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주덕기 벌목정정(伐木丁丁), 朱德基
    祿)과 모흥갑(牟興甲)의 고수(鼓手)로 있다가 명창이 될 결심을 하고 산에 들어가 밤낮으로 기도를 드리며 소리를 하였다. 이때 소리를 한마디 하고 소나무 한그루를 베어 수천그루의 소나무를 벤 일은 유명하다. 전주대사습에 나가 대명창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판소리를 나무를 패듯 아주 기운차게 하였기 때문에...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예술·체육/국악
  • 텔리고눔목 Theligonales
    으로 이루어져 있다. 3종(種)이 카나리아 제도, 지중해 지역, 중국의 남서부, 일본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테리고눔목 식물은 다소 다육질인 풀로 한그루에서 암꽃과 수꽃이 따로 핀다. 수꽃은 주로 7~12개의 수술을 가지고 있으나, 종류에 따라 2~30개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 꽃이 필 때 밖으로 말리는 2~5개의 폭이...
  • 옥당백부 玉堂栢賦
    구성 및 형식 『동문선』 제2권에 실려 있다. 내용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인로가 한림원(翰林院)에 들어가니, 푸른 수염 난 군자(蒼髥君子)인 잣나무가 한그루 서 있는데, 여윈 학이 날려는 듯, 늙은 용이 일어나는 듯하였다. 본래 한림원은 신선부(神仙府)라고 일컫기 때문에 보통 화식(火食)하는 자는 들어가지...
    시대 :
    고려
    저작자 :
    이인로
    창작/발표시기 :
    고려 후기
    성격 :
    부(賦)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한문학
  • 부안 동문안 당산 扶安 東門안 堂山
    당산’이라 하는 석조신간(石鳥神竿) 1기와 상원주장군(上元周將軍)과 하원당장군(下元唐將軍)으로 불리는 석장승 한쌍으로 이들은 당산목(堂山木) 한그루와 함께 마을의 수호신으로 받들어지고 있다. 석조신간은 동문안당산의 주신이다. 이 당산은 높이 320㎝의 화강암 기둥으로, 위에는 돌로 조각한 새(오리)가 돌기둥...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보성 전일리 팽나무숲 寶城 全日里 팽나무숲
    2007년 전라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전일리의 팽나무 줄나무는 마을 앞에 한줄로 기다랗게 서있다. 전체길이 155m되는 둑에 팽나무 18그루, 느티나무 한그루가 서 있고 나무의 높이는 9∼15m 사이에 있으며 나무의 나이는 200∼400년생으로 추정되고 있다. 점유면적은 799㎡이다. 팽나무는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식물
  • 졸참나무 Serrata Oak
    생물학적 특징 낙엽성 교목, 높이는 23m, 지름은 1m, 수피는 회백색 잎은 호생, 난형, 길이 6~15cm, 예거치연, 이면은 털이 있음 꽃은 5-6월 개화, 암수 한그루, 잡성화, 수꽃은 수술이 3~12개, 화피는 5~8장, 유이화서 암꽃은 암술이 3개, 화피는 6장, 화서가 짧음 열매는 견과, 9-10월 성숙, 타원형, 총포가 각두를...
    분류 :
    참나무과(Fagaceae)
    서식지 :
    산기슭이나 산 중턱의 양지
    학명 :
    Quercus serrata Thunberg
    분포지역 :
    한국(전역), 일본
  • 바느질노래
    자긍심과 독특한 정한 및 바느질의 모습을 생생하게 부각시킨 것이다. 이러한 내용을 보여주는 민요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동해바다 한가운데/노생나무 한그루에/동켠가지 죽은가지/해오래비 앉았구나/소음지출 서른석자/고이고이 솎아내어/명주배기 짝저고리/바삭바삭 말아내어/동켠가지 걸어놓고/들명날명...
    저작자 :
    미상
    성격 :
    민요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구비문학
  • 조각자나무 早角刺─
    李彦迪, 1491∼1553)이 심었다는 수령 약 500년의 조각자나무가 1962년 12월 7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꽃은 5∼6월에 암꽃과 수꽃이 한그루에 피며,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중부지방에서도 월동이 가능하다. 잘 자란 나무는 높이 30m까지도 자란다. 조각자나무와 주엽나무는 서로 매우 유사하지만...
    시대 :
    현대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식물
  • 하동 축지리 문암송 河東 丑只里 文岩松
    내용 2008년 3월 12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한그루의 노거목인데 나무의 높이 12.6m, 가슴높이 줄기둘레 3.2m, 수관폭(樹冠幅)은 동서로 16.8m, 남북으로 12.5m에 이르고 나무의 나이는 600년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줄기는 다소 비스듬히 서있고 그 모습이 당당하다. 이 나무는 일명 문암송(文岩松)이라고도...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식물
  • 청송 관리 왕버들 靑松 官里 왕버들
    내용 1968년 3월 9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관리와 청송읍 덕리의 경계가 되는 냇가 근처에서 한그루의 늙은 소나무와 같이 자라고 있다. 나무는 북쪽으로 다소 기울어졌고, 높이 18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 5.64m로서 가지는 동서로 22.8m, 남북으로 18.7m 정도 퍼졌다. 멀리서 볼 때는 나무모양이 좋고 싱싱하게...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식물
  • 제주 수산리 곰솔 濟州 水山里 곰솔
    마을 수호목으로서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4년 5월 14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애월읍 수산리 입구 수산봉(水山峰) 동쪽에 큰 해송(곰솔) 한그루가 자라고 있는데 이 나무는 모양이 특이하기 때문에 자연유산으로 지정, 보호를 받고 있다. 나무의 높이 10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 4m인 거목으로서 땅위 2m의 높이...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식물
  • 기몽 거중기몽, 記夢
    돌아가고 싶은 작자의 현실적인 꿈이다. “갖옷 덮고 앉았다 깜박 잠이 들어, 어렴풋이 꿈결에 집에 갔었네. 시냇가의 집엔 눈이 개었으나 쓰는 이 없고, 한그루 매화 아래 문지기는 학이로다(坐擁貂裘小睡溫 依依歸夢訪家園 雪晴溪館無人掃 一樹梅花鶴守門).” 잠깐 잠이 들어 꿈속에 집에 갔더니, 냇가의 집은 눈이...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상적
    창작/발표시기 :
    조선 후기
    성격 :
    한시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한문학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