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서울탁주제조협회 서울주조협회, 서울濁酒製造協會등 모두 여섯 군데에서 막걸리를 제조하고 있다. 여섯 군데 연합 제조장은 개인 사업체 형태로 각 제조장의 주주들이 운영하고 있다. 산하 기관으로는 페트병을 만드는 오일기업, 쌀입국을 만드는 서울제국, 그리고 충청북도 진천에 서울장수주식회사가 있다. 서울탁주제조협회를 살펴보면, 현대 막걸리 변천사를 가늠해...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생활/식생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병검사원수행직무 공병 또는 페트병(PET)을 검사장비에 통과시킨다. 공병 및 페트병의 바닥, 내벽, 외벽, 병입구, 나사선, 잔수(병안에 남은 음료), 이물질 등의 검사를 수행한다. 결함이 있는 불량품을 폐기용 용기에 담는다. 정기적으로 검사장비를 점검하고 상태를 확인한다.
- 교육수준 :
- 9년 초과 ~ 12년 이하(고졸 정도)
- 숙련기간 :
- 1개월 초과 ~ 3개월 이하
- 작업강도 :
- 보통 작업
- 작업장소 :
- 실내
- 직무기능(자료) :
- 비교
- 직무기능(사람) :
- 관련없음
- 직무기능(사물) :
- 투입-인출
- 유사명칭 :
- 검병원
- 고용직업분류 :
- [8859]주입·포장·상표부착기 및 기타 기계 조작원
- 표준직업분류 :
- [8990]기타 기계 조작원
- 표준산업분류 :
- [C111]알코올음료 제조업
- 조사연도 :
- 2017년
-
물에 둥둥 뜨며 바다, 강, 호수에서 수소 만들어주는 광촉매 플랫폼바다, 호수, 강은 물론 페트병 폐기물을 녹인 용액에서도 수소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김대형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 부연구단장과 현택환 단장 공동연구팀이 그린 수소 생산 성능을 갖추고, 물에 뜨는 광촉매 플랫폼을 개발했다. 수소에너지 상용화를 위해서는 친환경적이면서도 높은 효율로 수소를 생산...
-
코카-콜라의 브랜딩 활동 지속가능한 행복경영회계사, 의사 등으로 성장하고 있다. 플랜트보틀 (Plant Bottle) 코카-콜라 컴퍼니는 환경친화적 용기를 개발했다. 100% 화석연료로 제작되었던 기존 페트병과 달리 30%가량을 식물성 소재로 대체하였다. 2011년에 16만 배럴의 석유를 절약하고 이산화탄소 배출량 6만 3,025톤을 감축했다. 2009년부터 '플랜트보틀'을...
-
요구르트통으로 화분 만들기 요구르트통 미니 화분떠먹는 요구르트통이나 페트병을 활용하려는데 재활용품 냄새가 폴폴 풍기는 것은 세련되지 못해 보인다고요? 걱정하지 마세요. 간단하게 색칠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플라스틱 화분도 이런 방법으로 변신시켜도 좋지요. 작은 요구르트통 몇 개만 칠하려고 하는데 페인트를 이용하기에는 부담스러운 면이 있지요...
-
롯데알미늄 Lotte Aluminium Co., Ltd.알루미늄박 KS마크를 획득했다. 1974년 무역부를 분리해 롯데상사(주)를 설립했고, 1980년 롯데알미늄(주)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1994년 진천 공장에 캔, 페트병 라인을 가동했으며, 1995년 업계 최초로 전 생산 품목 ISO 9002를 획득했다. 2002년 에어컨 열교환기 사업과 골판지 사업에 진출했다. 2005년 포장 연구소를...
- 설립 :
- 1966-11-04
- 국가 :
- 대한민국
- 그룹사 :
- 롯데그룹
- 기업형태 :
- 주식회사
- 업종 :
- 1차 금속 제조업
- 취급품목 :
- 알루미늄박, 인쇄ㆍ포장, CANㆍPET, 골판지, 열교환기, 생활용품 제조 판매
- 사이트 :
- http://www.lotteal.co.kr
- 본사 주소 :
-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104
-
새와 함께하는 삶 우리 함께해요만들어주면 새들의 겨울나기는 한결 수월해져요. 여러 종류의 모이통이 있지만 쉽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우리가 흔히 먹는 플라스틱 페트병 안쪽에 구멍을 내고 그 안에 쌀이나 보리, 해바라기씨 같은 것을 넣어요. 그리고 새들이 앉을 수 있도록 나무젓가락을 구멍사이에 끼워 놓으면 훌륭한 인공모이통...
-
폐품을 활용한 발명것이다. 재활용(recycling)은 쓰고 버린 물건을 재가공하고 다른 방식으로 되살려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폐지를 종이상자로 다시 만들어 쓰거나 페트병을 가공하여 건축자재로 쓰는 것이다. 특히 재사용은 다른 자원의 추가 투입이나 별도의 제조 공정 없이 약간의 손질만으로 버려진 물건을 다시 사용할 수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