이는 음력 5월 5일에 머리카락이 잘 자라고 몸도 건강해지길 기원하면서 물을 맞는 풍속이다. 일반적으로 물맞이는 6월 15일[유두]에 행해지나 부산에서는 5월 5일[단오], 7월 7일[칠석]에도 행해진다. [연원 및 변천] 단오 물맞이의 연원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전국적으로 행해지던 유두 물맞이에서...
    분야 :
    생활·민속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 단온도강하 段溫度强下, stage temperature drop
    다단터빈의 각단에서의 온도강하.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덕진공원
    조성하여 역사성을 극대화하였고 또한 인공폭포와 목교를 설치하여 자연 친화 시설로 시민의 정서에 맞도록 조성하였으며 단오절에는 연못물로 부녀자들이 아침 일찍 머리를 감고 한해 건강을 기원하는 단오 창포물 잔치로도 유명하다. 참고문헌 https://www.jjss.or.kr 참고문헌 https://blog.naver.com/jeonjudeokjinpark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권삼득로 390
  • 단오장 端午粧
    5월 5일 단오는 한 해에서 양기가 가장 그득한 날로 수레바퀴 모양의 쑥떡인 수리취떡을 만들어 먹고, 창포물에 머리를 감는 등 다양한 행사를 벌인다. 특히 남녀 어린이들이 창포탕을 만들어 세수를 하고 홍색과 녹색의 새옷을 입는다. 창포의 뿌리로 만든 비녀에 수, 복의 글자를 새기고, 끝에 붉은 연지를 발라 머리...
  • 강릉단오제전수교육관
    시설이다. 강릉 단오제를 위해 강릉시에서 건립하여 운영중이다.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로, 공연동과 교육관 등의 시설로 구성된다. 2004년 2월 19일: 강릉단오문화관 개관 2017년 7월 4일: 강릉단오제전수교육관으로 명칭 변경 강릉단오제전수교육관은 강릉 단오제에 관련된 공연이 정기적으로 개최되며, 지역 행사와...
    도서 위키백과
  • 턴오버 Turnover, ターンオーバー
    턴오버(turnover)는 다음을 가리킨다. 소득: 사업에서 거워들인 회사의 수익 턴오버 : 오래된 세포가 새로 만들어진 세포로 대체되는 일 턴오버 턴 오버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Dano 한국의 단오, Dano (Korean festival)
    Dano, also called Surit-nal, is a Korean traditional holiday that falls on the 5th day of the fifth month of the lunar Korean calendar. It is an official holiday in North Korea and one of the major traditional holidays in South Korea. South Korea has retained several festivals related to the...
  • 아우내 단오절 민속축제 병천단오절민속놀이경연대회, 아우내 端午節 民俗祝祭
    지낸 시기는 마한(馬韓)부터라고 한다. 세시풍속으로 민간에서 창포에 머리감기, 창포떡, 쑥과 익모초 뜯기(약초 말리기), 대추나무 시집보내기, 소싸움, 단오점, 단오부적, 봉선화 물들이기, 이슬 받아 분바르기, 쑥떡과 수리치떡 만들어 먹기 등을 행하며, 궁중에서는 제호탕 · 옥추단(玉樞丹) · 애호(艾虎:쑥...
    시대 :
    현대
    유형 :
    의례·행사
    분야 :
    생활/민속·인류
  • 한장군놀이 韓將軍놀이
    내용 1971년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단오절의 단오굿에서 행해진다. 원래 한장군은 이 지역 단오굿의 중심행사인 여원무(女圓舞)에 등장하는 주인공 이름으로, 1969년 자인단오굿이 조사되고, 그해 가을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 여원무가 출연하여 이것이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
    유형 :
    놀이
    분야 :
    생활/민속·인류
  • 민속 시리즈(다섯번째묶음) 단오
    체신부는 점차 사라져 가는 우리의 풍습을 살펴봄으로써 지금 우리의 생활이 이루어진 근원을 알리고자 민속을 주제로 한 우표를 시리즈로 발행하여 오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그 다섯번째로 단오를 소재로 한 연쇄우표 4종을 발행합니다. 단오 음력 5월 5일을 단오라고 하여 예전에는 연중 4대명절(설날, 한식, 단오, 추...
    발행일 :
    1988.8.25
    발행량 :
    1500000
    종수 :
    4
    액면가격 :
    80원
    디자인 :
    단오
    우표번호 :
    1541
    인면 :
    26×33
    천공 :
    13
    전지구성 :
    4×5
    용지 :
    백색무투문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아 6도색
    디자이너 :
    이혜옥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2건

그네 / 단오
단오풍정
단오에는 그네가 최고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단오풍정
경산 자인 단오제 / 여원무
기산풍속도첩/씨름하기
강릉 단오절의 관노탈놀이
천중부적
차륜병
단오풍정
단오섬
단오섬 남쪽
단오섬 해도
단오섬 북쪽
단오섬 해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