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부여나성 외곽성, 扶餘羅城이처럼, 부여나성은 성벽이 조성되는 지점의 입지에 따라 다양한 축성 방식이 적용되었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부여나성에서 확인되는 문지는 모두 7곳으로 추정되며, 이중 동문지 2곳, 북문지 1곳이 발굴 조사 되었다. 평지 구간에서 확인된 동 3문지와 북 2문지는 개거식의 형태이며, 산지 구간에서 확인된 동 2문지...
- 시대 :
- 고대/삼국/백제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부여 청마산성 扶餘 靑馬山城돌로 쌓았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부여 청마산성은 남벽의 수구가 잘 남아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부여 청마산성에 수구지는 17개소로 추정되는데 그중 남쪽 성벽의 중간 구간에서 확인된 수구는 성벽이 약간 오목해지는 지점에 위치한다. 바른 층 쌓기 한 성벽의 중앙부에 양옆 판석을 세로로 세우고 그 위에 납작한...
- 시대 :
- 고대/삼국/백제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
신뢰수준 ・ 표본오차 confidence level ・ sampling error신뢰수준(confidence level)은 통계적 추정에서 구간으로 추정된 추정치가 실제 모집단의 모수(모집단의 특성을 나타내는 값)를 포함하고 있을 가능성의 범위를 말한다. 통계치의 정확성을 표현하는 용어다. 예를 들어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가 ±3.0%p’라는 것은 같은 조사를 100번 하면 95번은 조사 결과 수치의...
-
충주 탄금대토성직사각형)이거나 타원형이다. 전체 둘레는 자연지형을 그대로 이용한 북쪽 구간을 포함하여 약 415~420m이며, 인위적인 토루가 축조된 구간은 234m이다. 성안의...3기가 확인되었다. 저수시설의 평면 형태는 부정타원형 또는 말각장방형으로 추정되며, 전체적으로 중앙부가 가장 깊은 바가지 모양이다. 서쪽 벽 위쪽이...
- 시대 :
- 백제
- 소재지 :
- 충청북도 충주시 칠금동 산1-1
- 종류 :
- 토성
-
사천 선진리성삼각형태로 보강했다. 성 내, 외벽에서 380cm~400cm 간격으로 기둥구멍이 확인되는데 이를 통하여 볼 때 성벽은 구간별로 최초 구간의 판축성벽에 순차적으로 한 구간씩 성벽을 덧대면서 쌓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판축 할 때 사용한 내 · 외벽의 나무기둥은 원형이나 성벽 중앙의 보조목은 사각형의 목재를 사용했다...
- 시대 :
- 고려
- 소재지 :
- 경상남도 사천시 용현면 선진리 402번지 일원
- 종류 :
- 토성
-
김해 회현리 패총 김해패총, 金海 會峴里 貝塚전역에 이른다는 점이 명확해졌으며, 구 회현리패총을 비롯하여 북쪽으로는 김해 대성동 고분군(金海大成洞古墳群)까지도 연결된다. 또한, 봉황대 진입로 구간과 현재의 가야 궁허비(宮墟碑)가 세워져 있는 지역 일대가 금관가야의 중심 주거 지역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게 되었다. 2000년대 이후의 조사에서는 소방도로...
- 시대 :
- 고대/삼국/가야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고대사
-
각이찰성 온가요산성, 覺尔察城바깥쪽의 높이는 7m이다. 서쪽 성벽은 150m 구간에 외고형(外孤形)으로, 안쪽 성벽의 높이는 2m이고, 바깥쪽 성벽의 높이는 3m이며, 성벽 윗부분의 너비는 1~1.5m이다. 북문은 이 산성의 유일한 출입시설로, 동쪽에는 옹성(甕城)으로 추정되는 남북 방향으로 쌓은 성벽이 남아 있다. 외성의 성벽은 대부분 구간에 걸쳐...
- 시대 :
- 고대/삼국/고구려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옥포성 옥포진성, 玉浦城지점이기 때문에 체성벽의 유구(遺構)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옥포성의 해자로 추정되는 구상유구(溝狀遺構)가 확인되었다. 옥포성의 평면 형태는 남동~북서향...문지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590m에 달하는 전체 성벽 중 남문지 구간에만 길이 3m, 높이 1.2m 정도의 성벽이 남아 있으며, 남문지 구간 5개 지점과...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견훤산성 상주 견훤산성, 甄萱山城확인하였으며 조사단은 출토 유물을 근거로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전반에 축성된 신라 성으로 추정하였다. 2010년에 견훤산성에 대한 1차 발굴 조사가 추정 동문지 구간에 대하여 실시되었다. 그 문지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성 내외 벽과 보축 성벽만 확인되었다. 조사단은 단면 삼각형 기단 보축, 현문식 성문, 관방...
- 시대 :
- 고대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경주 부산성 慶州 富山城수습되고 있다. 이 중에서 창터골이라고 불리는 산성마을 동편에서 초석을 갖춘 건물지가 발견되었다. 이 건물지는 상하단으로 구분되는 구간에 초석이 있어 창고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하단부의 건물지는 정면 11칸, 측면 5칸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경주 남산신성(南山新城) 서창지와 유사한 규모이다. 경주 부산...
- 시대 :
- 고대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함안 성산산성성안에는 동, 서, 남 3개소의 성문터가 있다. 동문지 부근의 저습지 추정유구에서는 나무방망이, 빗 등 많은 소형목제품과 함께 먹으로 글자를 쓴 목간(글을...명문(돌에 새겨 놓은 글) 등의 사례에서 보듯 여러 집단이 성벽축조에 동원되어 구간별로 축성하였음을 시사하고 있다. 목간에서는 ‘일벌(一伐)’, ‘일척...
- 시대 :
- 신라
- 소재지 :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광정리 조남산 일대
- 종류 :
- 석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