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친군영 親軍營
    각 영의 재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변함없이 존속되었다. 1888년 중앙군이 3영으로 개편될 때 통위영과 장어영은 친군의 칭호를 붙였으나 총어영에는 친군이 부여되지 않았다. 그러나 1892년 고종이 각 영의 명칭에 차별이 없도록 모든 영에 친군의 명칭을 붙이게 됨에 따라 총어영, 용호영, 경리청 등도 친군의 명칭을...
    분류 :
    유물 > 조각
    크기 :
    세로: 20.0cm, 가로: 6.7cm, 높이: 10.2cm
    재질 :
  • 친군영양향색낭청인 親軍營糧餉色郎廳印
    각 영의 재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변함없이 존속되었다. 1888년 중앙군이 3영으로 개편될 때 통위영과 장어영은 친군의 칭호를 붙였으나 총어영에는 친군이 부여되지 않았다. 그러나 1892년 고종이 각 영의 명칭에 차별이 없도록 모든 영에 친군의 명칭을 붙이게 됨에 따라 총어영, 용호영, 경리청 등도 친군의 명칭을...
    분류 :
    유물 > 조각
    크기 :
    세로: 8.4cm, 가로: 8.4cm, 높이: 9.4cm
    재질 :
  • 친군영 親軍營
    각 영의 재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변함없이 존속되었다. 1888년 중앙군이 3영으로 개편될 때 통위영과 장어영은 친군의 칭호를 붙였으나 총어영에는 친군이 부여되지 않았다. 그러나 1892년 고종이 각 영의 명칭에 차별이 없도록 모든 영에 친군의 명칭을 붙이게 됨에 따라 총어영, 용호영, 경리청 등도 친군의 명칭을...
    분류 :
    유물 > 조각
    크기 :
    세로: 9.2cmcm, 가로: 9.2cmcm, 높이: 8.7cmcm
    재질 :
    금속
  • 친군영군색낭청인 親軍營軍色郎廳印
    각 영의 재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변함없이 존속되었다. 1888년 중앙군이 3영으로 개편될 때 통위영과 장어영은 친군의 칭호를 붙였으나 총어영에는 친군이 부여되지 않았다. 그러나 1892년 고종이 각 영의 명칭에 차별이 없도록 모든 영에 친군의 명칭을 붙이게 됨에 따라 총어영, 용호영, 경리청 등도 친군의 명칭을...
    분류 :
    유물 > 조각
    크기 :
    세로: 8.0cm, 가로: 8.0cm, 높이: 9.7cm
    재질 :
  • 공연예술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 국립김해박물관 국립대구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국립전주박물관 국립제주박물관 국립진주박물관 국립청주박물관 국립춘천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경찰박물관 관세박물관 국악박물관 산림박물관 외교박물관 우정박물관 지도박물관 등대...
    도서 위키백과
  • 의열사기 현판 義烈祠記 懸板
    유물설명 1581년(선조 14년) 4월에 류성룡(柳成龍, 1542년~1607년)이 지은 부여 의열사(義烈祠)의 기문(記文)을 새긴 현판이다. 류성룡의 벗이던 홍가신(洪可臣, 1541년~1615년)이 1575년(선조 8년) 부여의 현령으로 부임하여 백제 의자왕 때의 충신인 성충(成忠), 흥수(興首), 계백(階伯)과 고려 공민왕 때의 충신인...
    분류 :
    유물 > 현판
    크기 :
    가로: 150cmcm, 세로: 36cmcm
    재질 :
    피나무
  • 박물관 博物館
    그 뒤 6·25를 치르면서 피난과 정부수복 등을 거치는 사이에 개성분관이 수복되지 못하였다. 덕수궁미술관을 통합한 국립박물관은 중앙박물관으로서, 경주 · 부여 · 공주의 3개 지방 박물관을 산하에 두어 각기 개보수를 실시하여 확장 개편하였다. 그리고 각도에 국립 박물관을 하나씩 둔다는 방침이 확립되었다. 이...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회화
  • 부여 장하리 삼층석탑 扶餘長蝦里三層石塔
    완만한 편이다. 1931년에 탑신 1층의 몸돌에서 상아불상, 목제탑, 다라니경 조각 등이 발견되었으며, 1962년 해체 수리할 때 2층에서 지름 7cm, 깊이 12cm의 사리구가 발견되었는데, 그 안에 41개의 사리가 들어 있었다. 이 유물들은 모두 국립부여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장하리 536...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별문숙고사 부금 조끼
    꽃무늬를 부금하였다. 또한 앞면 상부에는 수복강녕(壽福康寧)의 길상어문을, 중간부분에는 감로수 병 속에 담긴 불로초무늬와 하부의 오른쪽에는 "부여해(富如海)", 왼쪽에는 "수여산(壽如山)"의 글자를 부금하였다. 주머니는 모두 3개인데 좌우의 주머니에는 운문(雲紋)을 부금하여 꾸몄다. 재봉틀로 지은 조끼로 겉감...
    분류 :
    유물 > 의상
    크기 :
    길이: 33cm, 뒤품: 34cm, 어깨: 5cm, 고대: 11.3cm
    재질 :
  • 부여 사택지적비 扶餘 砂宅智積碑
    보물로 지정되었다. 의자왕 때의 대신 사택지적이 남긴 비이다. 1948년 역사학자이자 미술사학자인 황수영(黃壽永)과 홍사준(洪思俊)이 부여에서 발견하여 현재 국립부여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이 비는 대좌평(大佐平)을 역임하였던 사택지적이 말년에 지난날의 영광과 세월의 덧없음을 한탄하면서 만든 것이다. 남아...
    시대 :
    고대/삼국/백제
    유형 :
    유물
    분야 :
    역사/고대사
  • 부여현북리고분군 扶餘縣北里古墳群
    단장(單葬)임이 분명하다. 현북리고분군은 모두 돌방무덤으로서 대부분 바닥에는 할석을 깔았으며, 벽과 천장은 판석을 사용하였다. 이곳에서 옮겨놓은 국립부여박물관 안의 고분은 꺾임천장식의 판석조석실분이다. 묘실(墓室)은 전체 길이가 2.35m이다. 널방[玄室]은 길이 1.94m, 너비 75㎝, 벽 높이 69㎝, 천장 높이...
    시대 :
    고대/삼국
    건립시기 :
    삼국시대(백제)
    성격 :
    무덤군
    유형 :
    유적
    소재지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현북리
    분야 :
    역사/선사문화
  • 별문단 부금 조끼
    둘레를 따라 꽃무늬를 부금하였다. 조끼 앞의 윗 부분에는 "수(壽)"와 "복(福)"을, 중간 부분에는 감로수 병 속에 담긴 불로초를, 아래 부분의 오른쪽에는 "부여해(富如海)", 왼쪽에는 "수여산(壽如山)"의 글자를 부금하여 장수와 부귀에 대한 염원을 담고 있다. 재봉틀로 제작한 저고리로 겉감과 안감의 등솔은 골선...
    분류 :
    유물 > 의상
    크기 :
    길이: 31.5cm, 뒤품: 33.5cm, 어깨: 4.7cm, 고대: 11.5cm
    재질 :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1건

국립부여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충남 부여 조선총독부박물관 부여분관
부여 금동관음보살입살
부여 금동관음보살입살
금석첩 당유인원기공비 탁본(탑본)
남성이 사용한 요강, 호자
마한시대 새발자국무늬토기
곱은옥(귀걸이로 추정)
여성이 사용한 요강
정림사지 오층석탑
백제역사문화관
계백장군 영정
백제금동대향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