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구면 조화 함수 Spherical harmonics, 球面調和関数
    sin^2 \theta + \cos^2 \theta ) = {3 \over 4 \pi } 구면 조화 함수의 매개변수 l과 m을 이렇게 부르는 까닭은 양자역학에서 이 함수를 구형 대칭의 파동 함수로 해석하면 l과 m 궤도 각운동량 양자수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양자역학에서 궤도 각운동량 연산자는 다음과 같다. \mathbf L=\mathbf r\times\mathbf p=-i...
    도서 위키백과
  • 분자의 일반적 특징
    돌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자는 궤도함수라는 공간상의 영역을 차지하는데 이 궤도함수들은 모양·방향·원자핵으로부터 평균거리 등이 서로 다르다. 하나의 궤도함수는 2개의 전자를 수용할 수 있으며, 원자핵으로부터 먼 거리에 있는 껍질일수록 더 많은 궤도함수를 포함한다. 원자 내의 전자는 원자핵과 모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반결합 분자 오비탈 Antibonding molecular orbital, 反結合性軌道
    노드가 있다. 오비탈의 전자 밀도는 결합 영역 외부에 집중되어 있으며 한 핵을 다른 핵에서 끌어당기는 역할을 하고 두 원자 사이에 상호 반발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별도의 원자보다 에너지가 낮고 화학 결합을 담당하는 결합 분자 오비탈과 대조된다. 전도띠 원자가 결합 이론 분자궤도함수 이론 공액계
    도서 위키백과
  • 파울리의 배타원리 Pauli exclusion principle
    스핀은 항상 1/2의 홀수배이다. 원자에 대한 현대적 관점에 의하면 밀도가 높은 원자핵의 주위에 있는 공간은 각각 2개의 서로 다른 상태를 가질 수 있는 궤도함수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파울리의 배타원리는 만일 이 상태 중의 하나가 스핀 1/2의 전자로 점유되면 다른 것은 반대의 스핀, 즉 스핀 ―1/2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과학 일반
  • 20세기 화학의 발전
    각각 전자를 하나씩 내놓아 공유한다는 가정하에 전자쌍에 대한 파동함수를 구성하는 것이었다. 비슷한 시기에 미국의 과학자 로버트 S. 멀리컨은 분자 궤도함수에 근거한 분자 구조이론을 제창했다. 이 이론에서는 전자가 특정 원자에 귀속해 있지 않고 전체 분자에 걸쳐 있는 양자 상태를 점하는 것으로 다루어졌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원자의 성분과 성질
    되고, 전자를 얻으면 음이온이 된다. 전자껍질 원자 내의 전자의 행동은 대단히 미묘하고, 양자역학 법칙의 지배를 받는다. 이 법칙에 따르면 전자들은 궤도함수라고 하는 원자 내의 여러 다른 영역을 점유하고 있다. 궤도함수는 간단하게 핵을 둘러싸고 있는 구름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전자를 많이 갖고 있는 원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유효 핵전하 有效核電荷, effective nuclear charge
    1개의 전자를 갖는 수소원자의 에너지는 주양자수에 의해 결정되지만 다전자 원소는 전자가 채워짐에 따라 전자끼리의 반발력, 즉 가리움 효과로 인해 개개 궤도함수의 상대적인 에너지의 크기가 변하게 된다. 핵전하를 가리는 가리움 효과가 불완전하기 때문에 모든 궤도함수 에너지는 수소원자의 에너지보다 상대적...
    도서 다음백과
  • 멀리컨 Robert Sanderson Mulliken
    1926~28년 뉴욕대학교에서 강의했으며, 1928~85년 시카고대학교 교수로 있었다. 멀리컨은 1920년대부터 분자구조이론(分子構造理論)을 연구하기 시작해, 분자궤도함수로 분자의 전자상태를 이론적으로 체계화했다. 이전에는 원자의 전자궤도 함수는 변하지 않고 마치 원자가 벽돌쌓는 것처럼 결합해 분자를 형성한다고...
    출생 :
    1896. 6. 7, 미국 매사추세츠 뉴버리포트
    사망 :
    1986. 10. 31, 버지니아 알링턴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분자분광학의 영역
    전자가 들뜬 상태로 전이되기 때문이다. 분자 내에서의 전자 상태를 근사적으로 기술하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그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분자궤도함수(molecular orbital/MO)를 들 수 있다. 이는 전자들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한 전자를 기준으로 한 다른 전자들의 평균적인 상호작용으로 대체시켜 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이차 함수 Quadratic function, 二次関数
    b_1x_1+b_2x_2+\cdots+b_dx_d+c\\ \end{align} 단, 0=a_{11}=\cdots=a_{dd}가 성립하지 않아야 한다. 이차 함수의 그래프는 대칭축이 수직선인 포물선이다. 즉, 허공에 비껴 던져진 물체의 비행 궤도와 같다. 반대로, 대칭축이 수직선인 모든 포물선은 어떤 이차 함수의 그래프이다. 이차 함수의 (곡선으로서의) 방정식...
    도서 위키백과
  • 라이너스 폴링 Linus (Carl) Pauling
    등가를 설명하기 위해서 혼성궤도함수 개념을 도입했는데, 이 함수에서 전자궤도함수는 상호 반발로 인해 원래의 위치에서 이동된다. 라이너스 폴링은 또 중심 이온 주위의 일정한 기하학적 배열 내에 있는 이온이나 이온단이 배위하여 혼성궤도함수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라이너스 폴링의 지향(양과 음) 원자가...
    출생 :
    1901. 2. 28, 미국 오리건 포틀랜드
    사망 :
    1994. 8. 19, 미국 캘리포니아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전자 배치 電子配置, electronic configuration
    통해 해당 전자를 특정한 공간적 위치에서 발견할 확률은 해당 지점에서의 파동함수의 절대 값의 제곱에 비례한다. 전자는 에너지 양자를 흡수하거나 방출하거나...에너지 준위로 이동할 수 있다. 파울리 배타 원리 때문에, 하나의 원자 궤도에는 두 개 이상의 전자가 존재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전자는 빈 공간이 있을...
    도서 다음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분자궤도함수
s 오비탈의 궤도 함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