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홍문관지 弘文館志
    각제학 김종수(金鍾秀)의 발문이 있다. 내용은 건치(建置)·직관(職官)·진강(進講)·관규(館規)·서적(書籍)·사실(事實) 등 6문으로 되어 있다. 건치에는 홍문관의 연혁을 기록해 집현전의 후신이라 하였다. 직관에는 홍문관의 직제로서 겸직인 영사(領事) 1인, 대제학 1인, 제학 1인과 전임관인 부제학 1인, 직제학...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노춘(李魯春) 등
    창작/발표시기 :
    1784년
    성격 :
    관찬서, 홍문관기록문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등영록 登瀛錄
    서지적 사항 5책. 필사본. 내용 앞부분에는 홍문관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집현전에 재직했던 학사(學士)들의 명단을 실었다. 홍문관에서 작성했다고 판단된다. 본관록(本館錄) 혹은 홍록(弘錄)이라고도 하는 홍문록은 홍문관의 교리·부교리·수찬·부수찬을 임명할 때의 제1차 선거 기록이다. 문과(文科)의 방목(榜目...
    시대 :
    조선
    성격 :
    관찬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5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홍인경 응선(應善), 洪仁慶
    와 홍인헌(洪仁憲)의 형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49년(명종 4) 사마시에 합격해 생원이 되었으며, 이후 1553년(명종 8) 친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그 뒤 홍문관정자를 거쳐 시강원설서(侍講院說書)·홍문관부수찬·사간원정언·홍문관수찬 등의 청직(淸職)을 두루 역임하였다. 이어 이조좌랑·홍문관교리, 의정부...
    시대 :
    조선
    출생 :
    1525년(중종 20)
    사망 :
    1568년(선조 1)
    경력 :
    예빈시정, 홍문관부응교, 우부승지, 대사간, 부제학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남양(南陽, 지금의 경기도 화성)
  • 부제학 副提學
    혁파되면서 함께 없어졌다. 1470년(성종 1) 예문관에 옛 집현전의 관제와 기능을 다시 살리면서 1명을 두었다가, 1478년 예문관에서 홍문관이 분리되면서 직제화되었다. 홍문관은 집현전을 이은 조선 최고의 학문·문필 기관으로, 정1품 영사, 정2품 대제학, 종2품 제학 등의 고위직이 있었으나 이 가운데 실제 책임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성세창 번중(蕃仲), 成世昌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01년(연산군 7) 식년시에서 생원과 진사에 모두 합격하였다. 1507년(중종 2)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 홍문관정자에 임용되었다. 이어 저작(著作) · 박사(博士)로 승진되었고 사간원정언을 지냈다. 1509년 이조정랑을 거쳐 사간원정언이 되었으나, 이조정랑 재임 시...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김인후 후지, 金麟厚
    온·기효간·조희문·오건(吳健) 등이 있다. 1540년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권지승문원부정자에 올랐다. 이듬해에 호당에 들어가 사가독서하고 홍문관저작이 되었으며, 1543년 홍문관박사 겸 세자시강원설서, 홍문관부수찬에 이르렀다. 1545년 을사사화가 일어나자 관직을 버리고 고향인 장성으로 돌아가 주자학 연구에...
    출생 :
    1510(중종 5)
    사망 :
    1560(명종 15)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송응개 공부(公溥), 宋應漑
    대사헌 채침(蔡忱)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55년(명종 10) 식년시에 생원으로 급제하였고, 1564년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565년(명종 20) 홍문관의 정자(正字)·저작(著作)을 거쳐서 홍문관의 박사·부수찬(副修撰),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을 지내고, 예조정랑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찬수에 참여...
    시대 :
    조선
    출생 :
    1536년(중종 31)
    사망 :
    1588년(선조 21)
    경력 :
    홍문관박사, 사간원정언, 예조정랑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은진(恩津: 지금의 충청남도 논산)
  • 정자 正字
    내용 정원은 2인이다. 홍문관은 1420년(세종 2) 3월에 설치된 집현전(集賢殿)의 후신이다. 집현전에도 정9품 2인의 정자가 설치되어 녹관(祿官)으로서 경연관(經筵官)을 겸했는데, 문신으로 재행이 있는 젊은 사람을 뽑았다. 집현전이 경연을 전담해 차차 언론의 기능을 가짐에 따라 정자도 대간의 구실을 하였다...
    시대 :
    조선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1420년(세종 2) 3월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등영록 登瀛錄
    책 이름은 홍문관의 별칭인 영각에서 따온 것이다. 5책. 필사본. 홍문록은 홍문관의 교리·부교리·수찬·부수찬을 임명할 때의 제1차 선발기록이다. 문관의 방목이 나붙으면 홍문관의 박사 이하의 관원이 방(榜)에서 뽑힐 만한 사람의 명단을 만들고, 홍문관의 부제학 이하 응교·교리·수찬 등이 모여 적합하다고 판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김인후 金麟厚
    병과로 급제하여 권지승문원부정자(權知承文院副正字)에 임용되었으며, 이듬 해 호당(湖堂)에 들어가 사가독서(賜暇讀書: 휴가를 얻어 독서에 전념)하고, 홍문관저작(弘文館著作)이 되었다. 1543년 홍문관박사 겸 세자시강원설서·홍문관부수찬이 되어 세자를 보필하고 가르치는 직임을 맡았다. 또한 기묘사화 때 죽임을...
    시대 :
    조선
    출생 :
    1510년(중종 5)
    사망 :
    1560년(명종 15)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학자
    성별 :
    분야 :
    종교·철학/유교
    본관 :
    울산(蔚山)
  • 응교 應敎
    내용 정원은 각기 1인이다. 홍문관응교의 기원은 고려시대 보문각(寶文閣)의 정4품 대제(待制) 혹은 직각(直閣)이며, 1369년(공민왕 18)부터 1372년까지 잠시 응교로 개칭되기도 하였다. 1420년(세종 2) 집현전이 설치되면서 정4품관으로 두었다. 학문 연구와 교명 제찬이 주된 직무였고, 경연관(經筵官)의 일원이 되기...
    시대 :
    조선 전기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1420년(세종 2)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박사 博士
    내용 정원은 성균관에 3인, 홍문관에 1인, 승문원에 2인, 교서관에 2인이다. 성균관에는 1392년(태조 1) 조선의 개국과 함께 박사 2인, 순유박사(諄諭博士) 2인, 진덕박사(進德博士) 2인을 두었다가 뒤에 박사 3인, 겸박사(兼博士) 1인으로 통합되었으나 겸박사는 곧 폐지되었다. 연산군 때 성균관을 혁파하면서 박사직...
    시대 :
    조선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1392년(태조 1)
    폐지일 :
    1894년(고종 31)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0건

홍문관서목
홍문관서목
옥당선생안
홍문관지
옥당선생안
홍문관지
왕형문공시(권27) / 홍문관장서인
홍문관에 당부한 글을 새긴 현판
홍문관에 당부한 글을 새긴 현판
홍문관에 당부한 글을 새긴 현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