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후치

다른 표기 언어

요약 축력 제초도구의 하나.

밭고랑에 무성한 풀을 후치며, 걸기에 의하여 메워진 고랑을 후쳐서 곡식에 북(식물의 뿌리를 싸고 있는 흙)을 주는 데 사용하는 도구이다.

후치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소 한 마리에 매서 작업하므로 보연장의 중량에 비해 가볍고, 곡식 밭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간편하게 만들어졌다. 성에는 호리의 성에와 같은 형태다. 후치의 술은 보연장의 술과 형태가 유사하며 산간지대의 보연장에 비하면 후치 술의 구부러진 각도가 곧다.

볏을 다는 쐐기가 없는 대신 '두드레'를 끼운다. '두드레'는 모 난 나무로 만드는 데 한쪽은 모로리로 고정되고 한쪽은 보습 위에 덮인다. 보습 위에 붙는 쪽은 얇게 깎는 바, 파인 흙은 이 두드레에 부딪쳐 양편으로 갈라진다.

후치는 밭 중경제초의 주된 도구로, 연백지방에서 가장 널리 보급되었다. 밭에 곡식이 자라서 김을 매게 되면 후치로 고랑을 친다. 그 다음은 호미로 두둑의 풀을 매며 흙을 끌어서 고랑에 내린다. 다음 벌 김도 후치로 맨다. 네 벌 김을 맨 후에도 후치질을 해두면 고랑에 배수가 잘 되어 장마철에도 수해를 방지해주며 밭고랑을 환히 쳐서 일조량이 많아지므로 곡식이 잘 자란다. 호미로 잘게 김을 맬 때 토양을 잘 부스러뜨리고 여러 차례 후치면 배토도 잘 된다.

해방 후 이랑이 좁아지고 이랑 사이에 여타 작물을 심는 간혼작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후치는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물품

물품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후치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