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티호노프 Niokoly Aleksandrovich Tikhonov
    성실한 총리로 인정받았다. 그는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대통령 당선 몇 개월 후인 1985년 9월 건강 악화로 젊은 개혁성향의 니콜라이에게 총리직을 넘겨주었다. 이는 경제개혁 정책인 페레스트로이카의 서막이었다. 티호노프는 사임 후에도 공산당 중앙위원회에서 활동했으나, 1989년 후반에 이 위원회에서 축출되었다...
    출생 :
    1905. 5. 14(구력 5. 1), 러시아 우크라이나 하리코프∼
    사망 :
    1997. 6. 1, 모스크바
    국적 :
    소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아제르바이잔 Azerbaijan
    그 뒤 1936년 이들 범카프카즈가 소연방 구성 공화국들로 분리, 병합될 때 아제르바이잔도 조지아처럼 독립된 공화국으로 소련에 귀속되었다. 페레스트로이카와 함께 아르메니아공화국이 나고르노·카라바흐지역을 요구하고 나서자 1988년 9월 아제르바이잔 지식인들은 ‘인민전선’을 구성하고 이에 대응하기 시작하여...
    시대 :
    현대
    위치 :
    아시아 남부 카스피해 연안
    수도 :
    바쿠
    성격 :
    국가
    유형 :
    지명/국가
    면적 :
    8만 6600㎢
    언어 :
    아제르바이잔어
    정부/의회형태 :
    공화제, 대통령 중심제, 단원제
    종교 :
    이슬람교, 러시아정교, 아르메니아정교
    분야 :
    정치·법제/외교
  • 칼리백 살리코프 Kalykbek Salykov
    사건을 정직하게 다루면서도 감정을 자극하고 예술적 내실을 다진 영화라며 “달리는 주인공이 시간과 사회, 자신으로부터 도망치지 못하는 장면을 통해 페레스트로이카 말기에 방향감을 상실하고 절정에 이른 카자흐스탄의 모습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칼리백 살리코프는 <12월의 연인> 이후 더 이상 연출작을 발표...
    출생 :
    1954년 8월 26일, 카자흐스탄 알마티(Almaty)
    사망 :
    2000년
    본명 :
    칼리백 살리코프(Kalykbek Salykov)
    데뷔 :
    <발코니>(Balkon, 1988)
  • 중앙경제신문 中央經濟新聞
    전문취재를 통하여 경제현상의 변화상을 심층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1989년 2월 한국언론으로는 처음으로 소련으로부터 공식초청을 받아 「페레스트로이카의 현장」을 취재보도하였고, 「북방경제시대」의 시리즈를 통하여 공산권진출기업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신속히 공급하기도 하였다. 또, 경제정책의 심층...
    시대 :
    현대
    저작자 :
    최우석
    창작/발표시기 :
    1988년 8월 9일
    성격 :
    신문, 일간신문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이종기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 1981년~1990년, 1980년대 민주화의 열풍이 한국과 아시아를 휩쓸고, 동유럽 사회주의..
    중국 등에서 시민의 저항이 터져 나온다. 다만 버마와 중국에서는 정부의 유혈 진압으로 인해 민주화가 좌절된다. 한편 소련에서는 고르바초프 서기장이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라는 개혁을 통해 당면한 경제 ・ 정치적인 위기를 극복하려 노력한다. 더불어 소련이 동유럽 나라들의 내정에 간섭하지 않겠다고...
  • 야코블레프 Aleksandr N(ikolayevich) Yakovlev
    중앙위원회의 서기로 선출되었고, 1987년 6월에 정치국원이 되었다. 그는 고르바초프 초기 정책의 핵심적인 개념이었던 개방(글라스노스트)과 개혁(페레스트로이카) 정책을 발전시키는 데 커다란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1990년 3월에 야코블레프는 외무담당비서로서 16인 대통령자문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출생 :
    1923. 12. 2, 러시아 야로슬라블
    국적 :
    소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고본질 股本질
    경제적 이윤을 채워 나가는 한편 더 많은 소득을 얻었다. 이에 따라 고본질 영농 방식은 1986년에 고르바초프(Mikhail Gorbachev)의 개혁 조처인 ‘페레스트로이카(Perestroika)’가 추진된 뒤에 합법화되었다. 내용 고본질 영농 방식은 생산 주체가 매년 3월~10월에 거주지에서 다른 지역에 있는 생산 현장인 농장으로...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경제·산업/경제
  • 모스크바의 정치와 행정
    끝난 뒤 이 두 평의회를 하나로 합쳤다. 모소베트는 고르바초프 집권 시절에 선거개혁이 단행되고 나서야 소련 공산당의 지도·통제에서 벗어났다. 페레스트로이카 이전에는 2년 6개월마다 선출되는 1,000명의 대의원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한편 시 당국의 실질적 행정업무는 이소폴콤(Isopolkom)이라는 모소베트의 실행...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과학기술혁명 科學技術革命, scientific technological revolution
    및 과학기술 관련서적에서도 쓰이기 시작했으며, 1970년대에는 브레주네프의 정책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면서 발전했다. 1980년대 중반부터는 개혁정책(페레스트로이카)을 뒷받침하는 이론적 근거로 과학기술혁명 2단계론이 제기되기도 했다. 논리적 기능과 감시·제어 기능을 포함한 인간의 직접적 생산기능을 자동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빅토르최 최 빅토르, ─崔
    개설 본명은 빅토르 로베르토비치 최(Viktor Robertovich Tsoi), 예명은 초이 빅토르(Tsoi Viktor)이다. 페레스트로이카 정책의 실행으로 소련 사회에 개혁 · 개방 분위기가 급격히 전개되자, 서방의 록 음악을 소개하여 유행시켰던 고려인 가수이다. 소련 록 음악의 선구자로 알려져 있다. 생애 아버지는 고려인이고...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예술·체육/대중음악
  • 황만금 Хван Ман Гым, 黃萬金
    있었으며, 그 외에 백화점, 병원, 학교 등의 시설도 자체적으로 갖추고 있었다. 1985년에 고르바초프가 공산당 서기장으로 집권하면서 개혁 조처인 ‘페레스트로이카’를 추진하자, 당시 집권층은 소비에트 경제 전반의 침체 원인을 정치적인 측면에서 찾기 시작하였다. 곧 부유한 자들이 부정부패를 통하여 개인의 재산...
    시대 :
    현대
    출생 :
    1919년
    사망 :
    1997년
    경력 :
    폴리타젤집단농장 지도자, 우즈베키스탄공화국 최고회의 의원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1937년 고려인 강제이주
    직업 :
    정치인, 고려인, 민족지도자
    성별 :
    남자
    분야 :
    정치·법제/정치
    본관 :
    경기도 양주
  • 무엇이 동유럽의 공산주의를 몰락시켰나?
    노력은 경제 분야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그는 1917년부터 국가를 지배해온 공산당 권력에 대해서도 축소를 단행했다. 고르바초프의 개혁 프로그램은 '페레스트로이카(perestroika, 개혁이라는 의미)'로 불린다. 한편 고르바초프는 자신의 프로그램을 강력하게 지지했던 미국 대통령 레이건(Ronald Reagan, 1911~2004)을...
    시대 :
    20세기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페레스트로이카(Perestroika) 우표
더보기