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민족기록화 시리즈(제4집) 김종서의 육진개척
    퍼부었다. 이때, 권 장군은 손수 물을 떠다 병사들에게 주었으며, 부녀자들까지 일치단결하여 싸운 결과 일본군은 큰 피해를 입고 퇴각하였다. 2. 김종서의 육진 개척 김종서가 지휘하는 조선군이 두만강 유역에서 여진족을 토벌하는 장면으로 서울미대 김태 교수의 작품이다. 육진은 조선 세종 16년(1434년) 여진족의...
    발행일 :
    1982.12.15
    발행량 :
    3000000
    종수 :
    2
    액면가격 :
    60원
    디자인 :
    김종서의 육진개척
    우표번호 :
    1282
    인면 :
    49×33
    천공 :
    13
    전지구성 :
    2×5
    용지 :
    백색무투문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아 6도색
    디자이너 :
    이근문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민족기록화 시리즈(제4집) 권율의 행주대첩
    퍼부었다. 이때, 권 장군은 손수 물을 떠다 병사들에게 주었으며, 부녀자들까지 일치단결하여 싸운 결과 일본군은 큰 피해를 입고 퇴각하였다. 2. 김종서의 육진 개척 김종서가 지휘하는 조선군이 두만강 유역에서 여진족을 토벌하는 장면으로 서울미대 김태 교수의 작품이다. 육진은 조선 세종 16년(1434년) 여진족의...
    발행일 :
    1982.12.15
    발행량 :
    3000000
    종수 :
    2
    액면가격 :
    60원
    디자인 :
    권율의 행주대첩
    우표번호 :
    1281
    인면 :
    49×33
    천공 :
    13
    전지구성 :
    2×5
    용지 :
    백색무투문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아 6도색
    디자이너 :
    이근문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안평대군 이용, 安平大君
    제도)를 장악하고 측근의 문신들을 요직에 앉히는 등 조정의 배후실력자로 등장했다. 특히 1452년 단종 즉위 이후 막강한 권력을 행사했던 황보인(皇甫仁)·김종서(金宗瑞) 등 문신·학자 세력과 제휴하여, 수양대군과 권력을 다투었다. 1452년 7월 수양대군은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다녀오면서 외교적 위상을...
    출생 :
    1418(태종 18)
    사망 :
    1453(단종 1)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조선
  • 정분 자유(子㕀), 鄭苯
    문종 즉위년) 우찬성에 오르면서 계속 판이조사를 겸임했고, 충청 · 전라 · 경상도 도체찰사가 되어 연변주현(沿邊州縣)의 성터를 살폈다. 1452년(단종 즉위년) 김종서(金宗瑞)의 천거로 우의정에 올랐다. 이듬해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주도한 계유정난으로, 문종의 유명(遺命)을 받아 단종을 보필하던 황보인(皇甫仁...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황희 세종의 신임을 철저히 받았던 명재상
    벼슬자리를 주지 않았다. 어디까지나 과거시험이나 능력에 따라 벼슬을 주도록 했다. 그런 탓으로 그는 자기 패거리를 만들지 않았다. 야생마 김종서를 길들인 명조련사 김종서의 사람됨을 잘 아는 황희는 그가 작은 잘못이라도 저지르면 면박을 주기 일쑤여서, 김종서는 늘 황희를 똑바로 쳐다보지 못하고 황희의...
    출생 :
    1363년
    사망 :
    1452년
  • 단종 조선 제6대 왕, 端宗
    문종이 즉위하자 왕세자에 책봉되었다. 1452년 5월 문종이 재위 2년 만에 죽자, 12세에 왕위에 올랐다. 그전에 문종은 자신이 병약하여 황보인(皇甫仁)·김종서(金宗瑞) 등에게 나이 어린 세자의 보필을 부탁했고, 집현전 학사인 성삼문·박팽년·신숙주 등에게도 좌우에서 힘을 모아 도와주라는 유언을 했다. 그러나...
    출생 :
    1441(세종 23)
    사망 :
    1457(세조 3)
    국적 :
    조선, 한국
    종교 :
    유교
    재위 :
    1452년~1455년
    시호 :
    공의온문순정안장경순돈효대왕(恭懿溫文純定安莊景順敦孝大王)
    휘 :
    홍위(弘暐)
    능묘 :
    장릉(莊陵)
  • 한명회 자준, 韓明澮
    인물, 그가 바로 수양대군의 장자방으로서 계유정난을 주도했던 한명회이다. 그는 야심만만한 수양대군이 동생 안평대군의 기세에 눌리고 세종의 고명대신 김종서와 황보인의 견제로 옴짝달싹 못하고 있을 무렵 홀연히 역사의 무대에 등장하여 일대 돌풍을 일으킨다. 계유정난을 배경으로 하는 현대의 사극 속에서 그는...
  • 정난공신 靖難功臣
    단종 때 수양대군 등이 자신의 측근세력과 함께 반대세력인 김종서·황보인·안평대군 등을 제거하고 받은 훈호이다. 1453년(단종 1) 단종이 어린 나이로 왕위에 오르자 숙부인 수양대군은 측근세력과 모의하여, 단종의 보좌세력인 김종서 등이 안평대군을 중심으로 역모를 꾸몄다는 이유로 이들을 살해·제거한 뒤 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조선
  • 성삼문 成三問
    열두 살의 어린 세자가 왕위에 올랐다. 왕실에는 수렴청정을 해 줄 직계 어른이 한 사람도 없었다. 문종은 세상을 떠나기 전 집현전 학자들과 황보인, 김종서 등을 불러 세자를 간곡히 부탁했다. 그러다 보니 권력은 황보인과 김종서에게 쏠리게 되었고 왕실 측근들은 이에 불만을 갖게 되었다. 수양대군은 단종의 즉위...
    출생 :
    1418년
    사망 :
    1456년
  • 제승방략 制勝方略
    2권 1책. 목판본. 〈증보문헌비고〉나 〈연려실기술〉 등의 기록에 따르면 김종서(金宗瑞)가 조선 세종 중엽 이후 이른바 6진 개척에 종사하면서 처음 저술하고, 이를 선조 때에 이일(李鎰)이 증보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견해는 일제강점기를 거쳐 근자에 만들어진 여러 종류의 도서해제까지도 계속 이어졌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사육신 死六臣
    으로 대거 진출했다. 집현전의 관계 진출은 문종이 2년 3개월 만에 승하하고 12세에 불과한 단종이 즉위하면서 더욱 활발해졌다. 문종은 죽기 전에 황보인·김종서 등의 원로대신을 불러들여 단종이 나이가 어려 직접 정치를 할 수 없으므로 힘써 보좌해 달라고 당부했다. 그로 인해 재상들의 합의체인 의정부는 국왕과...
  • 정흠지 요좌, 鄭欽之
    역법은 1444년(세종 26년) 이순지, 김담 등이 완성한 《칠정산외편》과 짝을 이루어 효종 때 시헌력을 들여올 때까지 조선의 대표적인 역법으로 사용되었다. 김종서와 함께 북방을 다스리다 1430년(세종 12년) 윤12월 3일 사헌부 대사헌에 임명된 정흠지는 조정의 질서를 바로잡고 기강을 확립하는 데 크게 공헌했다...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7건

김종서 장군 묘
김종서(金宗瑞)
김종서 장군의 묘
북관유적도첩-야연사준도
〈야연사준도〉
김종서 생가터
김종서 유묵
김종서유허지
제승방략 / 김종서
제승방략 / 김종서
제승방략 / 김종서
김종서 vs 세조
김종서장군묘
김종서장군묘
김종서 장군의 묘역
비해당소상팔경시첩 김종서 시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