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임플라논엔엑스티이식제 Implanon NXT Implant삽입위치를 확인한다. 삽입 부위는 위팔뼈(상완골)의 안쪽 위관절융기(medial epicondyle)로부터 약 8-10 cm (3-4인치) 지점이자 이두근과 삼두근 사이의 고랑(sulcus, 홈) 뒤(아래) 3-5 cm (1.25-2 인치)에서 삼두근을 덮고 있는 지점이다(Figure 2a, 2b, 2c). 고랑 내부에 있거나 고랑을 둘러 싸고 있는 큰 혈관과...
- 식약처 분류 :
- 피임제 (254)
- 전문/일반 :
- 전문 의약품
- 제조/수입사 :
- 한국오가논
- 임산부 금기 :
- 1등급 , 원칙적 사용금기
- 제형 :
- 이식제
- 단일/복합 :
- 단일 성분
- 투여 경로 :
- 피부
- 보관방법 :
- 기밀용기, 2 ~ 30℃ 보관, 차광보관
-
요도암 urethral cancer안전 범위를 확보하여 부분 음경 절제술을 시행합니다. 침윤암이 몸 쪽 음경요도 혹은 요도 전체에 발생한 경우에는 완전 음경 절제술의 적응증이 됩니다. 샅고랑 림프절이 촉지되고 원격 전이의 증거가 없는 경우에는 샅고랑 및 장골 림프절 절제술의 적응증이 됩니다. 예방적인 림프절 절제술의 효과는 없으며, 샅고랑...
-
서천송내리유적 舒川松內里遺蹟해발 18.5~19.5m의 완경사면에서 조사되었다. 상하로 2개의 층이 조사되었다. 단면 U자형의 고랑만 확인되고 두둑은 확인되지 않았다. 고랑의 방향은 등고선과 일치한다. 상층 경작지는 고랑의 폭이 10~25㎝ 정도이다. 고랑 내부에서 적갈색 연질 타날문토기 등이 출토되었다. 하층 경작지는 고랑의 폭이 14~36㎝로...
- 건립시기 :
- 삼국시대
- 성격 :
- 취락유적
- 유형 :
- 유적
- 소재지 :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송내리 380-15번지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경작유구 논밭유구, 耕作遺構처럼 재배작물 위주의 표현도 나타난다. 화전 관련 기록으로는 신라 문무왕대의 화종역경(火種力耕), 소목전(燒木田) 등이 있다. 밭의 종류를 보면, 이랑 고랑이 열을 이루어 반복조성된 것이 청동기시대 이래로 가장 일반적이다. 둑이나 도랑으로 구획하기도 하고, 그렇게 하지 않기도 하는데, 둑으로 구획한 것 가운데...
- 시대 :
- 선사/청동기, 선사/철기, 고대/초기국가/삼한, 고대/삼국/고구려, 고대/삼국/백제, 고대/삼국/신라, 고대/삼국/가야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
현대식 관개시설의 계획과 건조지지 않은 곳에서도 할 수 있다. 그밖에도 변형된 여러 관개방법이 있지만 가장 일반적인 것에 대해서만 다루고자 한다. 지표관개는 일류관개(溢流灌漑)와 고랑관개[畦間灌漑]로 나누어진다. 일류관개는 물을 경지의 한쪽 끝에서 보내, 이 물이 반대쪽까지 넘쳐 흐르도록 하는 방법으로 곡류와 사초를 키우는 곳에서...
-
삼배엽 배아의 신경계 발생사이로 중배엽이 형성되면서 삼배엽성 배자를 형성합니다. 이과정은 양막 공간에 접한 위판의 꼬리 쪽에 있는 중앙선, 즉 원시선(primitive groove, 원시고랑) 속으로 세포들이 함몰되면서 양막 공간과 난황 공간 사이의 틈으로 위판의 세포들이 몰려들어와 안으로 이동합니다. 그 결과 양막 공간 쪽에 외배엽(ectoderm...
-
로스미르 Rosmir Inj.유래섬유아세포 2×10^7Cells 성분 별 약효 Tego Autologous Dermal Fibroblast : 피부/피하조직질환 > 상처ㆍ궤양 치료제 > 기타 효능 중등도 이상의 비협골 고랑(nasojugal groove)의 개선 용법 이 약은 1 바이알(1mL) 당 2X107 개의 세포가 들어있으며, 투여량은 주름 1cm 마다 0.1-0.4mL를 기준으로 시술자가 주름의...
- 식약처 분류 :
- 기타의 조직세포의 치료 및 진단 (439)
- 전문/일반 :
- 전문 의약품
- 제조/수입사 :
- 테고사이언스
- 제형 :
- 주사제
- 단일/복합 :
- 단일 성분
- 투여 경로 :
- 주사
- 보관방법 :
- 밀봉용기, 냉장(2~8℃)보관
-
구전법 區田法밭둑과 1.5자 너비의 길을 번갈아 만들어 모두 15개의 둑과 길을 만든, 각 두렁에 너비·깊이·거리가 같은 1자의 고랑을 10.5자 길이로 24개 만들고, 이 고랑과 고랑 사이에 이랑을 만들되 파종은 고랑에 하는 방법이다. 감종법은 먼저 토지를 묘(畝) 단위로 보아 가로 15보(步), 세로 16보 합계 240보를 1묘로 삼는다...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경제·산업/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